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역에서 불법 물품을 수입수출 하는걸 신고하면 포상을 받을수 있나요?
1. 관세청 고시 '밀수 등 신고자 포상에 관한 훈령'에 따라 밀수신고는 민간인 등이 민간인 포상의 대상에 해당하는 행위를 인편, 구두, 전화, 인터넷 및 팩스 등을 통하여 관세청이나 세관에 알리는 행위를 말하며, 관세청 밀수신고 전화번호는 국번없이 전국 어디서나 125번으로 신고하면 됩니다.2. 밀수신고포상금을 지급하는 대상은 관세법을 위반한 자(밀수입 또는 밀수출 불법 수출입, 관세포탈, 부정수출입 등),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자, 대외무역법을 위반한 자, 외국환거래법을 위반한 자 등에게 최고 1억5천만원의 민간인 밀수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올해 2023. 5. 18.부터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자를 밀수신고시에는 최고 3억원까지 민간인 밀수포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Q. 국제무역에서 인보이스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1. 인보이스( INVOICE, 송장, 송품장)은 무역거래시 매도인 수출자가 매수인 수입자에게 보내는 상품거래명세서로, 수출자에게는 대금청구서이고, 수입자에게는 매입명세서이고, 수입자가 세관에 수입신고시 제출하는 필수서류로 과세가격의 증빙 증명서류가 됩니다. 인보이스와 영수증의 가장 큰 차이는 인보이스는 거래 금액을 지불하기 전에 발행되고, 영수증은 지불한 뒤에 발행된다는 점이며, 영수증은 지불에 대한 증빙자료이기 때문에 금액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인보이스는 가격 뿐 아니라, 물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포장, 인도 조건 등 까지 거래 전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2. 일반적으로 인보이스 작성법은 꼭 정해진 양식이 별도로 없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상업송장(COMMERCIAL INVOICE)은 주로 영문으로 작성되고, 무역거래의 계약사항을 상세히 기재하고, 주요 기재사항은 1)수출자 및 수입자 성명, 상호, 주소, 2)선박명 및 항공기명, 출항일, 출항지(선적지), 도착지(목적지), 3)인보이스및 신용장 날짜, 번호, 4)상품명세 품명, 규격, 수량, 중량, 단가, 금액, 5)대금결재방법 인도조건 및 지불조건, 운임 지급조건, 6)포장방법 및 화인 등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Q. 국제 무역 협정의 현재 추세와 과제는 무엇인가요?
1. 최근 국제무역질서는 보편성과 비차별성을 특징으로 하는 WTO 중심의 다자주의, 지리적 인접성에 기초하여 통합을 지향하는 지역주의, 지역을 초월하여 맺어지는 자유무역협정과 같은 양자주의 등이 복잡하고 추진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자유무역과 보호무역을 번갈아 가며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보호무역을 강화하는 추세이며, 코로나 펜데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하여 원자재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고, 중국의 고속 성장을 견제하기 위하여 미국은 계속 보호무역주의를 취하고 있고, 미국은 중국 등 주요 무역상대국에 대해 고율의 관세부과를 취하고 있으며, 특히 미-중 무역전쟁이라 일으켜 미국의 IRA법, 유럽의 CRMA법 등 원소재의 공급망 확보를 위한 보호무역 정책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2. 이처럼 전세계적인 보호무역 기조가 지속된다면 세계 무역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여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의 우려도 나오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수출 의존도가 매우 큰 국가는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에 민감할 수 밖에 없으며, 미국의 중국 기업 화웨이에 대한 제재로 우리나라 관련 기업들이 큰 타격을 입은 사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미국, 중국, 유럽 등은 우리나라의 주요한 수출국으로 전세계적인 보호무역 기조가 계속 된다면 우리나라 무역수지에도 계속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럴 때 일수록 정부차원에서 보다 현명한 통상외교정책이 적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Q. 외국에서 통관시 외국 은화와 기타 외국 기념주화등은 관세에서 면제인가요?
1. 법정통화가 아닌 주화는 HSK 7118-10-0000호, 법정통화로 사용되는 주화는 HSK 7118-90-9000호, 금화는 HSK 7118-90-1000호, 은화는 HSK 7118-90-2000호, 법정화폐로 사용되는 지폐는 HSK 4907-00-9000호, 지폐의 표본이나 수집품은 HSK 9705호, 은행권, 수표장, 주식 등 유가증권은 HSK 4911호 등으로 품목분류되고 있습니다.2. 이러한 물품들은 대부분 관세율이 기본세율 0%, WTO협정세율 0%, FTA협정세율 0% 등으로 외국에서 국내로 반입시 관세율 0%로 관세를 납부하지 않고 있으며, 다만, 법정화폐에 해당되어 대외지급수단에 해당될 경우에는 통합공고고상 외국환거래법에 의거 수출입신고의무사항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Q. 세계에서 무역 관세가 제일 비싼 나라는 어디인가요?
1. 세계은행자료에 의하면, 2019년도 기준 관세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1) 팔라우 118.2%, 2) 버뮤다 103.2%, 3) 피지 24.0%, 4) 세인트키츠네비스 21.1%, 5) 세이셀 20.3% 순이고, 관세율이 가장 낮은 나라는 1) 홍콩 0%, 2) 마카오 0%, 3) 브루나이 0%, 4) 싱가포르 0.4% 순이고, 우리나라는 4.8%. 일본 3.5%, 미국 13.8% 가량됩니다.2. 팔라우는 필리핀 남동쪽 남태평양에 있는 섬나라로 인구 2만 명 남짓에 면적이 약 490㎢로 경기도 남양주시 정도의 크기이며, 크고 작은 섬 340여 개로 이뤄진 조그만 나라이며, 수출입무역은 수출물품은 주로 트로쿠스(조개류 종류), 참치, 코프라, 수공예품 등이고 수출국가로는 그리스 82.4%, 미국 6.9% 등이고, 수입물품은 기계 및 장비, 연료, 금속, 식료품 등이고 주요수입국은 미국 24.6%, 일본 19.8%, 중국 14.3%, 괌 14.2%, 필리핀 4.4% 등으로 무역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Q. 우리나라는 현재 총몇개국과 FTA를 체결하였나요?
1. 우리나라는 2023년 6월 현재 전세계 59개 국가와 FTA협정을 체결하였는데, FTA 체결 59개 국가로는 EU 27개국(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키프로스,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불가리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EFTA 4개국(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아세안 10개국(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중미 5개국(파나마,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칠레, 인도, 페루, 튀르키예, 콜롬비아, 미국, 캐나다, 영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이스라엘 입니다.2. 우리나라는 아세안 10개국인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과 FTA 협정체결이 되었고,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도 체결되었습니다. 아세안 10개국과 FTA를 체결하면 아세안회원국 중 10개 국가와는 개별국가별로 FTA를 체결하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