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수대첩은 어떠한 전쟁 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석거로 사수의 얼음을 깨 방효태가 이끄는 옥저도행군을 꼼짝 못하게 한 뒤, 연개소문은 패강도행군을 급습해 임아상이 난전 중 전사한다.[8]옥저도행군의 총사령관인 방효태는 영남의 수군을 이끌고 사수에 진영을 쳤는데, 연개소문이 사수 언덕에서 방효태에게 맞서 싸웠으며, 방효태가 대패하면서 수만명이 전사했다. 어떤 사람이 그에게 유백영이나 조계숙의 진영에 가기를 원했지만 자신이 끌고온 영남 자제들이 모두 전멸했는데 자신 혼자만을 구할 수 없다고 이를 거부하며 싸우다가 그의 아들 13명과 함께 전사했다.[9]이후 소정방을 중심으로 살아남은 당군은 김유신의 구원을 받고 식량을 받은후 철군했다고 한다.이 전투까지 당나라는 6개 도행군 가운데 절반[10]이 총사령관을 잃었다. 당 고종의 요구로 고구려 영토 내로 진입해야 했던 신라군과 평양에서 헤메던 소정방군은 적지에서 싸그리 몰살당할 위기에 처했고, 고구려 입장에서는 지긋지긋한 전란을 단 한번에 완전히 종결시켜버릴 기회를 얻었다고 할 정도로 고구려의 결정적인 승전이었다.하지만 여기서 김유신의 신라군은 놀라운 기동으로 고구려의 방위선을 우회한 뒤 폭설이 내린 날을 노려 소정방군을 압박하던 고구려군의 포위망을 풀어냈고, 소정방은 신라가 지원해준 보급품을 받은 뒤 바로 퇴각했다고 한다. 이후 고구려군은 소정방과 김유신 양쪽을 추격했으나, 양쪽 모두에 치명적인 타격은 입히지 못한 채로 격퇴하는 정도만 성공한다. 비록 당나라군에 대해서는 이미 당나라군 수뇌부의 절반을 공중분해시킨 수준의 대타격을 입혔으니 덜 아쉬웠겠지만, 신라군의 재치있는 대처로 인해 신라군의 수뇌부에 결정타를 날리지는 못한 점은 많이 아쉬웠을 듯 하다.당나라에서는 소모전 전략에 이어 결정타를 날리려 했으나 이전부터 계속 공을 세우지 못했다고 평한다. 그리고 전쟁 일체의 중단을 선언하게 되었으며 웅진도독부에 대한 지배마저도 재고하고, 철군하거나 신라에 의탁하려 하였다. 하지만 유인궤의 결사적인 반대로 인해 결국 웅진도독부의 유지를 결정하고, 이는 수년 뒤에 신의 한 수로 작용하게 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이 중화사상을 가지게된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국인(주로 한족[漢族]) 특유의 자문화 중심주의 사상이자 실질적 종교. 골자는 중화 문명(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며, 그 문화적 역량이 어떠한 다른 문명보다도 우수하다고 믿으며, 다른 문명을 오랑캐로 낮잡아보는 사상. 국가 명칭부터가 '중심 국가'라는 의미의 '中國'이다.되려 젊은 중국인일수록 중국 정부의 애국주의 교육으로 인해 중화주의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 물론 해외와의 교류가 많은 중국인들의 경우는 안 그런 경우도 많지만, 중국에서 자국 여권 보유자 비율은 고작 8%밖에 안 된다. 즉, 그 수가 별로 없다.역사적으로 '중국'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 것은 상주 시대부터 확인할 수 있는 일로, 이(夷), 만(蠻), 융(戎), 적(狄) 등을 비롯해 수많은 이민족들이 존재했던 상황을 당시 문헌들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이후 춘추전국시대에 이민족과의 잦은 충돌을 빚으면서 '중국'과 '중화'의 정체성이 확립되다. 이 사상은 춘추전국시대부터 진(秦)ㆍ한(漢) 시대에 걸쳐 등장하기 시작했고, 특히 전한 시대의 공양학(公羊學)에서 두드러지며 오행 사상 등과 결합하면서 이론적으로 정립되고 기본적인 외형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한나라가 주변 민족들을 동서남북 다 털어버리기 전까지는 내부에서도 흉노와 같은 유목민들이 더 남자답다고 여기고 가서 선우가 되어 한나라를 괴롭힌 사람들이나 조타처럼 다른 농경 이민족들의 왕이 되어 나름 부심을 부리고 산 사람들이 꽤 있었다. 그리고 국제적 왕조인 당나라 이후부터는 주변국에도 본격적인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으며, 남송대 이후 발달한 성리학은 천자 중심의 질서를 더욱 크게 강요하였다.재미있는 사실 중 하나는 중화 사상이나 중국 문명 자체의 시초[5]라고 볼 수 있는 주나라의 경우 연구 결과 의외로 초기에는 유목민 정복자[6]들이었다. 기록에는 상나라가 매우 포악해서 망했다고 되어 있지만 막상 주나라 사람들 역시 초창기에는 주변 민족들에게 별로 자비롭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제강점기 배경의 영화들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주, 군함도, 박열, 말모이, 덕혜옹주, 항거: 유관순 이야기,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모던보이, 해어화, 원스 어폰어 타임, 라듸오 데이즈,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놈, 2009로스트 메모리즈, 바람의 파이터 등이 있습니다
철학
철학 이미지
Q.  우파 좌파라는 말이 생긴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떤 정치적으로 왼쪽 편에 선 사람들을 좌파라고 하고 오른쪽에 서 있는 사람들을 우파라고 한다. 이 때 '파' 라는 한자는 派 으로 어디에 속해 있을 경우 무리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한자이다. 실사용의 예로는 파벌, 파당, 분파, 편파, 파편 등이 있다. 派, 파라는 한자는 원래 하나였다가 쪼개져 나뉜 후 다시 하나로 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한다.​좌파와 우파의 비슷한 말로는 좌익, 우익이 있다. 이때 '익' 은 날개 익(翼)이라는 한자로 새의 날개를왼쪽 날개, 오른쪽 날개라고 표현할 때 좌익, 우익이라고 표현한다. 현재는 비행기의 날개도 같은 표현을 한다. 익(翼)이라는 한자가 사용된 이유는 Right wing, Left wing 이라는 영어 단어를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wing 이라는 단어에는 파(派, party)라는 의미도 있다.​정치적 이념에서 유럽에서의 진보와 보수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프랑스대혁명에서 시작되었다고 봐야 한다. 본래 좌, 우라는 위치의 개념이 정치적 신념으로 상징된 것은 프랑스대혁명이 일어난 직후부터 등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도산 전투는 어떠한 전투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733년 윤3월 발해가 거란(契丹)의 가돌우(可突于)를 후원하여 당군을 하북성 천안현 북쪽에서 궤멸시킨 전투이다. 이때 가돌우는 돌궐(突厥)의 병력을 동원했고, 당군을 돕던 해(奚)는 변심하여 결정적인 순간에 돌아섰다. 발해와 당 이외에도 거란·돌궐·해가 개입된 국제적인 전투였으며 발해가 국제정세를 잘 활용해 최종적으로 승리하였다.
2262272282292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