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나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전문가입니다.
김나영 전문가
순천향대학교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새벽때 갑자기 추워서 계속 떨고 있었는데 열 재보니깐 38.5도 였는데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요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고열에 해당하며 감기로 인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등의 해열제를 복용하시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몸을 따뜻하게 하며 충분히 쉬시고 열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심한 두통, 구토, 호흡곤란 등의 다른 증상이 생기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병원에서 처방전은 누가해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네 진료와 처방은 의사의 면허 범위이며 의사가 아니라면 진료 및 처방이 불가하고 의료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전문의 자격증이 없어도 의사 면허가 있다면 진료와 처방이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껌을 씹으면서 담배를 피면 안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껌을 씹으면 타액 분비가 증가하여 담배 연기 속의 여러 가지 유해 물질이 타액에 쉽게 녹아 더 많이 섭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구강, 식도, 위 등에서 유해 물질에 대한 노출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더 해롭다고 여겨집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일반적으로 타박상 직후에는 냉찜질 만성 통증에는 온찜질이 권장된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타박상 직후 냉찜질을 해주면 혈관이 수축되어 출혈과 부기가 줄어들고 염증 반응이 억제됩니다. 또 통증 신호를 차단하여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습니다.만성 통증에서는 온찜질이 혈관을 확장시켜 통증 부위 혈류를 증가시키고 근육 긴장을 완화하며 조직 회복을 촉진합니다. 즉 의학적 근거는 온도에 따른 혈관 수축 및 이완, 그에 따른 혈류 조절과 관련이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생리 하루전에 특유에 냄새가 난다는데 왜그렇죠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호르몬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생리 전 프로게스테론이 감소하며 질내 pH 변화가 발생하고 분비물이 증가하며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정상적 생리 과정이며 예민한 것은 아닙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핸드폰 진동으로 인해 뇌손상이 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휴대폰 진동 정도로는 뇌손상이 발생하기 어렵습니다. 휴대폰 진동은 매우 저강도의 물리적 자극에 불과하며 머리맡에 두고 자더라도 뇌에 손상을 주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기립성저혈압 진단받으려면 어느병원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내과를 방문하시면 진단이 가능합니다. 주로 누워서 잰 혈압과 일어선 후 혈압을 비교하며, 나타나는 임상 증상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진단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완벽한 제모는 불가능한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기술적으로는 영구적으로 제모하기 어려우며 대부분은 반영구에 가깝습니다. 레이저 제모가 비교적 가장 오래가는 방법으로, 모낭을 손상시켜 털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6~12회 시술 후 몇 년간 효과가 지속될 수 있습니다. 다만 호르몬 변화나 유전적 요인으로 일부 털이 다시 자랄 수 있어서 1~2년에 한 번 정도 유지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20대 여자 안면홍조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갑상선이나 생리주기,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호르몬 불균형이 얼굴 홍조와 열감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더위나 스트레스, 긴장이나 외부 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열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원인을 확인하려면 내분비내과 등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며 우선은 실내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해보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2월 26일 작성 됨
Q.
혹시 고열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ㅠㅠ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정상 체온을 약 36.5~37.5 로 보고, 미열은 37.5~38, 고열은 38도 이상인 경우입니다. 따라서 귀 체온계로 38도는 고열에 해당하며,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을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