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전문가입니다.

김동연 전문가
보가9 그래픽 디자인 및 영상 편집 총괄
미술
미술 이미지
Q.  인공지능(AI)가 미술, 소설 등의 예술 문학쪽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차피 인간의 정보를 토대로 만들기도 하지만,틀안에서 생각하는 인간에 비해 새로운 범주의 영역으로 보여줄 수 있을거라고 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동물이 가장 먼저 가축화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야생동물이 인간에 의해서 순화되어 가축화된 것은 선사시대부터인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신석기시대에 이르러서는 오늘날에 볼 수 있는 대부분의 가축들이 가축화된 것으로 되어 있다.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최초의 가축은 개로서 약 1만 2천년 전에 이미 사육되었고, 소·말·돼지·면양·염소 등은 1만여 년 전에 가축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된다.우리나라의 재래종 소인 한우는 유럽원우와 인도원우의 혼혈에서 출발하여 1800∼2000년 전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다른 소의 품종과 교잡 없이 단일종으로 번식하여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말은 고대의 부여·고구려 때부터 사육되어왔고, 돼지는 2000여 년 전 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우리 민족의 원시조상인 읍루족에 의해서 사육되기 시작하였다.면양은 기원전 150여 년경에 부여에서 사육하였으며, 산양은 우리나라에서는 염소라고도 하는데, 1000년경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처음 들여왔다는 설이 있다. 부여에서는 군사(軍事)가 있을 경우 소를 잡아서 그 발톱의 상태로 길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었는데, 소의 발톱이 벌어진 경우는 흉조로 합쳐진 경우는 길조로 삼았다고 하며, 고구려에서는 제천행사 때 돼지를 잡아 제를 지냈다고 한다.또 변한에서는 소와 말을 혼례식에 이용하였으며 마한에서는 순장에 이용하였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가축들은 사육 초기에는 주로 희생·순장·점술에 이용되었으며, 식용은 부차적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삼국지』 위지 동이전 부여조에 부여족은 짐승을 기르는 데 능숙하고, 관직명으로 마가(馬加)·우가(牛加)·저가(猪加)·구가(狗加) 등 가축의 이름이 붙어 있다는 내용이나, 『위서』 고구려조에 유화가 알을 하나 낳았는데 부여왕이 이 알을 개에게 주었더니 먹지 않았고 돼지나 말·소에게 주어도 피하였다는 주몽의 탄생설화, 백마·백계(白鷄)와 관계있는 박혁거세·김알지의 탄생설화, 읍루족에게는 소·말이 있고 돼지를 즐겨 기른다는 기록, 제주도에서도 소와 돼지를 기르고 마한에서는 세미계(細尾鷄)가 난다는 기록 등은 우리나라 고대의 가축사육을 추측할 수 있는 사료들이다.고려시대에는 초기부터 목축을 권장하여 내륙·섬 등에 소나 말을 사육하기 위한 국립목장이 운영되었고, 공사(公私)의 제(祭)에 암컷을 쓰는 것을 금하였으며, 마정을 다스리는 사복시(司僕寺), 잡축(雜畜)을 기르는 전구서(典廐署), 제사용 희생을 맡는 장생서(掌牲署) 등의 직제가 있었다.『고려사』 병지(兵志)에 의하면 가축의 사육료식(飼育料式)도 있었는데, 이것은 일 년을 두 시기로 나누어 5월부터 9월까지를 청초절(靑草節), 10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를 황초절이라고 하며 가축 한 마리에 대한 매일의 피·콩·소금 등의 공급량을 규정한 것이다. 고려시대의 가축은 주로 전쟁과 운반·농경에 쓰였다.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가축은 주로 역용으로 사육되었으며, 유교의 사농공상 계급관념은 실학이나 실업을 천시하여 가축의 사육과 이용이 장려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까지도 가축사육은 농사를 짓기 위한 노동력의 확보, 군마의 육성, 그 부산물로 얻어지는 두엄 등을 이용하는 데 불과하다가 민족항일기에 이르러, 식민정책의 영향으로 외국가축의 도입, 관영목장의 경영, 일본인들에 의한 유우·면양·종마 등이 산업적으로 사육되기 시작하였다.1945년 광복을 전후한 사회혼란기에는 일본인 소유였던 젖소·종축을 비롯한 많은 가축이 도살되어 그 당시의 가축 수는 광복 전에 비하여 반으로 줄어들었다. 미군의 군정실시 후 어느 정도 사회질서가 회복되면서 가축장려정책이 수립되었으나, 6·25전쟁으로 가축의 수는 급격히 감소하게 되었다.전쟁이 끝나고 1953년에 제1차 축산부흥5개년계획을 수립하여 1957년에는 남한에서 사육된 가축의 수가 광복 전의 남북한 전체 가축 수보다 많게 되었다. 1958년 제2차 축산부흥5개년계획으로 부업형태의 가축사육이 유축농업적(有畜農業的)인 형태로 전환하게 되었다. 그 뒤 주로 미국으로부터 각종의 가축품종들이 도입되었는데, 특히 가금류와 중소가축의 도입이 활발하였다.1960년대에는 경제력과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축산물의 수요가 점차 늘어남으로써 사회적·국가적 차원에서 축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어, 1962년부터 시작된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기간에는 낙농·양계 부문에서 상업적인 축산이 시작되게 되었다.그 뒤에도 한우육성과 비육, 낙농사업 등의 축산진흥정책이 계속적으로 수립되어 농가경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기업적·전업적인 수준에서 가축을 사육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기원전 기원후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원전을 뜻하는 BC와 기원후를 뜻하는 AD는 그 의미가 무엇이든 지금은 너무나 널리 쓰이고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려고 하지도 않고 궁금해 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일본이 아직도 메이지(明治)니 헤이세이(平成)이니 하는 연호를 사용하여 연대 표시를 하고 있음을 기억한다면 그 옳고 그름을 떠나 연대표시라는 것이 세상 모든 사람, 모든 나라에서 같은 것을 사용해야만 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나라도 1950년대까지는 단기(檀紀, 단군 기원)를 사용했다.특히 BC와 AD가 어떤 의미를 갖고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 알고 나면 여러분의 생각에 꽤 큰 충격이 있을 것이다. 우선 우리말부터 살펴보자. 기원(紀元)이란 햇수를 세는 기준이 되는 해를 뜻한다. 그러니까 기원전(紀元前)이란 햇수를 세는 기준이 되는 이전이란 의미다. 사실 나로서는 이 단어의 의미를 오래전부터 이해할 수 없었다. 선사시대(先史時代)가 역사의 기록을 남기기 이전 시대란 것은 그래도 이해가 간다. 기원전 수천 년 동안 인류는 대단한 문명의 발전을 이루었고, 인류의 기원, 문명의 기원, 다양한 종교의 기원, 철학의 기원이 될 만한 자취를 남긴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갑자기 햇수를 세는 기준이 왜 그때부터 시작되어야 하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던 것이다. 사실 지금도 기원전 시기가 햇수를 세는 기준도 못 되는 낙후된 시대라는 인식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래서 서기전(西紀前), 그러니까 서양에서 사용하는 기원 이전이라는 명칭이 더 옳다고 생각한다.그렇다면 기원전이란 명칭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을까? 기원전, 즉 BC는 기원후, 즉 AD와 떼어서는 생각할 수 없는 개념이다. BC는 알다시피 ‘before Christ’, 즉 ‘그리스도 이전’이란 의미다. 그러니까 결국 기원은 그리스도의 탄생을 뜻한다. 그리스도 탄생 이전은 햇수로서의 의미도 없다는 기독교적 사고의 산물인데, 이것도 사실은 17세기에 들어서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전에는 A.U.C.(ab urbe condita), 즉 ‘도시의 건립으로부터’라는 뜻을 갖는 용어를 사용했다. A.U.C.는 기원전 753년이 원년인 것으로 보이는데, 이때 도시란 곧 로마를 의미한다. 한편 A.M.(anno mundi)도 사용했는데, 이는 ‘세상의 해’라는 의미로 기원전 3761년에 세상이 창조되었다고 보는 유대교 책력에 따른 것이다.
음악
음악 이미지
Q.  비발디의 사계가 인기있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발디비발디의 작품의 양은 대단히 많으며, 약 40곡의 가극을 비롯하여 성악곡, 실내악곡, 협주곡 등이있으며, 특히 협주곡은 오늘날의 협주곡에 한 걸음 다가선 것으로서, 음악사상에서도 높이 평가되고있으며, 연주되는 기회도 많다.음악의 특징은 "사계"에서 볼 수 있듯이, 주제가 명확하다는 것, 화성이 뚜렷하다는 것, 교향곡이나소나타 형식의 기초가 되었다고 생각되는 구성 등이다. 비발디의 곡이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은 이런이유 때문일 것이다. 비발디가 다른 작곡가에게 준 영향도 커서, 바흐가 그의 작품을 연구한 사실이 유명하다. 바흐작곡의 오르간 협주곡에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바탕으로 한 곡이 있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또 코렐리, 토렐리의 뒤를 이어, 합주 협주곡·독주 협주곡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그의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비발디 사계"여름"협주곡 제2번 사단조 "여름" in G minor제 1 악장 : Allegro non molto-AllegroAllegro의 빠른 악장. 전반부에 가축과 사람을 지치게 만들고,또 푸른 들판의 나무와 풀들까지도 붉게 물들이는 폭염을 권태롭게 묘사하는 짧은 모티브로 시작하는데, 이어, 솔로 바이얼린이 비둘기의 울음소리를, 현악약주가 산들바람을 묘사한 후 32분음표로 연결되는 격렬한 폭풍으로 곡을 끝맺는다.내리쬐는 햇볕이 뜨거운 계절, 사람도 가축도 축 늘어졌다. 빠국새가 울고, 멧비둘기와 방울새가 노래한다. 산들바람이 솔솔 분다. 그러다가 느닷없이 폭풍이 몰아친다. 양치기는 소나기가 두려워서 신세를 한탄한다.리토르넬로는 무더운 여름분위기를 나타낸다. 뻐꾸기와 산비둘기 같은 여러 새들이 노래한다. 힘없는 바람이 땅 위로 불 때에 "거기에 대항하여 북풍이 불시에 불어와 덮친다." 빠른 32분음표의 소리가 폭풍이 되어 달려든다.날카로운 화음들은 사람들의 공포를 묘사한다. 하지만 그것은 순간일 뿐 모든 것은 곧 지나간다.제 2 악장 : Adagio-presto-Adagio2악장은 22마디에 불과한 짧은 간주곡(패지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폭풍전야의불안한 생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악장입니다.사람을 공포와 불안으로 몰고가는 번개와 천둥을 트레몰로 강주로 표현하고 있고,이후에 솔로바이얼린은 귀찮고 성가신 파리와 모기떼의 극성을 익살스럽게 표현해내고 있다.번개와 천둥에대한 두려움, 극성을 부리는 파리와 모기떼에 시달려 양치기는 쉬지도 못한다.제 3 악장 : Presto갑자기 들이닥친 폭풍을 묘사한 것이다. 무시무시한 번갯불과 천둥소리가 들리고폭우가 쏟아진다. 이로써,애써 가꾼 농작물에 엄청난 해를 주고 사람들이 걱정하는 모습을 묘사한다. 비스듬히 퍼붓는 하행 패시지나, 트레몰로를 강주하는 현악합주로 묘사되고 있다.양치기의 걱정은 현실이 되었다. 하늘에서는 천둥 번개가 우르릉 쾅쾅,이윽고 우박이 퍼붓듯이 쏟아져서 다 자란 보리 이삭들을 때린다."하늘은 으르렁대고 우박은 옥수수와 꼿꼿이 서 있는 콩들을 부러뜨린다." 트레몰로, 쏟아지는 음계,분산화음, 안절부절못하는 베이스음형, 분주한 현 바꿈을 위한 손놀림, 높은 음역의소리들이 특징적이다. 독주 음악도 이러한 분주한 소리와 함께 같이 간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양반과 상놈은 어떻게 구별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조선 시대의 신분 구분 조선 시대의 신분은 양반, 중인, 상민, 그리고 천민으로 나누어 졌습니다. 신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제각기 할 수 있는 일과 권리 그리고 의무가 달랐습니다. 2. 각 신분이 한 일 양반 : 양반은 조선 시대 때에 가장 높은 신분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양반이 신분인 사람은 관리가 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직접 참여하였습니다. 중인 : 중인은 양반 다음의 계급입니다. 그래서 중인은 양반을 도와 관청에서 일하였습니다. 상민 : 농업이나 수공업, 상업 등에 종사하였습니다. 농업에 종사하는 농민에 가장 많았습니다. 천민 : 천민은 조선 시대 때 가장 낮은 하급 계급이었습니다. 천민에는 '종'이라고 불린 노비들과 천하게 여겼던 직업에 종사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3313323333343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