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 나라 백화점에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백화점에 시초는 어떻게 되는지 역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주)현대백화점'은 1971년 6월 15일 '금강개발산업(주)'라는 상호로 설립되었으며, 2000년 4월에 현재의 상호인 '(주)현대백화점'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백화점 사업부문에 진출한 것은 1985년 압구정 본점을 개점한 것이 시초입니다. (주)현대백화점 [(株)現代百貨店, Hyundai Department Store Co., Ltd.] 업종 : 유통·호텔·용역 설립자 : 정주영 설립일 : 1971년 6월 15일 상장일 : 1989년 8월 22일 소재지 :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456 총자산 : 1조 6925억 원(2003) 매출액 : 1조 7540억 원(2003) 1971년 설립하여 강릉 동해관광호텔을 개관하고, 1977년 현대쇼핑센터를 개점하였다. 백화점 사업부문에 1985년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을 개점한 이래 무역센터점, 반포타운, 중동점, 부산점, 천호점, 울산점, 광주점, 신촌점을 잇따라 개점하였다. 1989년 기업공개하고, 1995년에 도매물류업체인 한국물류(주)를 인수하는 등 경영다각화를 추진하였으며, 해외 직접 진출 1호점인 러시아의 호텔현대 VBC(블라디보스토크 비즈니스센터)를 1997년 개관하였다. 1999년 4월 현대그룹에서 계열 분리하였으며, 6월에 USFI(주)를, 12월에 G-NET(주)와 e-현대백화점을 설립하였다. 2000년 4월 금강개발산업(주)에서 현재의 상호로 변경하고 백화점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유통사업과 인터넷사업에도 진출을 확대, 2001년에 호텔현대(주)와 현대홈쇼핑(주)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2002년 11월 사업의 전문화와 경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여행사업·법인사업·임대관리·유니폼생산 등의 비백화점부문을 (주)현대백화점H&S로, 백화점부문을 (주)현대백화점으로 분할하였다. 다음은 (주)현대백화점의 연혁입니다. 1971. 6 금강개발산업(주) 설립 1971. 7 강릉 동해관광 호텔 1977. 8 현대쇼핑센터 개점 (現 현대백화점 울산동구점) 1982. 4 안양사업소 개설 1983. 1 울산다이아몬드 호텔 개관(現 호텔현대 울산) 1985.12 현대백화점 압구정점 개점(現 현대백화점 본점) 1988. 9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개점 1988.12 반포레져타운 개점(現 현대백화점 반포점) 1989. 8 기업공개 1991. 2 현대백화점 부평점 개점 1992. 7 호텔 현대 경주 개관 1995. 1 현대드림투어 발족 1995. 8 현대백화점 부산점 개점 1995.12 엑소후레쉬(주) (단체급식사업)지분참여 1996. 2 (주)한국물류 (종합 도매물류업)인수 1997. 8 현대백화점 천호점 개점, 호텔현대 VBC(블라디보스톡 비즈니스 센터)개관 1998. 3 (주)주리원 (現 (주)현대DSF), 현대백화점 울산점 개점 1998. 6 광주 송원백화점 위탁경영 (OMA계약), 현대백화점 광주점 개점 1998. 7 현대백화점 신촌점 개점 1999. 4 현대그룹에서 계열분리 1995. 8 현대백화점 부산점 개점 1999. 6 (주)USFI 설립_주한미군 식자재 프라임 밴더 선정 1999.11 新 C.I.선포 1999.12 (주)G-NET(단체급식사업)설립, (주)e-현대백화점 설립 2000. 4 주식회사 현대백화점으로 상호변경 2000. 5 COEX Mall 개발 및 오픈 2000. 6 CREATE·VISION - 2006 선포 2000. 9 (주)넥스에어 설립 2001. 1 (주)호텔현대 법인 설립 2001. 5 (주)현대홈쇼핑 법인 설립 2001. 6 (주)현대 지-네트 법인명 변경 2001. 8 주식회사현대백화점 미아점 개점 2002. 6 HCN 인수, 설립 2002. 8 주식회사 현대백화점 목동점 개점 2002. 11 (주)현대백화점, (주)현대백화점H&S 2개 법인 분리 2003. 8 주식회사 현대백화점 중동점 개점 2005. 9 ㈜CCS, ㈜충북방송 인수 2005. 5 현대백화점그룹 농협유통과 `하나로·현대클럽(가칭)` 할인점사업 공동추진 업무제휴 2005. 1 ㈜현대푸드시스템, ㈜현대 지-네트 법인명에서 변경 2006. 1 (주)현대 F&G, (주)한국물류 법인명에서 변경
Q. 뼈로 만들어진 성당이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포르투갈의 에보라시에는 세계 어느곳에서도 볼수없는기괴한 성당이 있습니다.일명 유골의 성당이라고 불리우는 문제의 장소에는15세기 중반부터 16세기 초반까지 무려 5000여명이넘는 사람들의 유골이 성당의 건축재료로 쓰였다는특이한 곳입니다.다른 성당들과는 달리 사진촬영이 자유로이 허용되고있는 유골의 성당 벽에는 그곳의 유골들중 유일하게옷을 입고 미이라처럼 굳어 벽에 걸려있는 어느아버지와 아들의 시신이 있고, 문제의 부자 시신에는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내려오고 있습니다. 16세기 초반 포르투갈의 에보라시에는 매일같이 술을먹고 자신의 부인을 구타한 못된 남편이 있었습니다.매일 아침 술에서 깨어나 일어나 부인에게 사과한문제의 남편은 부인이 자신의 생명에 위험을 느끼고공포에 떨자 안심시킨뒤 매일밤 또 술을 먹고 구타를하였습니다.자신의 어린 아들을 데리고 집에서 도망가려한부인은 어린 아들이 남편의 편만을 들자 낙심을하였고, 그날밤 도주를 하려다 술주정을 하는 남편에게 붙들린 부인은 남편이 떠밀쳐 뒤로 넘어지다머리를 부딛혀 사망을 하게 되었습니다.숨이 넘어가던 부인은 술주정을 하던 남편에게'당신같은 사람은 지옥도 거부할 나쁜인간'이라는저주를 하였고, 얼마후 술에서 깨어난 남편은 매우낙심해하며 술을 끊고 살다 아들과 함께 굶어죽게됩니다. 두 부자의 시신을 부인의 무덤이 있는 장소 바로 옆에묻으려 했던 마을 사람들은 이상하게도 곡괭이와 삽이내리쳐지는 땅이 갑작스레 바위처럼 딱딱해져 파낼수가 없는 이상한 모습을 보았고, 이를 지켜보던 유골성당의 수도승들은 두 부자의 시신을 가져다 건설이끝난 성당의 벽에 매달았습니다.당시 벽에 매달린 시신은 이상하게도 바로 썪지를않아 유골 성당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의아해하게하였다고 하며, '항상 부인을 사랑하고 위하라'는푯말을 써붙인 수도승들은 그때서부터 마을에주정을 부리며 부인을 구타하던 사람들의 숫자가급격히 줄어든 모습을 보았습니다.그때서부터 에보라시에서는 새로 결혼하는 처녀들이 머릿칼을 잘라 행복한 결혼생활을 기원하기위해 유골 성당의 입구에 매달아 놓았다고 하며,문제의 풍습은 오늘날까지 전해내려오고 있습니다.16세기 옷을 그대로 입고있는 두 부자의 시신은오늘도 유골 성당의 벽에 매달려 있다고 하며,'우리 유골들이 당신의 유골을 기다리고 있다'는소름끼치는 모토를 가진 유골 성당은 오늘날 포르투갈에서 빠질수 없는 관광명소가 되었습니다.
Q. 마지막 황제였던 고종은 어떤 왕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가 고종에 대해서 생각하면 망국의 책임이 있는 왕이며, 아버지 및 부인에게 휘둘려 제대로 왕권을 가지지 못한 우유부단한 왕이라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고종에 대해서 "최선을 다한 왕"이라 평하고 있습니다.물론, 다른 왕들처럼 출판물이나 제도의 기틀을 잡지는 않았지만, 망해가는 왕조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곳곳에서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대적 흐름 및 현실은 조선을 망국으로 치닫는 것을 막을 수 없는 형편이었고,고종 나름대로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역부족이었던 것이 사실입니다.고종 초기의 일들은 대원군의 섭정에 따른 일이라 고종의 업적에서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고종 초기의 업적이라 함은 아무래도 "세도정치의 타파"라 할 수 있겠지요.이는 앞서 말했듯 대원군의 업적이었습니다. 하지만 망국으로 치닫는 조선을 대원군도 어찌할 수 없었습니다.1.서울 도심 정비-이것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고종은 아관파천 이후, 서울(당시의 종로)의 도로를 재정비하였고, 서울로 통하는 도로를 개통하기도 하였습니다.또한 "광장"을 만들어 신민들이 집회 및 모임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이 광장은 현재 서울광장의 위치이며, 탑골공원(구 파고다공원)도 이때 만들어졌습니다.2.황제즉위-허울뿐인 황제라 하지만, 고종의 입장에서는 조선독립을 위한 상징적 움직임이었습니다.타국에서는 고종을 황제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자주독립을 기본으로 하는 황제국가를 선포한다는 것은고종의 강인한 독립 의지를 엿볼 수 있는 근거라 할 수 있겠습니다.3.헤이그 특사 파견-을사늑약은 고종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아무런 힘이 없었지요.하지만 고종은 이후, 3인의 특사를 헤이그 파견함으로써 조선의 독립의지를 전세계에 나타내려 했습니다.그러나 안타깝게도 실패로 끝나, 자신이 강제퇴위 당하는 일로 이어지게 됩니다.4.소학교령-고종의 업적중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 중 하나입니다.고종은 소학교령을 공포하면서,현재 초등학교의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보통 초등학교는 일제시대때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초등학교는 고종때 계획된 것으로신민의 교육에 힘썼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