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완벽한말똥구리64
완벽한말똥구리64

19세기 러시아 문학 작품을 보면 유난히 습하고 어두운 날씨에 대한 묘사가 많이 나어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러시아 날씨의 특징인가요?

19세기의 톨스토이나 토스토옙스키의 작품들을 보면 그 배경이 되는 도시는 항상 습하고 춥고 바닥은 진창으로 되어 있다는 묘사가 많이 나오는데요. 러시아가 춥다는 것은 이해하겠는데 러시아가 이렇게 묘사될 정도로 습한 나라인가요? 아니면 그 우울한 스토리를 반영하기 위해서 습하다고 묘사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우선 19세기의 러시아 작품들은, 러시아문학의 전성기에 쓰여진 작품들인데, 대부분 세인트페테르부르그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많습니다. 그만큼 일단은 러시아중에서도 문학의 배경은 유럽에 거의 붙어있는 세인트페테르부르그이므로 북쪽 유럽의 날씨가 많이 반영되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War and Peace가 쓰여진 작품의 시기는, 이미 War and Peace의 배경이 되는 러시아의 나폴레옹에 대한 전쟁 숭리 후 부흥기에서 여러가지 제도적 허점이 드러나면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도심의 각종 사회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혼돈기, (즉 Anna Kareninna의 배경이 되는 "제국의 황혼"이라는 것입니다..!!)에 사회비판적 작품이 많이 있기 때문이겠습니다...

    Crime and Punishment, 카라마조프의 형제..등등 (Tolstoy의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리나는 당연히**)을 보면 지주-농노.. 그리고 제도개혁으로 농노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계속되는 혼돈상등... 사회의 주요한 문제들이 반영된 작품이 대작으로 남다보니 이러한 경향이 생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둘 다 입니다

    19세기 러시아라는 나라의 상태가 매우 처참했기 때문에

    문학도 그것을 반영해서 우울한 배경인 작품이 많고

    러시아는 거대한 나라이기 때문에 지역마다 기후차이가 심하지만

    대부분 지역이 추운 지역입니다

    기분적으로도 기후적으로도 추운지역이니 문학도 그렇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19세기의 톨스토이, 도스토엡스키의 작품을 보면 유난히 습하고 어두운 날씨에 대한 묘사가 많은 이유는 러시아의 날씨에 관한 특징을 그대로 묘사 했기 때문 입니다. 이러한 겨울이 긴 상황은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의 심리 묘사에도 사용 되고는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위에 언급하신 작가들의 작품의 배경이 되는 도시의 묘사가 습하고 춥고 바닥은 진창으로 되어있는 것의 이유는 복합적인 이유때문으로 보입니다.

    소설의 배경이 되는 러시아 서부 도시들(상트 페테르부르크나 모스크바)이 위치한 장소는 지리적으로 겨울기 길고 추운 지역입니다. 눈이 많이 오기때문에 봄에 눈이 녹는 과정에서 길이 진창이 되는 일이 많고, 강과 습지가 많아 습도가 높고안개가 끼는 경우도 잦습니다.

    또한 19세기 러시아 도시들의 상황도 고려해야합니다.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서구 유럽에 비해 근대화가 늦어졌고, 아주 늦은 시기까지 농노제가 유지된 국가입니다. 따라서 당시 도시의 주거 환경이나 위생 상황, 배수 시설등은 상당히 열악하였고, 그러한 상황이 소설속의 묘사애 영향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위에 언급한 사항들과, 작가가 등장 인물들의 우울하고 비극적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묘사들이 더해져서 한층 소설속 분위기를 우울하고 어둡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