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선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전문가입니다.
김선민 전문가
충청북도 청주교육지원청 중앙초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중학생 자녀 용돈은 어느 정도 책정해서 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중학생 자녀 용돈은 일주일에 5천원에서 만원 사이가 적당할듯 보입니다 너무 많은 액수는 아이가 과소비를 하거나 돈의 중요성을 모르고넘어갈수 있기때문이죠
유아교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돌봄과 늘봄으로 출산율을 높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늘봄과 돌봄으로 출산율을 높이기는 어려울듯합시다 점점 소득이 높아지고 여가생활을 즐기면서 육아에 대한 부담이 늘어나며 늘봄과 돌봄으로 아이들을 맡기기에 불안하기 때문입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아이들에게 시간 개념을 알려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들에게 시간개념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시간을 묻고 답하며 시계를 가지고 게임을 하면서 자연습럽게 시간의 개념을 습득하게 해야 합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심리상담센터 고르는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심리상담센터는 가까운 곳도 좋지만 아동 전문 상담사가 있는지, 심리검사와 놀이치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지, 센터의 리뷰나 평판을 함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담사와 아이의 궁합도 중요하니 첫 상담 후 아이 반응도 꼭 체크하세요
양육·훈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자신의 정해진 규칙대로 행동하기 좋아하는 아이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네 일정한 규칙과 루틴을 좋아하는 아이는 흔히 예측 가능한 환경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성향입니다. 이는 기질적 특성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감각 민감성이나 자폐 스펙트럼의 일부 특성과도 겹칠수 있습니다. 단순한 성향인지, 더 깊은관찰이 필요한지는 일상 전반에서의 반응과 유연성 여부에 따라 판단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딸 아아기 자다가 새벽에 일어나서 화장실을 가면 어떻게?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딸아이가 새벽에 깨 화장실을 자주 간다면, 수분 섭취 외에도 방광 발달, 수면 습관, 혹은 잠재적 요로 자극 등이 원인일수 있습니다. 피로감이나 짜증이 없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지속되면 소와과 상담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학기 초, 아이 친구 관계나 학교 적응을 도와주는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친구는 꼭 많이 안 생겨도 괜찮아. 너처럼 친절한 아이는 분명 좋은 친구를 만나게 돼'처럼 아이의 성격 자체를 인정하고 격려해 주세요. 또 '처음엔 다 어색해. 너도 누군가에게 첫 친구가 될수 있어'라는 말도 용기를 줍니다. 자기소개나 첫인사 연습도 작게 도와주면 효과적이죠
양육·훈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형제 간 경쟁심을 건강하게 유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형제 비교 대신 각자의 고유한 강점을 자주 언급해 주세요. '형은 ++을 잘하고 너는 **가 강점이야'처럼요. 경쟁보다는 협력하는 형제 경험을 자주 만들어주면 비교심보다 유대감이 자랍니다. 또 동생이 형을 따라잡으려는 마음을 '도전'으로 자연스럽게 바꿔주세요. 특히 격려가 중요합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학교 숙제'와 '자기 일'의 구분, 어떻게 가르치고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숙제는 단순한 해야 할 일이 아니라 자기 성장의 일부로 설명해주세요. '이건 선생님이 너한테 준 연습문제야. 네 실력을 키우는 도구지'라며 , 결과보다 과정을 존중하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작은일이라도 스스로 선택하게 해보면 자기 일의 책임감을 자연스럽게 배웁니다
유아교육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초1방학때 어떤 활동들을 하는게 의미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초1 방학은 아이의 자율성과 호기심을 키우는 시기입니다. 독서 습관 잡기, 간단한 체험학습(박물관, 도서관), 놀이 중심의 미술 과학 활동이 좋습니다. 학습보다는 즐겁고 의미 있게 시간을 보내는 게 핵심입니다
186
187
188
189
1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