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린이집 선택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먼저 안전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린이집의 시설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화재 대피시설, 출입통제 시스템, 비상시 대처방법 등 안전관련 규정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체크해주세요 또한, 아이들이 사용하게 될 장난감이나 교구, 책상 등도 안전한 재질로 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교사의자격과 교육 수준을 살펴봐야합니다 어린이집 교사는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교사의 자격증 유무,경력,그리고 아동 발달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교사가 아이들에게 어떻게 대하는지, 아이들의 감정을 어떻게 돌보는지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Q. 아이가 몸이 자주 아프거나 피곤해 합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하세요 아이의 면역력과 에너지를 높이기 위해선느 다양한 영양소가 포함된 균형잡힌 식사가 필요합니다 신선한 채소, 과일,단백질이 풍부한음식을 적절하게 제공하고 간식은 가급적 건강한 옥션을 선택하도록하세요 또한, 과돠한 설탕이나 인스턴트 음식을 피하고 물을 충분히 마시게 하여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만들어주세요 아이가 자주 피곤해한다면 충분한 수면이 보장되이 않을 수 있습니다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도록유도하고 수면환경을 조용하고 편안하게 만들어주세요
Q. 말썽을 자주 부리는 아이,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훈육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가 왜 장난을 치고 못되게 행동하는지 원인을 이해하려는노력이필요합니다아이가 주목을 받고 싶어하거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자신감을 얻으려는 욕구가있을 수 있습니다또한,과도한 에너지나 관심을 끌기 위한 방법으로 장난을 칠 수도 있습니다이러한 감정을 이해하고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그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좋아요그리고 아이에게 명확한 규칙과 행동의 결과를 알려주세요 아이가 장난을 치거나 친구들에게 못되게 행동할 떄, 그것이 왜 잘못된 행동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그런 행동을 반복했을 때 어떤 결과가 따를 것인지를 명확하게 알려주세요
Q. 친구의 물건을 자주 빼앗고 싸움을 일으키는 아이,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먼저, 아이가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건을 빼앗거나 싸움을 일으키는 이유는 다양한 감정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친구들 사이에서 일정을 받고 싶거나 , 자신의 소유욕이 강해서 물건을 빼앗을 수 있습니다또는 자아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자신감을 얻기 위해 이런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감정을 이해하고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그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 훈육의 첫걸음입니다그리고 행동에 대한 명확한 규칙을 세우고 그 규칙을 일관되게 적용해야합니다친구의 물건을 빼앗는 것이 잘못된 행동임을 명확히 설명하고 이런행동을 반복하지 않도록 꾸준히 지도해야합니다 또한, 물건을 빼앗을 경우에 따를 결과를 정해두고, 그것을 아이에게 분명히 알려주세요예를 들어서 물건을 빼앗으면 그 물건을 돌려주는 것 외에도 일정시간동안 좋아하는 활동을 할 수 없게 하는 등의 결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Q. 아이가 자주 부모에게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우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이해하려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아이가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때, 그 행동 뒤에 숨겨진 감정이나 필요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해요 사춘기의 시작은 신체적인 변화뿐만아니라 정서적,심리적인 변화도 동반되므로, 아이가 느끼는 불안, 혼란,또는 스트레스에 대해 열린대화를 시도해보세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입니다그 다음으로 중요한 점은 일관성을 유지하는것입니다 반항적인 행동이 있을 때마다 부모는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규칙을 적용해야합니다 부모의 규칙과 기대가 명확해야 아이가 어떤행동이 허용되고 어떤행동이 받아들여지지 않는지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규칙을 강요하기보다는 아이가 왜 그런 규칙을 지켜야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단순히 명령하는 것보다는 함께 대화를 통해서 규칙을 만들어가는 방식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