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아가는 김민수입니다.

안녕하세요, 함께 고민하며, 답을 찾아가는 김민수입니다.

김민수 전문가
(주)에스디엠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재 우리글을 한글이라고 하는데 이 '한글'이라는 말은 누가 만들었고 어떤 뜻을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한글'이라는 단어는 국어학자 주시경(1876-1914)이 만든 이름입니다.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는 당시에는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했으며, 민간에서는 '언문(諺文)', '암클' 등으로 불렸으나 현대에 이르러 주시경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정립하고 널리 쓰이게 했습니다.'한글'에서 '한(韓)'에는 여러 의미가 담겨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옛 이름 '한(韓)'에서 유래해 우리 민족의 글자라는 의미→ '하나' 또는 '크다(큰 글자)'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어, 우리말을 적는 뛰어난 글자라는 권위를 나타냄→ 고대 한국의 삼한(三韓)과도 연결되어 민족 정체성을 상징하는 문자라는 뜻→ '한'은 '하나', '크다', '바른' 이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하여 한글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성격과도 어울린다는 설즉, '한글'은 '큰 글', '우리나라 글', '민족의 글'이라는 뜻이 복합적으로 합쳐져 만들어진 이름이며, 이는 한글이 우리 겨레의 자부심과 정체성을 담은 문자임을 보여준다 하겠습니다.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문학 관련 질문입니다 [똥먹던 개]얘기가 나오는 작품이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 보신탕 식당 입구에 '똥 먹던 개'가 있었고, 보신탕을 먹다가 그 장면을 보고 토악질을 했다는 내용이 등장하는 한국 현대문학 작품으로는 손용상 작가의 소설집에 수록된 「똥 묻은 개 되기」가 가장 유력합니다. 손용상 작가는 1970년대 초반 활동한 작가로, 이 작품은 제목에도 알 수 있듯이 '똥 묻은 개'와 관련된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추정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수저계급론적인 표현은 어디에서 나온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금수저', '흙수저' 같은 수저 계급 표현은 영어 관용구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관용구는 과거 유럽에서 상류층 아이들에게 은수저로 음식을 먹이던 모습에서 비롯됐으며, 부와 특권을 가진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개념이 한국에 들어와 '금수저'라는 말로 변형되었고, '흙수저'같은 반대 개념과 함께 부모 경제력에 따른 계급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금수저'와 '흙수저' 표현이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중반 부터입니다. 특히 2015년부터 청소년과 젊은 층 사이에서 '수저 계급론' 담론이 확산되면서 더욱 보편화됐고, 2015년에는 '올해의 신조어'로도 선정될 정도로 대중화가 급속히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기부터 언론과 방송에서도 빈번히 사용되면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해 졌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빵은 포르투갈어라고 하던데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온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빵'이라는 단어는 포르투갈어 'pão'에서 온 귀화어입니다. 이 단어가 한국에 전해진 과정을 도식화 시켜 보겠습니다. 16세기 중후반부터 포르투갈 선교사들과 상인들이 동아시아에 진출하면서 서양의 음식 문화와 함께 언어도 같이 전파 → 포르투갈어 'pão'는 당시 일본에 먼저 전해져 일본어로 'パン(pan)'이라는 발음으로 정착됨 → 이후 일본과 교류하던 조선에 이 음식과 단어가 전해지면서 '빵'이라는 형태로 변형되어 자리 잡음 → 초창기에는 서양식 빵이라는 음식이 한반도에 없었기 때문에 외래어가 그대로 들어와 고유어처럼 쓰이게 됨 → 시간이 지나며 한국어 화자들이 자연스럽게 쓰면서 외래어가 그대로 들어와 고유어처럼 쓰이게 됨 → 귀화어로 변화라틴어 'panis'에서 기원한 이 단어는, 서양의 음식 문화가 동아시아에 전파된 역사적 맥락과 언어 접촉 과정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연고대 수준의 노어노문학과 난이도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러시아어의 난이도는 한국에서 매우 어려운 외국어로 평가받습니다. 그 이유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선 알파벳(키릴 문자)이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는 어렵게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또한, 발음과 억양 구조가 한국어와는 매우 다르며, 문법이 매우 복잡히여 6가지의 격변화, 운동 동사와 상태 동사의 구분, 형동사, 부동사 등 다양한 어려운 문법 규칙등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불규칙 변화가 많아 반복과 연습이 매우 필수 적이며, 진입 장벽 또한 높아 체계적이고 숙련된 교육자가 필요합니다. 연세댜와 고려대의 노어노문학과 수준은 학문적 깊이와 다학제적 접근, 실무 중심 교육 등이 좀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지는 편이며, 일반대학에서는 문학 중심의 전통적 노어노문학 교육이 다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고대 수준은 러시아어를 단순 외국어로 공부하는 차원을 넘어 역사, 철학, 사회문화까지 폭넓게 공부하는 토대가 됩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