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바른삼성정형외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2024년 10월 24일 작성 됨
Q.
허리에 좋은 운동이나 스트레칭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캣카우스트레칭: 네발로 기어가는 자세에서 시작하고 숨을 들이쉬면서 척추를 아래로 내려 고개를 들었다가 숨을 내쉬면서 척추를 둥글게 말아 고개를 숙입니다 이를 반복합니다 척추의 유연성을 높이고 긴장을 완화합니다플랭크:엎드린 자세에서 팔꿈치와 발끝으로 버티는 자세를 취합니다 몸이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합니다 30초정도 유지 후 내려옵니다 복근과 허리근육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브릿지: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구부리고 발을 바닥에 붙입니다 엉덩이를 들어올려 몸이 일직선이 되도록 유지합니다 20초정도 유지후 천천히 내려옵니다 허리와 엉덩이 근육을 강화합니다스쿼트: 발을 어깨너비로 벌리고 무릎을 구부려 앉았다가 일어납니다 허리는 곧게유지합니다하체와 허리근육 강화에 도움이됩니다위와 같은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4일 작성 됨
Q.
무릎이 시큰(?) 욱신(?) 거려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이 시큰거리고 욱신거리며 특히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느껴진다면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닳아 없어져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무릎의 인대가 손상되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외상이 원인이 됩니다무릎의 반월판이 손상되면 통증과 함께 무릎이 불안정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계단을 내려갈 때 찌릿한 통증이 발생합니다슬개골과 주변조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슬개골의 위치가 불안정해지면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나머지로는 무릎 주변의 근육이 긴장하거나 약해지면 통증이 나타납니다아픈부위를 쉬게하고 통증이 있는 부위에 얼음찜질을 해주시면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되고 가벼운 스트레칭과 운동을해주세요 통증이 지속되시면 병원에가셔서 정밀검사를 받으시고 치료를 받기를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4일 작성 됨
Q.
엄지발가락에 고름찼는데 이거 병원 꼭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엄지발가락에 고름이 차고 살이 보라색으로 변한다면 감염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내성발톱이 있는경우 감염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고름이 차고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감염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살이 보라색으로 변하는것은 혈액순환 문제나 염증의 징후입니다 직접 해결하려고 하는것보다는 병원에서 의사한테 진료를받고 치료를 받는것이 좋아보입니다 자가치료는 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발톱과 발의 문제라면 정형외과나 피부과를 방문하시면 됩니다고름을 짜고 소독하는것은 일시적인 해결책일수있지만 감염이 심해지면 문제가 커집니다 병원에 가셔서 치료받기를 권해드립니다
재활·물리치료
2024년 10월 24일 작성 됨
Q.
뒷목이 너무 뻐근해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사무업무를 오랜시간 하는 경우 목과 어깨에 부담이 가해져 위와같은 증상이 자주 발생합니다일단 작업하는 동안 의자와 모니터의 높이를 조정하여 목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하시고 모니터는 눈높이에 맞추고 의자는 허리를 지지하게 해야합니다목을 부드럽게 좌우로 돌리거나 뒤로 등을 모으고 젖혀주는 스트레칭을 해주시면 좋고 어깨를 위로 들어올렸다가 내려주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팔을 위로 뻗는 운동도 도움이 됩니다그리고 집에서 쉬실때 따뜻한 수건이나 찜질팩을 이용해서 목에 해주면 혈액순환이 되면서 근육이완이 되니 통증이나 불편감이 해소될겁니다위와같이 했는데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해지거나 통증이 지속되면 정형외과에 가셔서 정밀검사를 받기를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24일 작성 됨
Q.
끊어진 인대는 다시 회복이 안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인대가 완전히 끊어졌다면 조직이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과정이 필요하고 인대의 손상정도에 따라 치유속도와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대는 혈액공급이 적은 조직이기 때문에 회복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일부 인대는 재생될 수 있지만 완벽하게 원래상태로 돌아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물리치료나 운동치료를 통해서 인대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회복을 돕고 재부상을 방지하는데 중요합니다 심한경우에는 수술을 통해서 끊어진 인대를 재건하기도 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치료가 필수입니다 일단 끊어진 인대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더라도 적절한 치료와 재활을 통해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예전과 같은 강도의 유연성을 완전히 회복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311
312
313
314
3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