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화가 나면 바닥에 눕는것부터 하는아이, 무엇이 문제인걸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이러한 행동은 발달적인 측면에서 볼 떄, 아이가 자아 조절능력을 충분히 개발하지 못했거나, 감정을 관리하는 기술이 부족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발달하지만, 부모나 보호자의 지도가 부족하거나 아이가 감정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을 경우 이러한 극단적인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아이들이 바닥에 눕는 것은 종종 자아 중심적이며 즉각적인 해소를 원하는 행동이기도합니다아이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너무 크거나 다루기 어려울 때 그 감정을 표현할 다른 방법을 모를 수 있습니다이때부모나 주변 사람이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감정을 다룰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Q. 만 5세 유아에게 숫자나 문자를 가르칠 때 억지로 앉혀 가르치기보다 놀이와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알려주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숫자를 익히게 하고 싶다면 먼저 생활속에서 숫자를 자주 접하게 하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예를 들어서 계단을 오를 때 하나씩 세어보거나 간식을 나눌 때 몇개씩 나누는지를 함께 말해보는 식입니다장난감 정리할 때도 개수를 세어가며 정리하거나 블록을 몇개 쌓았는지 묻고, 몇개 더 쌓으면 몇개인지 함께 이야기해보는 식으로 놀이와 연결해 자연스럽게 수 개념을 익힐 수 있습니다 간단한 보드게임이나 주사위를 사용하는 게임도 수를 익히는 데 좋은 도구가 됩니다문자를 가르칠 때는 먼저 아이에게 익숙하고 흥미로운 단어를 중심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이름이나 가족이름,좋아하는동물,장난감 이름 등을 자연스럽게 글자로 보여주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Q. 떼쓰기나 거절 반응이 심한 3-4세 아이를 훈육할 때 감정 조절과 규칙 교육을 동시에 도와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감정 조절을 돕기 위해 가장중요한 것은 감정 공감과 이름 붙이기입니다아이가 거센감정을 드러낼 때, 바로 제지하거나 논리적으로 설명하려 하기보다,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인정하고 그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스스로도 자신이 왜 이런감정을느끼는지 모를 떄가 많기 때문에 부모가 감정을 대신 정리해주면 안정감을 느끼고 감정이 가라앉을 수 있습니다 감정을 받아주되, 그 감정으로 인해 생긴 행동이다 옳은 것은 아니라는 점은 따로 구분해서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아이들 촉감놀이는 보통 몇살때까지 해주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보통 영유아기부터 촉감놀이는 매우 중요한데, 특히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에 촉감놀이를 많이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주변의 다양한 질감에 대한 감각을 발달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촉감자극을 필요로 합니다손이나 발로 다양한 질감의 물건을 만져보며 탐색하는 과정에서 감각통합능력이 자극받고 이느 뇌 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예를 들어서, 촉감이 다른천, 모래,물,젤리,점토 등을 만져보는 활동이 좋습니다또한 3세에서 5세까지는 여전히 촉감놀이가 유익합니다이 시기에 아이들은 손의 섬세한 운동 능력이 발달하고 손으로 다양한 물체를 만지거나 조작하는 능력이 더욱 향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