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잔디의 생명력이 다른 식물보다 강한이유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생명력이 끈질긴 잔디가 궁금하시군요??잔디가 잘 생존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잔디는 적은 에너지만 갖고 유지할수있는게 가장 큰 이유중 하나지요.인간도 밥한톨만 먹고 한달 1년을 살수있다면 엄청난 생존력을 보여줄수 있겟지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보청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언제, 누가 발명을 했는지도 궁금하구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보청기 원리를 살펴보자면, 정상적인 경우 소리를 인식할때 소리가 귀로 들어와 외이도를 타고 안으로 들어가 고막을 진동시켜 안쪽으로 이어진 이소골로 전달하고 증폭된 소리가 달팽이관으로 옮겨져 청시경을 통해 뇌로 소리를 인식하게 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난청인은 내이 손상이나 신경손상등의 원인으로 소리를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되는데요. 이를 보완해주는것이 보청기의 기본적인 역할입니다. 보청기 구조는 마이크로폰, 증폭기, 건전지, 리시버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요. 외부 소리를 마이크로 잡아 미세하게 조절하여 고막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과거 단순 소리 증폭기였던 보청기는 오늘날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여러 분석을 거쳐 원하는 소리의 출력을 가능케 하며 보청기 크기도 최소화하여 눈에 잘 띄지도 않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청력 손실을 막아주는데도 도움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바라기가 해의 움직임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움직임을 따라가며 해바라기 꽃이 방향을 바꾼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원인은 잘 규명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미국 연구진이 해바라기가 시계처럼 24시간 성장주기를 갖기 때문이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데이비스 캠퍼스와 버지니아대 합동 연구진은 이와 같은 연구내용을 5일 발간된 사이언스지에 실었다. 어린 해바라기는 자체적으로 24시간의 성장 주기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곗바늘이 도는 것처럼 꽃이 해를 따라다닌다는 것이다.즉 해가 동쪽에서 떠올라 서쪽으로 지는 낮에는 해바라기의 동쪽 부분이 더 자라나 자연스레 꽃이 서쪽을 향해 기울도록 만든다. 반대로 밤 동안에는 서쪽 부분이 더 자라 꽃이 동쪽을 향하게 해 일출을 맞을 준비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해바라기는 시간대에 따라 성장을 더 시키고 싶은 부분에 세포를 더 투입해 이 같은 결과를 이끌어낸다”고 설명했다.연구진이 해의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게 해바라기의 행동을 제약한 결과 자유롭게 놔둔 보통의 해바라기보다 잎 개수와 크기 등 성장률이 10% 감소했다.다 자라나 이제는 더 이상 해 쪽으로 방향을 틀기 어려운 해바라기는 꽃의 방향을 동쪽으로 아예 고정시킨다. 꽃과 그 주변을 보다 따뜻하게 만들어 벌과 나비 등 꽃가루를 옮기는 곤충들이 많이 찾아오기 하기 위해서다. 실험 결과 동쪽으로 향한 해바라기 꽃은 서쪽 방향인 꽃보다 5배 많은 곤충을 불러 모았다. 이번 연구의 책임 저자인 캘리포니아주립대 스테이시 하머 교수(식물생물학)는 “식물이 시계처럼 (주기적으로) 성장을 조절한다는 것은 처음 밝혀진 사실”이라고 말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온난화가 생겨나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온나화가 궁금하시군요!?질문자께서도 어느정도 알고 계시듯이, 지구의 온난화가 알려진 주요 원인중 하나는 성층권의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기 떄문입니다.오존 O3을 파괴하는 물질인 프레온 가스계열을 사용함에 따라 화학반응으로 O3가 파괴되어 층이 얇아지고 있다고 합니다.그로인하여, 외부의 태양광 걸러서 받지못하고 강하게 흡수하여, 북극, 남극의 빙하가 녹고 있는 것이지요.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추천하기" 부탁드려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방사능이 인체에 치명적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인체 조직을 구성하는 원자는 방사선이 통과하면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리현상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인체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 분자 일부가 분해되어 산소 유리기(free radical)가 생성되고 생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단위인 세포에 영향을 준다. 방사선에 의한 세포 손상은 직접작용과 간접작용이 있는데 직접작용은 방사선이 세포핵의 DNA 분자를 파괴하여 세포핵 자체에 손상을 주는 것이고 간접작용은 방사선에 의해 물분자가 전리되어 형성되는 물질(H2O2, HO2)의 화학적인 독성에 의해 2차적으로 세포핵이 손상 받는 것을 말한다.우리 몸의 장기와 세포들은 각각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다르며 어리고 분열률이 높은 세포일 수록 방사선에 민감하게 손상을 받는다. 따라서 소아나 태아의 경우 방사선 피폭에 의한 영향이 성인에 비해 현저히 크다.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받았을 때 피부이상, 구토, 탈모, 백혈구의 농도변화와 같은 급성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반면에 방사선에 의한 인체영향중 잠복기를 가지고 오랜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만성 영향이 있는데 암과 백내장이 대표적이다.또한 방사선에 의한 인체영향은 결정적 영향과 확률적 영향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결정적 영향은 일정량 이상을 받으면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변화로 발단선량 (threshold dose)이 있어 발단 선량 이하에서는 가시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로 피부이상, 탈모, 백내장, 백혈구 감소, 불임 등이 있다. 확률적 영향은 나타날 수도 있고, 안 나타날 수도 있는 변화로 유전적 영향과 암의 발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는 발단선량이 없어 소량의 방사선도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 확률이 있으며 방사선 양이 증가할수록 가능성은 커진다. 암이나 백혈병 등은 방사선 이외의 원인에 의해서도 일어나기 때문에 어떤 방사선 관계 종사자에게 나타난 암이 방사선 쪼임에 의한 것인지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 구별하기가 사실상 어렵다.좋은하루보내세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자웅동체 동물은 몸안 정자난자를 다 가지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암컷과 수컷의 생식기(genitalia)를 모두 보유한 생물체(organisms)를 의미한다. 선충류와 달팽이류와 같은 무척추동물이나 여러 가지 식물에서 광범위하게 존재하지만, 물고기와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전체 동물 종의 약 0.7% 가 암수한몸/자웅동체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암컷은 암배우자(female gamete)인 난자(egg)를 생성하는 기관을 보유하고, 수컷은 수배우자(male gamete)인 정자(sperm)를 생성하는 기관(organ)을 가지고 있다. 성적 이형(sexual dimorphism) 생물체인 경우 각 개체는 오직 한 가지 형식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어서, 그 종 구성원들은 두 가지 성 중 하나를 갖는다. 사람을 포함하는 여러 생물체는 그 비율이 거의 1: 1로 동등하다. 이 경우 각 개체는 짝짓기(mating)를 위하여 경쟁하게 된다. 어떤 경우는 한 수컷이 한 암컷과 짝을 이루는 경우도 있지만, 수컷 혹은 암컷이 아주 많은 숫자의 상대 성과 짝짓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자웅동체 [hermaphrodite] (동물학백과)좋은하루보내세요 ^^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사화산인가요? 휴화산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백두산은 사화산 아닌 활화산기상청은 백두산을 포함한 한반도 주변 화산이 활동할 때 발생할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선제적 화산대응 종합 대책'을 수립해 2일 발표했다.이번 대책은 사화산(死火山)으로 알려져 있던 백두산이 언제든지 폭발할 수 있는 활화산이라는 의견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 데다 아이슬란드,일본 등의 화산 피해로 국민 불안이 높아지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기상청 관계자는 "백두산은 기원전 946년을 시작으로 1903년에도 재분화한 경력이 있어 화산활동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백두산이 분화하더라도 국내에 직접적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지만 화산재로 인해 정밀 제조업과 항공산업이 타격을 입고 호흡기 질환이 늘어나는 등 간접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왜 동상에 걸리면 뜨거운 느낌이 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동상을 우리는 저온화상이라고도 하는데요?? 일반적인 고온에 의한 화상에 비해 초기에 인지하지 못하여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에는 피부가 약간 붉어지고 쓸리는 듯한 따끔거림 정도만을 동반하며 일반적인 고온 화상에서처럼 물집이나 통증이 심하게 생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피부색이 변하고 소양감이 동반되며 통증이 심해짐에 따라 물집이 서서히 올라오게 된다. 저온 화상은 일반적인 화상에 비해 좁은 부위에 생기지만 역으로 심부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기에 파악하여 치료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전투기가 수직착륙 하는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수직 이착륙할수있는 전투기가 궁금하시군요??보통 질문자께서 말씀하는 전투기의 종류가 양족 날개에 추친기를 달고 활강하는 모델이라면??현재까지는 수직 이착륙 가능한 전투기는없습니다.수직 이착륙 하기위해선 수직으로 추진기가 있어야 가능합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 좋아요" "추천하기 " 부탁드려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상의 모기들은 모두 몇 종류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상의 모기 종류가 궁금하시군요??지구상에 약 3,500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서는 9속 56종이 기록되어 있다. 다른 곤충과 같이 머리·가슴·배 3부분으로 되어 있다. 머리에는 1쌍의 더듬이, 1쌍의 겹눈, 1개의 아랫입술(대롱 모양의 주둥이), 1쌍의 아랫입술수염이 있다. 가슴은 앞가슴방패판·가슴방패판·작은방패판으로 나누어지고, 몸 전체가 많은 비늘로 덮여 있다.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추천하기" 부탁드려요 ^^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