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허리가 아파서 병원을 갔는데요, 의사선생님께서 제 나이를 잘못 들으신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측만증으로 인하여 허리 통증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측만의 정도가 심하지 않고 다른 부분에 큰 이상이 없기에 그렇게 말씀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측만증으로 인하여 좌우 근육의 길이 차이, 좌우 근력의 차이 등으로 통증이 발생할수 있으며 척추 주변의 인대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고 그로 인한 염좌 증상일 발생한 것일수도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물리 치료 보다도 도수 치료, 체외 충격파, 주사 치료와 같은 치료를 받아 보시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Q. 귀에서 삐~ 소리가 하루에도 몇번씩나요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이명은 주파수가 높은 금속성의 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윙 거리거나 벌레 우는 소리, 찡 하는 소리, 바람 소리 등으로 단순음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3/4 정도 됩니다. 이러한 소리들이 합쳐져 복합음으로 표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육체적 스트레스로 악화될수 있으며 신경이 예민해져 있을 때, 조용할 때 심해질수 있습니다. 원인 질환에 따라 청력 저하, 어지러움증이 동반되기도 합니다.이명은 청각성과 비청각성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청각 기관의 손상으로 인한 청각성 이명이 대부분을 차지 합니다. 청각 기관의 손상의 원인은 나이에 따른 노인성 난청, 강한 소음에 따른 소음성 난청, 원인 미상의 감각신경성 난청, 메니에르병, 만성 중이염, 뇌신경 종양, 약물로 인한 청각 손상 등이 있습니다. 이명의 치료는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집니다. 귓속의 염증, 돌발성 난청, 메니에르병과 같은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질병에 맞는 약물 치료를 합니다. 따라서 우선은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다면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겠습니다.
Q. 무릎연골이 안좋으면 무릎강화 운동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무릎 연골 손상, 염증이 있다면 운동도 좋지만 휴식 및 치료가 우선입니다.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필요하다면 물리 치료, 약물 치료, 연골 주사를 맞는것도 좋습니다. 무릎 연골 자체를 강화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연골은 손상되면 잘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무릎 주변의 힘줄, 특히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평지 걷기, 실내 자전거, 수영이나 아쿠아 운동 등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