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익스피어를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고 말한 영국의 역사학자는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토머스 칼라일영국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으며. 철학자, 사학자 및 비평가로 이름을 남겼다.대자연은 신의 의복이고 모든 상징, 형식, 제도는 가공의 존재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면서 경험론 철학과 공리주의에 도전했다. 에든버러 대학교 명예총장이었으며, 유명한 저서로는 《영웅숭배론》, 《프랑스 혁명》 등이 있다. 전기 작가로는 프리드리히 대왕과 올리버 크롬웰을 다룬 책도 알려져 있다.역사학자로써 역사가 몇명의 영웅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그들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영웅사관을 19세기 동안 널리 퍼트린 장본인이다. 이런 영웅사관은 20세기에 허버트 스펜서에게 비판받을 때까지 주요 역사학 조류로 받아들여졌다. 당대의 세습귀족을 비판했다. 그는 귀족을 "하는 일이라고는 잉글랜드가 낸 세를 마음껏 소비하고 잉글랜드의 자고사냥이나 한다"고 비아냥거리고 혈통이 아니라 능력에 따라 귀족을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일반인들에겐 그의 이름이나 작품보다도 "셰익스피어는 인도와도 바꾸지 않겠다.(혹은 인도는 포기할 수 있으나 셰익스피어는 포기할 수 없다.)" 란 말로 유명하며, 이 유명한 구절은 바로 《영웅숭배론》에 나온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중국 사상가인 한비자에 대한 간략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ㅎ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의 법가 철학자.진왕(秦王) 정(政 : 후의 始皇帝)은 그의 전제정부에 관한 이론에 깊은 감명을 받아 BC 221년 중국을 통일한 후 이를 통일국가의 정치원리로 삼았다. 그의 이름을 따라 한비자로 명명된 그의 저서는 당시 법가 이론의 총괄이다 (→ 색인 : 중국철학).생애한비자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전국시대(BC 475~221)의 약소국이었던 한(韓)나라의 귀족 출신이었다. 한비자는 유가인 순자(筍子)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나, 나중에 순자를 저버리고 그당시 봉건체계가 붕괴되는 상황과 보다 밀접한 이론을 가진 다른 학파를 따랐다. 자신의 충고가 한 왕에게 무시당하자 한비자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기 시작했다. 그는 말솜씨가 별로 없었기 때문에 자신의 이론에 대해 있을지도 모를 반론에 대한 논박도 글로 썼다. BC 221년 통일 후 시황제가 된 당시의 진왕 정은 한비자의 글을 읽고 이를 높이 평가했다. BC 234년 진은 한을 공격했고, 한왕은 한비자를 진에 협상자로서 파견했다. 진왕은 한비자를 보고 매우 기뻐하며 그에게 높은 직위를 주려고 했다. 진의 승상이자 이전에 한비자와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한 이사(李斯)는 한비자가 자신보다 더 뛰어났기 때문에 왕의 총애를 잃을까 두려워, 한비자가 이심(二心)을 가졌다고 모함하여 그를 투옥시켰다. 이사는 한비자를 속여 그가 스스로 독약을 마시고 자살하게 했다.정치사상한비자는 정치제도란 반드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유가처럼 과거의 낡은 제도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어떤 사회에 속하는 사람들의 풍습은 도덕적 감성이 아니라 그 사회의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변화하며, 정치제도는 당연히 이것에 따라 조정되어야 한다. 흉년이 들면 사람들은 그 친척에게도 양식을 주지 않지만, 반대로 풍년이 들면 낯선 사람에게도 음식을 대접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인색하거나 관대하기 때문이 아니고 구할 수 있는 양식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물자가 풍부했던 옛날에는 사람들이 재물을 가볍게 여겼으나, 인구가 점점 증가하여 물자가 부족하게 되자 사람들은 재물을 두고 서로 다투게 되었다. 따라서 군주는 사람들을 선하게 만들려고 노력하기보다 악한 일을 하는 것을 막도록 해야 한다. 백성들은 이기적이면서도 무엇이 진정 자기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군주는 그들의 인기를 얻으려고 노력해서도 안 된다. 백성들의 마음은 어린아이의 마음과 같아서 믿을 것이 못 된다. 유가의 이론에 따르면 덕이 있는 왕만이 다스릴 수 있으며, 덕이 없는 왕은 그 지위를 잃게 된다. 그러나 한비자의 생각은 이와 달랐다. 통치자의 도덕적 품성이 어떻든 또 그가 어떻게 다스리든 상관없이 권력(그는 이를 愼到의 이론에 따라 勢로 설명했음)을 가졌다는 것은 이에 대한 절대 복종을 요구할 권리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 색인 : 권위). 신하가 군주에게 복종하며, 아들이 아비에게 복종하고 아내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하는 것은 이 세상 어디에서나 변함없는 대원칙 중의 하나이다. 군주가 비록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도 신하는 군주의 자리를 감히 넘보아서는 안 되며, 정치적인 의무는 다른 모든 의무에 우선되어야 한다. 어떤 병졸이 그가 전사하면 부모를 봉양하지 못할까 두려워 싸움터에서 도망쳤다. 한비자는 이에 대해 "효자는 그 군주를 배반하는 신하가 될 수 있다"라고 평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돈이 많으면 행복하다? 라는 주제로 토론하게 됬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분명 상황과 사람에 따라 돈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게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말이 있습니다. 1.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면, 돈이 부족한 것이다2. 벤치에서 우는것보다 벤츠에서 우는게 낫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에는 서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알려진바에 따르면 다빈치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모나리자도 서명이 없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티베트는 장례를 왜 조장으로 합니까?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장례방법은 그곳의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인문환경과도 관계가 있습니다.조장은 장지를 마련하기 어렵거나 화장 시 연료가 부족하거나 하는 자연환경과. 죽은 자의 영혼이 새들을 통해 높은 곳으로 가리라는 종교적 신념에 의해 정착된 것으로 보아 도덕적 규범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화 올빼미는 사실입니까? 픽션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영화 올빼미는 인조(유해진)의 아들 소현세자(김성철)의 죽음을 둘러싼 역사적 실화 미스터리를 기반으로 상상력을 발휘하여 손에 땀을 쥐는 각본과 연출로 완성해낸 작품입니다.​학계에는 다음과 같은 추측들이 있습니다.1. 인조가 살해하였다?2. 어의 이형익이 독침으로 살해하였다?3. 반대파 신하들이 공모를 하여 살해하였다?​영화 올빼미에서는 1번과 2번의 추측을 혼합하여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냈습니다.​영화는 병자호란 후 청에 볼모로 끌려갔던 소현세자가 돌아 오는 것으로 시작하는데요.​영화는 역사에는 실존하지 않는 천경수(류준열)라는 눈이 보이지 않는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켜 극을 진행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캘리그라피를 응용한 작품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캘리그라피를 이용해서 달력, 컵, 도장, 봉투, 텀블러 등 여러가지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슬로건이나 로고처럼요
역사
역사 이미지
Q.  유씨와 류씨는 서로 다른 성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 [유]로 표기되는 성이 몇 가지 있습니다. 아주 흔한 유씨로는 《유(劉)》《유(柳)》《유(兪)》등이 있는데 [유(劉)]는 뜻이 " 죽일 류/ 베풀 류" 등이고 [유(柳)]는 "버들 류"자이며 [유(兪)]는 "점점 유/ 넘을 유/ 병나을 유" 등등의 뜻이 있습니다.보시다시피 그 음은 류, 또는 유인데 이 글자들이 성씨로 쓰여 맨 앞에 오게 되면 우리나라의 두음법칙에 따라 유음(流音)인 [ㄹ]이 [ㅇ]으로 바뀌게 되지요. 그래서 얼마 전에는 모두 《유》씨로 불렸습니다. 그런데 "유(柳)씨" 측은 표기가 같은 다른 유씨들과의 혼동 때문에 큰 불편을 느끼고 있다면서 그들의 성을 두음법칙에 구애받지 않고 본래의 한자 음대로 "류"로 표기하기로 한 것입니다. 또 이북에서는 류로 표기하는 것이 굳어져 있습니다.그런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류씨종친회의 결정일 뿐이며 법적으로는 공인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호적이나 백과사전, 공문서, 교과서 등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고, 경우와 필요에 따라서 류로 표기되는 일이 있는가 하면 유로 표기되는 일도 있는 것입니다. 柳씨라고 하더라도 공문서나 공인 시험지 등에 [류]로 표기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을 당할 우려도 있다고 합니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노래제목중 위드와 피쳐링 차이점?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곡에 있어서 주연이냐 조연이냐의 차이로 보시면 이해하기 편하실겁니다. 분량은 의미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대한민국에 김, 이, 박 씨가 많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중~후기 "성"을 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즉, 부를 축적한 사람들은 왕족이나 귀족의 성을 사고자 했습니다.지금으로 따져보자면 "신분 상승"을 꾀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그래서 신라의 후손인 김씨, 조선 왕조의 이씨, 신라 시조의 박씨 등의 성을 샀던 것입니다.그들 모두가 정말 자손들이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일종의 "편법"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물론 정말로 조상인 사람들도 있겠습니다만 질문자님의 말씀처럼 이와 같이 김,이,박씨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것은 저 역시 이해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조선 중 ~ 후기 족보 등을 샀다고 밖에는 생각할 수 없죠.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