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균형잡힌영양설계
균형잡힌영양설계

수저계급론적인 표현은 어디에서 나온 건가요?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서 금수저, 흙수저 등의 수저로 경제적 계급을 나누는 표현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나요.

이 표현이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금수저', '흙수저' 같은 수저 계급 표현은 영어 관용구 'born with a silver spoon in one's mouth(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관용구는 과거 유럽에서 상류층 아이들에게 은수저로 음식을 먹이던 모습에서 비롯됐으며, 부와 특권을 가진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개념이 한국에 들어와 '금수저'라는 말로 변형되었고, '흙수저'같은 반대 개념과 함께 부모 경제력에 따른 계급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금수저'와 '흙수저' 표현이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2010년대 중반 부터입니다. 특히 2015년부터 청소년과 젊은 층 사이에서 '수저 계급론' 담론이 확산되면서 더욱 보편화됐고, 2015년에는 '올해의 신조어'로도 선정될 정도로 대중화가 급속히 이루어졌습니다. 이 시기부터 언론과 방송에서도 빈번히 사용되면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해 졌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수저와 삶을 비유하는 표현은 정확한 시작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오래된 것입니다

    의식주는 생존의 기본욕구니까 그걸로 비교하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부자를 은수저'silver spoon'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귀족이 존재하고

    금과 은이 비슷한 가치가 있던 옛날의 유럽에서 부터 쓰이고 있었습니다.

    이 표현이 점차 확대 되 나무수저, 금수저 등 다양한 수저표현이 생겨났으며

    특히 1950년대 미국에서 크게 유행했었다고 전해집니다

    이것이 한국에 그대로 유입되어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 쓰이다가

    2010년무렵에 아예 '계급론' 이라며

    금,은,동,놋,플라스틱,흙 같은 가치순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인터넷발 밈이 대부분 그러하듯 정확한 창작 시점이나 창시자는 알기 어렵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원래 오래전부터 silver spoon이란 개념이 같은 뜻으로 영미권에서 사용이 되었습니다. 20세기 락밴드 Ugly Kid Joe - Cats in a Cradle 이라는 곡을 들어보시면 좋을 것입니다..

    • 그런데 이 개념이 금은동 나무 플라스틱 흙 등의 재료 개념을 적용하여 인터넷커뮤니티 등에서 장난처럼 유행되기 시작하다가 우리나라 사회의 또 하나의 세태풍자를 상징하는 표현이 되며 방송 및 기타 매체의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도 본격적으로 사용되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