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긴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을 물건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만들어 놓은 CODE들 아닐까요??옛날 과거 피라미드의 문자를 보고 과거를 예측하듯우리 후손들은 우리가 만든 코딩을 보고 이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했을지 파악할거같네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금 우리가아는 공룡의 모습은 실제와 다를수있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고고학자들은 주어진 자료를 토대로 과거를 재생시키는 것이기때문에 100%는 일치하지 않을수 있습니다.다만 우리가 보기에 너무 이질적이지않고 과학적으로 가능한것이므로 현재의 공룡으로 과거를 이해해도 크게 차이는 없을것으로 이해됩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웃으면 왜 힘이빠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Cataplexy — Cataplexy is emotionally-triggered transient muscle weakness. Most episodes are triggered by strong, generally positive emotions such as laughter, joking, or excitement [98]. Episodes may also be triggered by anger or grief in some individuals. Cataplexy develops within three to five years of the onset of sleepiness in 60 percent of people with narcolepsy [92].탈력발작: 탈력발작은 감정적으로 유발되는 일과성의(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근력 약화이다. 대부분의 에피소드는 웃음, 농담, 들뜸과 같은 강한 긍정적 감정에 의해 유발된다. 어떤 사람들에게서는 분노나 슬픔에 의해서 유발되기도 한다. 탈력발작은 기면증 환자의 60%에서 졸음의 발현 이후 3-5년 이내에 생긴다.​The muscle weakness is often partial, affecting the face, neck, and knees. In both partial and generalized attacks, cataplexy almost always begins in the face, manifesting as ptosis and a slack, hypotonic face with an open mouth and interruption of smiling or other facial expression [99]. Severe episodes can induce bilateral weakness or paralysis, causing the patient to collapse [98]. Sometimes, the weakness can have an atypical appearance with persistent generalized weakness plus facial grimacing, tremor, or tongue protrusion, especially in children [100,101]. Consciousness remains intact during cataplexy, and the weakness usually resolves in less than two minutes [102,103].근력 약화는 얼굴, 목, 무릎과 같이 한정된 부분에 국한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부분적 또는 전신적 탈력발작의 대부분에서 얼굴에서 증상이 시작되어 안검하수나 slack (얼굴에 힘이 빠져 입이 벌어지고 웃음이나 다른 표정을 짓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심한 에피소드에서는 양측성 근력 약화 또는 마비로 인해 환자가 쓰러지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전신적 근력약화에 더해 얼굴 찡그림, 떨림, 혀 내밀기 등의 비전형적 양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어린이에서 두드러진다. 탈력발작 에피소드 동안 의식은 유지되며, 2분 안에 정상으로 돌아온다.[출처] 크게 웃으면 갑자기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작성자 오오바 요조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경도와 강도의 정확한 개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경도(硬度)는 물질의 성질 중 하나이며 크게 두 가지를 뜻한다. 하나는 고체 물질의 굳기이며, 쉽게 말해 표면의 딱딱한 정도인데, 엄밀히는 정의가 안된 성질. 고체에 힘이 가해졌을 때 영구적인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라 뭉뚱그려 정의된다. 쉽게 얘기하면 긁혀서 자국이 남는 것에 저항하는 정도. (높을수록 긁혔을 때 흠집이 잘 나지 않는다).강도(强度) 는 재료에 하중이 걸린 경우,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변형저항을 그 재료의 강도라고 한다. 인장강도·압축강도·굽힘강도·비틀림강도 등이 있다.인장강도는 시험편을 서서히 잡아당기는 인장시험으로 측정하며, 압축강도는 짧은 기둥모양의 시료에 축방향으로 압축하중을 가하여 측정한다. 비틀림강도는 둥근 기둥모양의 시료가 비틀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가해진 비틀림 모멘트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한다.예를 들어 다이아몬드를 망치로 강하게 내려치면 다이아몬드는 부서지지만 뾰족한 못으로 다이아몬드를 긁는다면 긁히지 않는다. 그 이유는 다이아몬드는 철보다 강도는 낮지만 경도는 높기 때문이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정상인 조직세포가 어떤 원인으로 무제한 증식하여 그 생체의 생활현상이나 주위의 조직상태 등에 관계없이 급속한 발육을 계속하여 마침내는 생명을 끊게 하는 악성의 신생물이라고도 볼 수 있는 세포이다. 정상세포에 비해 다소 변화되어 있는데, 핵은 염색체가 많고, 핵의 원형질에 대한 비가 크며, 핵소체를 가지고, 자주 핵분열상(核分裂像)을 나타낸다. 이를 이형성(異型性)이라고 하며 이형성이 강한 것이 암세포의 특징이다.세포학적으로 보면 그 모양이나 크기가 정상세포에 비하여 다소 변화되어 있다. 즉, 핵은 염색체가 많고, 핵의 원형질에 대한 비가 크며, 핵소체를 가지고, 자주 핵분열상(核分裂像)을 나타낸다. 이것을 이형성(異型性)이라고 한다. 이형성이 강한 것이 암세포의 특징이다. 이것을 이용한 것이 세포진(細胞診)이며, 위암 등 모든 암의 조기진단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정상세포가 어떻게 해서 암세포로 변하는가는 불명료한 점이 많지만, 히르효의 자극설은 유명하다. 이것은 화학적·기계적·물리적 등의 만성자극이 작용하는 곳에 암이 발생한다는 설이다.바이러스와의 관계도 근년에 주목을 끌어, F.P.라우스의 닭의 육종(肉腫) 바이러스나 R.E.쇼프의 토끼의 유두종(乳頭腫) 바이러스는 유명하지만, 인간의 암과 확실하게 관계를 갖는 바이러스는 아직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암세포가 정상세포와 다른 점은 자율적으로 증식하고 주위의 조직을 파괴하여 침윤성으로 발육하는 것, 암세포가 유리되어 림프행성 ·혈행성으로 원격장기(遠隔臟器)에 전이하는 것, 파종(播種)이라 하여 복강내나 흉강내 장기의 암에서는 암세포가 장막에 도달하면 복막이나 흉막에 부착하여 발육을 계속하는 것 등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암의 치료가 복잡해지고 재발되기 쉽다. 따라서 암을 고치려면 암세포가 이런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조기에 발견, 치료해야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암세포 [cancer cells, 癌細胞]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AI의 발달이 사람의 지능적인 부분까지 따라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AI의 지능적인 부분 특히 암기력과 해석능력은 이미 사람을 뛰어 넘었다고 볼수있습니다.지략 싸움의 대명사인 바둑에서 이미 DEEP LEARNING을 통해 인류최고의 바둑기사들을 이겼기 때문이죠.다만 그러한 AI 컴퓨터는 스스로 무언가를개발하고 발전하는 수준은 아니고 INPUT DATA를 이용하여 OUT PUT을 만들기 때문에아직은 사람의 능력에 따라 AI 능력은 천차만별이겠습니다.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누군가의 INPUT DATA가아닌 스스로 OUT PUT을 내는 시대가오면 정말영화에서만 볼법한 로봇의 시대가 올수도 있겟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표면장력의 크기는 어떤 요소로 정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표면 장력의 크기는 바로 분자간의 끌어당기는 힘인데요?? 이 분자간의 끌어당기는 힘은화학 원소에 따라 정해져있습니다. 이는 물질 본연의 성질입니다. 물보다도 강한 표면장력의 물질이 수은이 있는것도 하나의 예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태어날 수 있는 최고의 신체가정했을때 100m기준 가능한 인간의 기록은 어디까지?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이 9초의 벽을 깨기란 쉽지 않아보입니다.100m를 9초에 가려면 10m당 0.9초로 주파해야하는데요? 거의 한글이 보폭이 5m가 나오지 않는이상 힘들어보이긴합니다.그래도 인간이 그 한계를 극복했을때 희열을 느끼므로 궁금하긴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마이크는 어떤 원리로 소리르 크게 해 주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마이크를 소리를 인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소리를 키워주는 역할은 스피커가 하게 됩니다.그래서 보통 소리가 크게 해주는 곳에가면 스피커와 우퍼가 설치되어 있는것을 볼수있습니다.우리가 노래방에가서 소리가 울리는 것도 스피커 덕분이지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어제 부산 지역에 아주 잠깐 무지개가 나타났는데..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의 과학적 원리그럼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 무지개의 경이로운 성질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사람은 17세기 철학자 데카르트(Rene Descartes)였다. 그 이후 많은 대기과학자들에 의해 무지개의 원리가 상세하게 밝혀졌다.데카르트의 무지개에 관한 설명무지개란 한쪽 하늘에 떠 있는 빗방울에 의해 생긴다. 빗방울 반대쪽에서 오는 햇빛이 굴절․ 분광,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는 현상이다. 무지개는 하얀 햇빛이 공기와 물 사이를 지나는 순간 여러 가지 색깔로 휘어진다. 빛의 굴절 현상이다. 굴절은 빛의 색깔들이 각기 다른 속도로 빗방울 속을 지날 때 발생한다. 빨강 색은 보라색보다 약간 더 빠르게 통과한다. 이러한 속도 차이로 인해 여러 가지 색깔로 나누어진다. 색깔이 나누어지는 현상을 분광 현상이라고 한다. 무지개는 태양 광선이 빗방울 속에서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어 우리의 눈에 보이게 된다. 반사현상이다.무지개는 태양빛이 빗방울 속에서 반사되어 생긴다.보통 우리가 말하는 하나의 무지개로 보이는 것을 1차 무지개라 부른다. 빗방울 속에서 햇빛이 한번 반사된 것이다. 숫무지개라고도 한다. 태양과 관측자를 연결하는 선을 연장한 방향을 중심으로 시반경(視半徑) 40~42°로 나타난다. 안쪽이 보라색, 바깥쪽이 빨간색으로 배열된 햇빛 스펙트럼이라고 보면 된다.약간 드물지만, 쌍무지개도 종종 나타난다. 쌍무지개는 1차 무지개 바깥쪽에 2차 무지개가 보인다. 2차 무지개를 암무지개라고도 부른다. 1차무지개와 달리 시반경이 넓다. 시반경 50~53°로 나타난다. 빗방울 안에서 빛의 반사가 두 번 일어날 때 만들어진다. 무지개 색 배열은 안쪽이 빨간색, 바깥쪽이 보라색으로 1차 무지개와 달리 반대 색상 배열로 나타난다.3차무지개는 1, 2차 무지개와 반대 방향 즉, 태양 방향으로 시반경 38~42°로 나타난다. 빗방울 안에서 빛이 세 번 반사가 일어날 때 만들어진다. 그러나 반사가 될 때마다 상당히 어두워지기 때문에 점점 실제로 보기는 어려워진다. 4차 혹은 그 이상의 무지개도 있을 수 있다. 3차 이상의 무지개 관측은 쉽지 않다.쌍무지개. 1차 무지개와 2차 무지개가 함께 뜬 것이다. 그런데 말이다. 지상에서 보이는 무지개는 화살모양으로 반원만 볼 수 있다. 그러나 공중에서 보면 무지개는 원형이다. 왜 그럴까? 물방울을 입체적으로 생각해 보자. 햇빛이 물방울에 비치면 물방울로부터 나오는 빛은 아이스크림콘처럼 원뿔 모양을 이룬다. 원뿔의 뾰족한 점(꼭짓점)을 시선의 위치라고 하면 무지개는 원기둥의 밑면인 원의 둘레처럼 보이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모양이 반원인 것은 어떤 이유일까? 대개의 경우 무지개가 지면에 가리게 되어 반원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비행기(비행기의 위치는 원뿔의 꼭짓점)에서 무지개를 본다면 무지개는 분명 원 모양으로 보일 것이다. 그래서 찌그러진 무지개는 볼 수 없고, 무지개의 옆면이나 뒷면도 볼 수가 없는 것이다. 무지개는 항상 정면에서 보인다.121 쌍무지개는 색깔의 순서가 서로 반대이다. 2 스카이다이빙 중에 촬영한 동그란 무지개 또한 무지개는 다른 종류도 있다. 제1차 무지개의 안쪽과 제2차 무지개의 바깥쪽에 나타나는 무지개가 과잉무지개(supernumerary rainbow)인데, 이것들은 제1차 무지개 및 제2차 무지개를 만드는 물방울로부터의 빛의 간섭에 의해서 생긴다고 추정된다. 태양이 호수 등 잔잔한 수면에 떠 있는 경우, 호수에 비친 태양에 의해서도 엷은 무지개가 생긴다. 그래서 무지개가 겹치게 되는데, 이를 반사무지개라고 한다.1차 무지개 안쪽에 다시 희미한 무지개가 보일 수 있는데, 이를 과잉무지개라 한다.무지개 2개가 겹치는 형태로 보이는데, 위의 희미한 무지개가 반사 무지개이다.안개 등 반지름이 30μm(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물방울의 경우 대일점으로부터 37~40°에서 테만 엷게 물든 폭이 넓은 무지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안개무지개(fogbow) 라고 한다. 태양 빛이 아니라 달 빛으로도 무지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달 무지개(moonbow)라고 한다. 석양이나 일출 근처에 무지개가 생길 경우 붉은 색의 단색 무지개가 생길 수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무지개 [Rainbow] - 기상 현상중 가장 아름다운 천상의 이미지 (지구과학산책, 반기성)
1611621631641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