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전문가입니다.

강상우 전문가
현대중공업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조개를 먹다가 나온 진주랑 쥬얼리샵에서 파는 진주랑은 성분이 다른가요???그리고 진주는 왜 생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진주조개의 몸속에 이물질이 들어오면 진주조개가 그것을 없애기 위해 진주조개의 몸속에 있는 이물질을 탄산칼슘으로 계속 뒤덮어 덩어리가 생기는 데 이것이 바로 진주다. 자연산 진주가 매우 동그란 모양의 진주를 생산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 이유는 진주조개가 진주를 만드는 까닭이 아름다운 진주를 만들고 싶어서가 아니라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기 때문이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우리나라도 지방 곳곳에 몇몇 수력 발전을 하고 있는데..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낙차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전력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수력 발전은 오염이 거의 없고 발전 단가가 싼 장점이 있지만 입지 선정 조건의 제약이 크고 건설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유량의 계절적 변화가 크고 낙차가 큰 지형이 적기 때문에 수력 발전에 불리한 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리한 자연 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댐 식, 수로식, 유역 변경식, 저낙차식, 양수식 등 다양한 수력 발전 양식을 도입하여 발전을 하고 있다. 댐 식은 인공호를 만들어 댐의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우리나라 수력 발전소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된다. 수로식은 댐을 건설한 후 낙차가 큰 지점으로 물길을 유도하여 발전하는 것으로, 화천댐이 이에 속한다. 유역 변경식은 하천의 유로를 막아 낙차가 큰 반대편 사면으로 유로를 변경시켜 발전하는 방법으로, 장진강댐 · 부전강댐 · 허천강댐 · 섬진강댐 · 강릉댐이 이에 속한다. 저낙차식은 낙차가 작은 경우 발전기를 댐 아래에 설치하고 유량의 압력에 의하여 발전하는 것으로, 팔당댐이 이에 속한다. 양수식은 주간에 발전에 이용하고 물을 보조댐에 저장하였다가 야간에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다시 본 댐에 양수하여 발전하는 것으로, 전력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 발전하므로 물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충주댐 · 청평댐 · 무주댐 · 안동댐이 이에 속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수력 발전 [水力發電] (Basic 고교생을 위한 지리 용어사전, 2002. 2. 5., 이우평)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보일러의 돌아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아궁이에서 보일러로!한국식 주거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온돌!부엌 아궁이에서 발생한 열이 굴뚝으로 빠져나가기 전 구들장을 지나 방을 덥히던 원리는 현대 보일러에 그대로 적용됐어요.보일러는 밀폐된 금속 용기 속에서 석유, 가스 등으로 물을 끓이는데요.이때 발생하는 고열·고압의 증기로 실내를 따뜻하게 만듭니다.일반 보일러의 경우 이 과정에서 고온(120°C 이상)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데요.열이 손실될 뿐 아니라 환경오염 물질이 그대로 방출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화학
화학 이미지
Q.  왜 술을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원인은 다양하겠지만 홍조가띄우는것은 일단 간에서 해독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음을 알려주기도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유리가 특정 고음에 깨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물질 각자 고유 진동수를 갖고있는데요??저렇게 고음 HZ 영역의 주파수가 가해질때 유리잔과 중첩 현상이 일어날경우 깨지게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챗gpt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지능의 꽃이 피우는 기술이죠챗봇이라하면 단순한 OUTPUT만 제출했는데 지금 CHATGPT는 정말 고급 답변을 줄수있죠?예를들어 어떤 코딩만들어줘 하면 알아서 다해줍니다.이렇듯 사용자가 좋은 질문을할경우 좋은 OUTPUT을 얻을수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왜 졸릴 때, 하품이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졸리다는 느낌은 뇌에 산소가 부족하다는 신호입니다.우리는 산소가부족할때 졸립다는 느낌이 오는데요??이떄 몸은 산소를 확보하기위해 하품을 하라는 지시를 내립니다.하품은 입을 최대한 크게벌려 주변의 산소를 끌어당기는 역할을 합니다.그럼 친구랑있을때 내가 하품하면 옆에 친구도 하품하는 경우를 보셨지요??바로 내가 산소를 순간 뺏어가니 친구도 산소가 필요하여 하품하게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인류는 아직 심해에 대해 다 알지 못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심해 탐사선이 개발되지 않은것때문입니다.심해에 들어가기위해 압력을 버티면서 또한 물속에서 추진기가 계속 움직여야하는데요.시야가 제한적이기때문에 RADAR SYSTEM으로 그나마 확인하고 있는것으로 이해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로라가 왜생기는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지구 생명의 원천이지만,태양이 분출하는 강력한 태양풍과방사선은 생명에 치명적입니다.​지구에는 이러한 태양풍과 방사선을막을 수 있는 방어막이 쳐있는데요.그 방어막은 허공으로 보이는 대기와자기이죠.​태양폭풍이 일어나면 태양은시속 160만km의 속도로 100만K에달하는 고온의 입자들을 방출합니다.​지구의 자기장은 이 광폭한 태양풍을맞아 태양과 면한 쪽은 압축되고,반대쪽으로는 긴 꼬리를 만들어내죠.​태양이 방출한 입자 대부분은 지구방어막을 뚫지 못하고 우주 저편으로넘어가지만, 일부는 지구 자기장의 꼬리 부분에 저장돼 있다가자기 폭풍(substorm)을 일으키며 지구로 되돌아옵니다.​이때 지구 대기와 충돌하며 일어나는 현상이 바로 오로라이죠.​태양에서 날아온 입자는 지구 대기의산소나 질소와 충돌하는데요.이때 충돌하는 기체에 따라 오로라의색이 다채롭게 펼쳐지는 것입니다.​[출처] 오로라의 원리|작성자 바나나먹는 기영이
화학
화학 이미지
Q.  불이 났을 때 사망원인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화재시 건물안에는 산소가 줄어든다. 그리고 일산화탄소와 탄산가스가 늘어나고 각종 내장재나 장식품이 타면서 질화가스, 염화가스를 비롯한 유독가스, 그리고 장소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시안화가스·유화수소가스·메탄가스·아황산가스·암모니아가스·산화질소가스 등이 발생해 질식원이 되는것이다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