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코넥스도 코스피에 속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넥스는 코스피에 속해있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시장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현재 [코스피/코스닥/코넥스]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코넥스 같은 경우엔 코스닥 상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 상장할 수 있도록 2013년부터 개장한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을 말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13
0
0
캔들과 거래량만 보고 차트를 해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자면 일단은 '네' 입니다.하지만 수많은 정보 중 일부만을 가지고 한 것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오차 범위는 크다고 볼 수 있으며,고수분께서 엄청난 수익을 올리신건 통계학 측면으로 분석해봤을 땐 다소 운이 따라주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12
0
0
금리인상은 언제까지 올릴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인상과 인하는 한두가지가 아닌 수많은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최근 전세계적으로 봤을 때 가장 중요하다고 꼽히는 물가상승률이 잡힌다면 금리인상은 종료될 것입니다.(금리동결 혹은 인하를 통해 경기부양을 유도합니다.)
경제 /
대출
23.02.11
0
0
사람들이 말하는 파이어족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파이어족이란, 조기 은퇴를 목표로 회사 생활을 하며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며 은퇴 자금을 마련하는 이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파이어족이 되기 위해선 수입의 대부분을 저축하는 등 극단적 절약을 실천하시면 되며, 국내에선 경제적 자유를 얻어 조기은퇴한 사람들을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재테크를 열심히 하여 노후에 쓸 자금을 미리 확보한 뒤 정년 전에 일찍 은퇴하시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기준으론 30대 후반이나 40대 초반에 은퇴를 목표로 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9
0
0
금리가 많이인상됫는데 은행적금들면이율도?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평하도록 기준이 되는 (기준)금리가 오르게 되면 여신(대출)금리는 물론, 수신(예적금) 금리도 오르게 됩니다.(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2.08
0
0
만약에 제품을 생산하는 원자재 비용이 내려가면 제품 비용도 내려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이론상으론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하지만 현실적으론 이론과는 다르게 한 번 올린 가격(본문에 적어주신 비용이라는 단어가 문맥상으로 보면 이걸 말씀하시는 것 같으니..) 은 다시 내려가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가격 인상은 소비자 단체 반발 등으로 인해 쉽게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경제 /
경제용어
23.02.07
0
0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해 보다 보니깐 CPI에 의해 주식 가격이 왔다 갔다 하든데 CPI가 무엇의 약자입니까?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PI란, Consumer Price Index 의 약자로써 소비자가 구입하는 서비스나 상품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3.02.05
0
0
3금융권과 4금융권은 뭐가 다른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3금융권과 4금융권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단어입니다.하지만 통상적으로 봤을 땐 제도권 밖의 금융을 말하며, 대부업체나 사채업체 등이 해당됩니다.특징으론 대출 절차가 1, 2금융권에 비해 간편하지만 대출이율이 높으며, 3금융권과 4금융권의 차이를 굳이 나누자면 말씀하신대로 대부업 등록이 된 업체와 미등록 대부업체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미등록 대부업체는 보통 여신금리 상한선을 준수하지 않습니다.)
경제 /
대출
23.02.04
0
0
적금 가입 후 기준금리 오르면 적금 금리도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 내용 중 후자가 맞습니다.대출과는 달리 예적금은 변동금리가 없고, 고정금리이기 때문에 결론은 가입시점의 금리가 최종확정금리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3.01.31
0
0
최근 지수들이 상승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영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시다시피 주가지수는 경제를 선반영합니다.따라서, 현재가 아닌 미래를 보고 최근 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나고 피벗(정책 전환)을 예측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에 투자금이 유입된 것입니다.즉,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동결 혹은 인하로 인해 리스크 있는 투자자산 선호 경향이 강해진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3.01.28
0
0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