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용어 중 레드칩, 블루칩, 그린칩 등의 의미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시장에서 사용되는 '칩(chip)'이라는 용어는 기업의 특성과 위험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붙여진 말입니다.1. 블루칩(Blue Chip)안정적이고 규모가 크며 업력이 오래된 대기업을 일컫습니다. 성장성보다는 안전성이 높은 기업들입니다. 예시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이 있습니다.2. 레드칩(Red Chip) 중국 본토 기업 중 홍콩 증시에 상장된 종목들을 지칭합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리스크가 있는 편입니다.3. 그린칩(Green Chip)환경친화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기술 기업들을 의미합니다. 신재생에너지, 친환경기업 등이 해당됩니다.4. 옐로우칩(Yellow Chip)아시아 지역 기업 중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소형주를 말합니다. 고위험-고수익 종목에 해당합니다.5. 레드칩(Red Chip, Red Herring) - 다른 의미IPO 주식을 공모하기 전에 증권사가 배포하는 잠정 투자설명서를 가리킵니다.이렇게 주식 용어에 카지노 칩의 색깔 개념을 차용하여 기업의 위험도, 특성, 성장가능성 등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Q. 주식에서 배당주 같은 경우 배당금은 어떻게 결정이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배당금 금액은 기업의 이사회에서 결정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1. 당기순이익기업의 당기순이익 규모가 배당금 결정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순이익이 클수록 배당금도 많아질 수 있습니다.2. 배당성향기업은 일정 배당성향(순이익 대비 배당금 비율)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당금을 결정합니다. 배당성향이 높을수록 배당금이 많아집니다.3. 투자재원 수요기업의 신규 투자, 부채상환, 자사주매입 등 자금수요가 많으면 배당금을 축소할 수 있습니다.4. 현금흐름충분한 현금흐름이 있어야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이 부족하면 배당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5. 미래 전망기업의 미래 성장성과 수익성 전망에 따라 배당금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6. 배당 정책일부 기업은 안정적인 배당을 위해 매년 일정 수준의 배당금을 유지하는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이처럼 해마다 기업의 순이익, 현금흐름, 자금수요, 전망 등이 변하기 때문에 매년 배당금 금액이 달라질 수 밖에 없습니다.
Q. 달러가치가 계속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달러 가치가 계속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미국의 강력한 경제 기조- 견조한 경제성장세, 낮은 실업률, 높은 임금 인상률 등으로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2. 미국의 긴축적 통화정책- 연준의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발생하면서 달러 가치가 오릅니다.3. 지정학적 리스크-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경기 둔화 등 불확실성 지속으로 달러화가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4. 유럽, 일본 등의 완화적 통화정책-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완화적 정책 기조로 상대적으로 달러 가치가 높아집니다.달러 안정화를 위해서는 다음 조건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1.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 완화 2. 세계 경제와 무역 호조로 위험자산 선호 회복3.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4. 주요국 경기회복과 금리인상 사이클요컨대 미국과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되어야 달러화 가치가 안정될 수 있을 것입니다.
Q. 제가 몰라서 물어봅니다 금융에 계신분들은 아실지 모르겟네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귀하께서 설명해주신 내용으로 미루어볼 때, 이는 전형적인 유형의 암호화폐 관련 사기 행위로 보입니다. 다음 몇 가지 이유에서 그렇게 판단됩니다:1. 애초에 신청한 적 없는 에어드랍(무료 코인 지급)을 주장하며 접근해옵니다.2. 존재하지 않는 프로젝트나 가상의 암호화폐를 내세우고 있습니다.3. 갑작스레 높은 가치를 주장하며 빼내가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4. 출처가 불명확한 링크를 넣어 로그인하라고 합니다. 이런 유형의 사기는 피해자로 하여금 가치 있는 무언가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을 주고, 결국 개인정보나 금전을 빼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절대로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를 클릭하거나 정보를 제공해서는 안 됩니다. 가상의 암호화폐 형태라도 송금을 요구하면 사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의심되는 경우 전문가나 관련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 금과 은은 연동되어서 움직이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금과 은 가격은 상당 부분 연동되어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귀금속이며, 보유가치 및 안전자산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금과 은의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단기적으로는 때때로 차이가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비슷한 곡선을 그리며 상호 연관성이 높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1. 화폐가치 보유 기능금, 은 모두 화폐가치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인식됩니다.2. 안전자산 역할경기 불황이나 지정학적 위험 증가 시, 안전자산 선호현상에 따라 금과 은 가격이 동반 상승합니다.3. 보유가치 평가금, 은 모두 제한된 공급과 보유가치로 인해 투자자산으로 여겨집니다.4. 산업수요산업활용도 비중은 금보다 은이 높지만 신소재 수요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다만 금은 은보다 변동성이 낮고, 은은 금에 비해 산업수요 비중이 높아 때때로 분리현상도 나타납니다. 하지만 대체로 금과 은 가격은 상당한 연관성을 가지고 움직입니다.
Q. 디딤돌 대출이나 보금자리론에서 연 소득에 대한 제한이 있는데 이 연 소득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디딤돌대출이나 보금자리론에서 연소득 기준은 일반적으로 과거 1년간의 course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Course소득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경상적 소득을 모두 합산한 금액입니다. 구체적으로는 근로소득자라면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사업소득자라면 소득금액증명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2. 일반적으로 명목소득 기준으로 심사합니다. 실질소득은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한 개념이므로 금융권에서는 명목소득을 바탕으로 대출심사를 진행합니다.3. 네 맞습니다. 대부분 최근 1개년의 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심사를 진행합니다.4. 네 맞습니다. 최근 1개년의 course소득이 기준이므로, 올해 사업소득이 전무하고 근로소득만 있다면 올해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심사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다만 대출규모, 연소득 대비 연소득 기준 등에 따라 대출조건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