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전문가입니다.

김종훈 전문가
경희대학교
Q.  생리통 진통제 종류와 효과차이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생리통의 원인은 생리혈에 들어 있는 ‘프로스타글란딘’이란 물질입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자궁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생리활성물질로, 자궁 근육을 수축해 통증을 유발합니다. 생리 때가 가까워지면 프로스타글란딘이 평소보다 많이 만들어집니다.따라서 생리통약은 이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막는 nsaids 계열의 진통소염제(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덱시부프로펜 등)를 드시는게 좋습니다.여기에 가슴이나 아랫배가 붓거나 하시면 부기를 가라앉히는 파마브롬산 성분이 추가된(이x엔6 이브, 우먼스타이x놀) 제품이 좋습니다.두통이 심하시면 타이x놀이나 게x린과 같은 해열진통제와 병용복용하셔도 좋지만 간독성이 있으므로 음주전후로는 피하시기 바랍니다.생리통약 복용은 통증이 시작하기전이나 통증의 기미가 보일때 재빨리 복용하시는게 좋습니다. 너무늦게 복용하시면 약효과가 없다고 느낄수 있습니다.
Q.  아스트라제 부작용 있나요 화이자나 모더나도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효과통상적으로 mRNA 기반의 백신인 모더나, 화이자 예방효과는 95%,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62~90%의 예방효과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셋다 예방효과가 우수한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또한 올해 4월 11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2월 26일부터 시행된 코로나19 백신 1분기 전체 접종 대상자에서 확인한 백신 효과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85.9%, 화이자 백신 91.7%로 나타났습니다.특히 백신 1회 접종 후 14일 경과한 시점에 확인한 백신 효과는 AZ 백신 92.2%, 화이자 백신이 100%로 확인되었습니다2. 부작용어떤 코로나백신이든 예방접종 후 부작용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접종부위 통증 등 국소적인 경증입니다. 열, 피로감, 근육통 등 전신적인 경증 또한 아래표와 같이 흔한 편입니다.
Q.  고혈압약 아침에 빈속에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혈압약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공복에 드시는게 좋습니다.매일 1정을 복용하도록 되어있는 혈압약은 작용지속시간이 24시간이기 때문입니다. 아침에 복용하시는분은 계속 아침에 복용하시면 됩니다. 혈압약은 위장관계 부작용도 적기 때문에 공복에 물과 복용하시면 됩니다.
Q.  Msm이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MSM현재 기능성원료로서 관절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성분입니다.MSM은 소나무에서 펄프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부터 리그닌설폰산염을 추출하고 증류한 후 자외선에 의한 산화과정을 거쳐 제조한 기능성 원료입니다. 99.9% 순도의 수용성 백색분말로 황(S)이 33.5% 이상 함유되어 있습니다.정확한 작용기전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MSM은 과민한 면역반응을 어렵게 하여 관절의 염증을 개선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항산화효과가 있는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하루 1~3g정도를 복용하게 되있고 복용 후 관찰된 단기 부작용으로는 위 불편, 설사, 두통 등이 있었습니다.일부 자료에 따르면, 인간에서 2 g/day 용량 복용의 장기 임상에서도 특이적인 부작용 없이 잘 감내 되었다고 합니다.(일반적으로 기능성원료의 특성상 의약품보다 효능효과가 적은만큼 부작용 또한 크지 않습니다)어머님이 연로하셔서 잘 못걸으시는 경우에는 msm, 콘드로이틴 등 영양제만으로는 해결 못합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 골관절염이나 퇴행성관절염 여부를 확인하시고 수술, 연골주사 등 여러 치료와 함께 영양제를 병행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약을 꼭 식후 30분에 맞춰서 먹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식후30분이나 1시간이나 대부분의 약은 큰 차이 없습니다. 일부 약을 제외하고는 공복에 약을 먹어도 상관없습니다. 규칙적으로 일정한 시간에 복용하는것이 좋습니다. 약물농도가 가장 효과적으로 존재하기 위해서 인데요 규칙적인 복용을 강조하고자 식후 30분 복약이 생긴것으로 추정됩니다.일부 식후에 먹어야 되는 약은 약 종류에 따라서 약 흡수가 잘되기 하기 위해서 식후에 먹는게 있고, 위장장애를 줄이기 위해 먹는 약이 있습니다식후에 약을 먹으면 음식이 위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 속쓰림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나프록센,이부프로펜,디클로페낙 성분), 무좀약(이트라코나졸 성분) 공복에 먹으면 위장장애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식후에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약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식후에 복용하는 약도 있습니다. 비만치료제(오르리스타트 성분)의 경우 복용목적이 섭취한 음식의 지방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지 않도록 도와주는것입니다. 약효를 높이기 위해 약을 밥 먹는 도중에 먹거나 음식물이 흡수되는 식후 1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912922932942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