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금융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금융전문가입니다.
최현 전문가
보험회사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관리처분 인가 이주 단지의 임차권등기 가능 유무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임차권 등기는 가능합니다. 계약 만료 또는 이주 안내에 따라 퇴거 요구가 있었으며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상황에서 실제 퇴거 했거나 퇴거할 계약을 입증할 수 있다면 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출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전세대출 받고 싶은데 가능한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카뱅 비상금 대출은 소액이기 때문에 전세 대출을 받을 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대출이 불가하다면 해당 대출때문이 아니라 본인의 신용등급이나, 물건의 하자 때문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경제정책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장, 차관급 국민 추천을 받는다고 하는데 어느 장관 부터 교체를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윤석열 정부 인사로 거론되던 조규흥 복지부 장관, 오유경 식약처장은 의대 정원 확대, 의정 갈등 등으로 의약계와 마찰을 빚었고 현재도 의료계 내부 불만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국민추천제에서 가장 먼저 고려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1억7천이 있는대 어떻게 주식투자를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주식 투자비중을 50%이상 가져가는 것이 좋을 것이며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주식 투자보다는 ETF 쪽 비중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가장 중요한 것은 한번에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하락할 때마다 분할 매수 하는 것입니다.
부동산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청년버팀목 전세대출 상환 후 동일 목적물 재신청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청년 버팀목대출은 1회성 대출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대출을 상환하면 동일한 목적물로 재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보증기관 의 규정에 따라 목적물 변경이 제한될 수 있으며 대환 대출로 처리되어 연장 횟수가 소진될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 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경제동향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공휴일로 지정한다던데 이게 동네 상권에 큰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전기요금 인상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을 추진중이지만 인상 시기와 폭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석탄 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발전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 점도 주가에 악재로 보여지게 되었습니다.
대출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행복주택 감액금액 환불 관련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재계약을 하면서 감액을 하게 된다면 새로운 계약서를 기준으로 대출 연장도 진행되기 때문에 대출금액이 감액될 수 있습니다. 다만, 중간에 감액되는 것이라면 은행 계좌로 가지는 않고 본인 명의 통장으로 입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금융기관에서 해당 보증금에 대해 질권설정을 했는 지 채권양도를 받았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지금 대형마트 주가들이 상당히 하락을 하고 있는데 이유가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여당이 공휴일 대형마트 강제 휴업 법안을 발의 했습니다. 이마트, 롯데맡, 등 매출 타격 우려로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또한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위기가 조장 되었으며 시장 구조가 재편되면서 전체 업계의 신뢰가 떨어진 상황입니다.
자산관리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재테크 초보가 자산관리를 시작할 때 월급의 몇 퍼센트를 저축 투자 보험등에 나눠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사회 초년생이라면 월급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월급의 수준에 따라서 저축과 투자, 보험의 비율을 나눠야 합니다. 3백만원 정도로 본다면 최소 50%이상은 저축 및 투자, 10% 보험, 40%는 생활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월세를 내지 않는 다면 생활비 40% 중 20%는 다시 투자나 저축으로 돌려야 하면 좋은 구성이 될 것이라고 봅니다.
경제동향
2025년 6월 10일 작성 됨
Q.
최근 중국의 전기차 기업들이 출혈경쟁을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때문이라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전기차 보조금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성장하게 되었지만 2023년 이후 중국 정부가 보조금 축소를 하면서 많은 판매량을 통해 수익을 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또한 중국에는 전기차 기업이 300여개 이상 존재하여 값을 낮춰서라도 팔아야 살아남는 시장이 되었습니다.
551
552
553
554
5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