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아가는 김민수입니다.

안녕하세요,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아가는 김민수입니다.

김민수 전문가
(주)에스디엠
문학
문학 이미지
Q.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시작할 때 "아니.."라는 말을 붙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아니’라는 말은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나 감탄사 이외에 어떤 사실에 놀라워하거나 의아할때 쓰이는 감탄사의 용도와 어떤 사실을 강조하는 부사로도 사용됩니다. 질문자께서는 상대방의 말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지 않고 사용한다 말씀하셨으므로, 위에 언급한 마지막 용법, 즉 뒤에 이어질 본인의 말을 강조하는 의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국립국어원 답변에서도 이는 확인이 되는데 국어 사전의 용례를 들어 ’아니‘를 (강조)부사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질문에 답변하면서 이용한 용례는 다음과 같습니다.“나는 이것을 할 수가 없다. 아니, 죽어도 못하겠다”“아침까지만 해도, 아니 점심 먹을 때만 해도 아무 일이 없었던 집 안이 눈 깜짝할 사이에 아수라장이 된 것이다.” 따라서, 부정이나 남의 탓을 하기전에 사용하는 의도가 없다면, 국어 사전적인 의미로는 위의 설명이 가장 적합하다고 하겠습니다.다만, 말을 시작할때 (부정의 의미 없이)사용되는 ‘아니’라는 부사는 위에 설명한 (강조)부사의 용법만으로 설명하기는 부족합니다.본인의 말을 강조하려는 (강조)부사의 의미에 더하여, 말을 시작 할 때 주의를 끌고, 부정적 뉘앙스의 단어를 말의 시작에 배치하여 본인의 말과 생각이 (기타 다른)의견보다 맞다는 강조점을 두려는 숨은(무의식적) 의도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언중이 단어를 선택해서 의사소통을 할 때, 모든 단어를 사전적 정의에 근거해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대가 변하고 세대에 따라 의미가 전용되고 새로운 의미가 추가되곤 합니다. 이는 당연한 현상이고 어느 사회나 시대에도 적용되는 양상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사전적 의미와, 국립국어원의 인용문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저의 개인적인 견해이므로, 다른 전문가분들의 의견도 모두 잘 읽어보시고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탈북민 들은 어떤 생각인지 궁금하서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저는 탈북민(새터민)은 아니지만, 제 생각으로 답변을 남겨보겠습니다.우선, 고려해야 할 점은 탈북민들의 이념적 바탕이겠습니다. 그들은 북한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이 싫기때문에, 혹은 정치적 탄압때문에 탈북을 했을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이 온전히 보수적 이념성(자유민주주의, 공화주의, 시장경제와 평등을 바탕으로 한)을 가졌다기 보다는, 북한에 대해 비교적 적대적 관점을 가진 보수층의 생각에 좀더 공감을 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동일한 대상을 싫어하는 사람들끼리 공감대 형성이 더 잘 되는 것과 유사). 탈북한 분들 가운데 보수쪽에서 국회의원을 했거나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도 이런 사실을 보여준다 하겠습니다.또한, 그들의 입장에서는, 북쪽에 있는 사람들이 북한 당국의 의헤서 억압받고 탄압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이 일반적인 대한민국의 국민들이 그렇다고 느끼는 것보다 더 심하게 느껴질 것이고, 북쪽 사람들이 하루 빨리 현실을 깨닫고 봉기하거나 사고의 전환을 하기를 바랄 것입니다. 즉 북한 사람들이 더욱 빨리 계몽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일반적인 사람들보다는 간절하다는 말이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탈북민들이 대한민국으로 넘어와 겪는 대한민국의 발전된 모습과, 그 연장선상에 그들으 느꼈던 북에대한 배신감등을 우리는 유튜브나 다른 매체를 통해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들은 그들이 겪었던 대한민국의 현실과 북쪽의 참상을 하루라도 빨리 북에 있는 동포에게 알리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것입니다. 종합해보면, 단순히 탈북민들이 평화를 원하지 않거나 순전히 대한민국 정치 상황에서 보수쪽을 지지한다기 보다 위에서 언급한 것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얽혀서 질문자님께서 언급한 상황들이 연출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저의 생각이 탈북민들의 생각을 완전하게 대변하거나, 그분들이 저의 생각에 동의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상식선에서 추론해본 저의 생각이었습니다.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규칙좀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1988년 현행 한글 맞춤법을 개정하기 전까지는 한자어, 고유어 상관 없이 사이시옷을 붙였으나, 1988년 개정으로 6개의 순한자어(숫자, 횟수, 곳간, 툇간, 찻간, 셋방)를 제외하고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기로 정해졌습니다.이제 간단한 규칙과 몇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순우리말 합성어로 ,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말.① 뒷말이 첫음이 된소리로 나는 것: 뱃병, 전셋집, 탯줄 등.② 뒷말의 첫음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훗날, 양칫물 등.③ 뒷말의 첫 모음 앞에서 'ㄴ'이 첨가되어 'ㄷ'이 동화되어 'ㄴㄴ'으로 발음 되는 것: 예삿일, 훗일, 나뭇잎, 깻잎 등.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① 뒷말의 첫음이 된소리로 나는 것: 기댓값, 절댓값, 공깃밥 등.② 뒷말의 첫음이 '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제삿날, 툇마루, 훗날 등.③ 뒷말의 첫 모음 앞에서 'ㄴ'이 첨가되면서 'ㄷ'이 동화되어 'ㄴㄴ'으로 발음 되는 것: 훗일, 예삿일, 가욋일 등.또한, 사이시옷 규정은 만들어지는 원리가 규정되어 있고,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합성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단일어나 파생어에서는 타나나지 않음.(예) 해님, 웃음, 덧버선 등합성어이면서 다음과 같은 음운 현상이 있어야 함.뒷말의 첫음이 된소리/뒷말의 첫음'ㄴ, ㅁ' 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뒷말의 첫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경우.반드시 하나는 고유어일 것(첫 문단의 여섯단어 제외).(예) 개수(個數), 초점(焦點), 전세방(傳貰房) 등(고유어가 없으므로[한자어+한자어]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음).외래어+순우리말에도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음 (예) 커피잔, 핑크빛, 피자집 등. 도로명에서도 사이시옷이 적용되지 않음 (예) 개나리길, 경찰서길, 00여고길 등. 생물학 분류 단위인 과(科)가 결합한 말이라도, 앞에 고유어가 오는 '고양잇과', '소나뭇과' 등의 경우 사이시옷을 씀. (예) 볏과, 갯과, 솟과, 쥣과 등.더불어, 자주 헷갈리는 예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꼭지점(X) → 꼭짓점(O) / 등교길(X) → 등굣길(O) / 하교길(X) → 하굣길(O) / 북어국(X) → 북엇국(O)순대국(X) → 순댓국(O) / 송화가루(X) → 송홧가루(O) / 장마비(X) → 장맛비(O) / 시계바늘(X) → 시곗바늘(O)애교덩어리(X) → 애굣덩어리(O) / 공부벌레(X) → 공붓벌레(O) / 공기밥(X) → 공깃밥(O)뒷쪽(X) → 뒤쪽(O) / 뒷처리(X) → 뒤처리(O) / 뒷치닥꺼리(X) → 뒤치다꺼리(O) / 뒷편(X) → 뒤편(O)뒷통수(X) → 뒤통수(O) / 윗쪽(X) → 위쪽(O) / 윗층(X) → 위층(O) / 콧털(X) → 코털(O) 등.마지막으로, 사이시옷 표기는 너무 불규칙하거나 음운 현상 그대로 표시하기가 불가능하여 많은 비판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글을 쓸 때 여기저기 찾아보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따라서 폐기해야 한다는 입장도 존재하고, 쓰는 사람의 재량에 맡기자는 의견들도 존재합니다.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스틱스 강이 명계의 경계로 자리매김하는 것은 어떤 신화적 사건과 관련이 있나?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스틱스강이 지상과 명계의 경계가된 신화적 연결성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우선, 올림포스의 신들이 티탄족과 전쟁을 벌였을 때, 스틱스 여신은 다른 신들과 더불어 올림포스 신들이 승리하는데 큰 공헌을 하게됩니다. 이에 대한 보답으로 제우스는 스틱스강을 맹세의 강으로 만들고, 모든 신들이 스틱스강에서 한 맹세를 지켜야 한다는 규칙을 만듭니다(위반시 패널티 있음). 그로 인해서, 스틱스강은 절대적 맹세의 상징이 되었고, 그 상징성은 '삶과 죽음', '신성한 경계', '되돌아 올 수 없는 지점' 등의 다른 엄중한 것들로 확장되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아킬레우스의 일화는 스틱스강의 상징성을 더욱 강화시켜주는 보조적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절대적 맹세의 상징인 스틱스강-->죽음은 되돌릴 수 없으므로 엄중하고 절대적 상징 필요-->스틱스강의 상징성 전이]요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19세기 러시아 문학 작품을 보면 유난히 습하고 어두운 날씨에 대한 묘사가 많이 나어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러시아 날씨의 특징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위에 언급하신 작가들의 작품의 배경이 되는 도시의 묘사가 습하고 춥고 바닥은 진창으로 되어있는 것의 이유는 복합적인 이유때문으로 보입니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러시아 서부 도시들(상트 페테르부르크나 모스크바)이 위치한 장소는 지리적으로 겨울기 길고 추운 지역입니다. 눈이 많이 오기때문에 봄에 눈이 녹는 과정에서 길이 진창이 되는 일이 많고, 강과 습지가 많아 습도가 높고안개가 끼는 경우도 잦습니다. 또한 19세기 러시아 도시들의 상황도 고려해야합니다.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서구 유럽에 비해 근대화가 늦어졌고, 아주 늦은 시기까지 농노제가 유지된 국가입니다. 따라서 당시 도시의 주거 환경이나 위생 상황, 배수 시설등은 상당히 열악하였고, 그러한 상황이 소설속의 묘사애 영향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위에 언급한 사항들과, 작가가 등장 인물들의 우울하고 비극적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묘사들이 더해져서 한층 소설속 분위기를 우울하고 어둡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