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2월 25일 작성 됨
Q.
인공지능이 사회 발달을 어느수준까지 촉진시킬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이 발달하면 지금 프로그램들은 기본이 될것같아요.CHATGPT에 게임 코딩을 알려달라고하면 다나오는 시대니.앞으로 더 기술 발전을 진보 시킬것으로 보입니다.
물리
2023년 2월 25일 작성 됨
Q.
자석을 나침반에 대면 왜 나침반바늘이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나침반의 구조는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그렇기때문에 자성을 띄는 자석을 갖다 붙이게돠면자성에따라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게 됩니다
기계공학
2023년 2월 25일 작성 됨
Q.
공랭식 엔진과 수냉식엔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공랭식과 수냉식의 시스템 차이가 궁금하시군요?!보통 공랭식이라하면 발열되는 부품을 팬이 가동하여 식히는 방식이구요수냉식은 물이 순환하면서 열을 식혀주게됩니다.각각의 장단점이 따로 있기에 소비자가 잘 고려하여 선택해야겠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24일 작성 됨
Q.
성인이 된후로는 시력이 안나빠지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신체의 모든 기능들은 성장하게되면서 발달하게 됩니다.그 모든 발달은 후천적요인도있지만, 유전적 요인도 있지요.시력의 경우도 보통 유전적 원인으로 많이 좌우되는데요? 청소년기 까지는 성장을 거듭하면서시신경부분도 같이 발달하면서 본인이 갖은 유전자 성질을 발현한것으로 보입니다.어느정도 이후에는 이제 노화로 접어들게되며, 앞으로 노화로인한 근시,난시 등이 발생할수있겟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4일 작성 됨
Q.
태풍의 눈에 들어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눈은 저도 한번쯤 들어가보고싶다는 생각을 해봤는데요.이론적으로 태풍의 눈 한가운데 있으면 안전하게 됩니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태풍의 눈 안으로 진입할수는 없겠지요?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밤의 길이가 하루에 얼마씩 짧아지는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해가 떠있는 시간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동짓날은 가장 하루중 낮의 시간이 짧을 때 입니다. 동지(12월22일)를 지나게 되면서부터 점점 낮의 길이가 길어지다가 하지(9월23일)를 기점으로 다시 낮의 길이가 짧아지게 됩니다.위치에 따라 낮과 밤의 길이 차이는 있지만 보통 동지에서 하지까지 일출/일몰시간의 변화는 하루에 일출은 30초씩 빨라지고 일몰은 30초씩느려지면서 낮의 길이가 1분씩 길어집니다.즉 밤의 길이는 1분씩 짧아지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문득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1) 우리에게 중요한것은 산소가 맞습니다. 질소는 고기를 이루고 있는 비중이 많은것이지 공기중 질소의 분포가 많다고사람에게 필요한 기체는 아닙니다.2)항상 호흡하면서 질소를 마시고 계시고, 아무리 많이 마신다고 죽지않습니다. 질소는 불활성 기체이기 때문에 인체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미래에 ai가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저도 미래에 대한 궁금증이 많은데요?? 이렇게 기술이 발전되게되면 지능을 갖은 로봇이 사람과 같은 수준에 도달할수 있을것 같습니다.다만 발연기 톤일지라도 경우의수에 따라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면 가능하리라 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무지개는 일곱가지의 색으로 보이는데요. 일곱가지 색 외에 다른 색들도 있는데 눈에만 그렇게 보이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무지개 색상이 궁금하시군요.맞습니다. 사실 무지개는 일곱자기 색이아닌 연속된느 지점에 무수히 많은 다양한 색이 있습니다.다만 우리눈이 인지할수있는부분은 7가지 색을 보기 떄문에 그 사이에있는 색들은 자세히 안보이는 것입니다.프리즘도 같은 원리입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23일 작성 됨
Q.
지구 온난화는 얼마나 우리 삶에 치명적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온난화에 대한 고민을 하고 계시군요.저도 지구온난화에 대한 걱정이 많이 있는데요, 일단 우리 지구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면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상승됩니다. 그러면 해수면의 육지들은 잠기게 되어 실제 사람이 거주할수있는 공간이줄어들게됩니다.그리고 법적으로는 세계에서 기후 협정등 여러가지 하고있으나, 몇몇 대국들은 자기들 나라 이익을 위해 이 협정을 무시하기도 합니다.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