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미술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그림실력이 달라진게 없는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방금 질문해주신 분과 동일한 분으로 생각됩니다. 노력대비 결과물이 만족스럽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 너무 실망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든 천재적인 작가들 역시도 자신의 작품에 만족한 사람은 없었습니다. 부족함을 느꼈기에 그를 매우기 위한 노력을 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도전을 하기 때문입니다.잘 하고 계십니다. 섣불리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마시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향해 걸으시길 추천드립니다.판단과 결과는 대학 졸업 후에도 충분히 받으 실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어떻게 하면 그림을 잘 그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참 어려운 문제 입니다.예체능계열, 특히나 실습을 하는 분야의 경우 실력의 향상이 노력대비 늘지 않아 많이들 고민하게 됩니다.사실 예체능 계열이야 말로 재능의 영역입니다. 아프게 들리실지 모르지만 미술을 예로 들면 인체의 비례, 묘사능력은 사실 타고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수학처럼 체계를 잡고 올라가는 것이 아닌 표현의 경우 배우지 않더라도 바로 해낼 수 있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하지만 노력은 재능을 넘어 설 수 있습니다. 묘사나 표현의 경우 모작을 통해 특정 영역까지는 도달 할 수 있는데 자신이 마음에 드는 구도나 작품을 소수만 선택하셔서 지독할 정도로 모작을 통해 실력을 올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보통 엉덩이로 공부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오랜 자리에 앉아 노력을 해야 실력을 쟁취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두개의 색을 섞었을때 만들어지는 색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수채화 물감을 섞어서 색을 만드는 것은 아이들의 창의력 개발에 아주큰 도움이 됩니다.https://trycolors.com/ 위의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직접 색상을 클릭해서 조합해보실 수 있기 때문에 아이와 색놀이를 할때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이쁜 갈색 비즈 추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책갈피제작을 보통 직접 하시기도 하지만 공방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주문 제작도 가능하십니다.https://dongne.cc/ 동네 공작소 란 사이트에서 구매를 해본적이 있는데 저는 대량주문이었기에 아주 만족해 했습니다.만약 소량 구매라면 직접 제작을 해보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책갈피재료들은 http://www.beads-i.com/index.html위의 비즈아이 사이트에서 구매하시면 편하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취향은 다양하기에 한번 눈으로 직접 고르시는걸 추천드립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만화 아이패드와 노트북둘다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그렇지 않습니다. 사실 있으면 좋긴 하지만 태블릿과 노트북을 둘다 가지고 다니는건 비효율 적입니다.강의를 들을때도 사실 연필로 필기를 하는 사람보단 테블릿이나 노트북으로 하는 사람들이 많긴하지만 사실 없어도 문제는 없습니다.미술대학의 경우 테블릿으로 그림을 그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미술대학 실기 과별로 틀리겠지만 디자인 파트를 제외하곤 실기과들은 회화나 조소 자신들의 재료로 실습을 하기 때문입니다. 학교별로 틀리니 일단 구매하지 마시고 학교에 가져서 필요를 느끼면 그때 구매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우리가 보는 색은 모두에게 같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사람별로 동일한 색이라도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사실 색이라는 것도 우리가 학습을 통해 알고 있는 것이지 실제로는 스펙트럼의 파장을 인식하여 뇌에 떠오르는 것 입니다. 우리가 빛을 눈으로 관측해서 진동수나 파장을 파악해서 스펙트럼의 파장 어느 영역에 도달하는지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일반적인 사람들은 사과의 경우 빨간색의 스펙트럼 영역에 도달하지만 선천적으로 이상이 있거나 후천적으로 사고를 당하거나 하면 이러한 스펙트럼의 범위를 벗어나게 될 수있는데 이렇게 되면 적녹색맹 처럼 색상의 초첨이 바뀌어서 빨간색을 빨간색으로 인식할 수 없기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에 사용되는 유리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휴대폰의 액정에 사용되는 유리는 코닝 사의 고릴라 글래스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아이폰 뿐 아니라 갤럭시 시리즈에도 사용되는 액정의 주요 재료로써 2미터 높이에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는 강도를 자랑합니다. 해당 제품의 주요 재료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이산화규소를 합쳐서 만든 유리로써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로 만든 재료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4년 12월 2일 작성 됨
Q.
웹툰이 인기가 있다 보니 그쪽 방향으로 진로를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뭐 부터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내가 웹툰 작가를 지망했기에 대략의 내용을 들어서 알고 있습니다. 일단 웹툰 작가가 되고자 하시면 웹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품들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내가 그림 실력이 좋아야 웹툰을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내용이 더 중요합니다.작화와 내용 둘다 중요하겠지만 실제로 작화보단 내용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많은 웹툰을 보셔서 아시겠지만 작화는 별로더라도 내용이 재미있어서 보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이러한 스토리를 구상하기 위해서 많은 작품을 보고 연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좋아하는 작가나 장르를 정하여 공부하듯이 많이 보고 분석을 하고 좋아하는 작화를 따라그리고 장면을 구성하는 방법등을 연습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2024년 12월 2일 작성 됨
Q.
카본이 일반 강판이나 강화플라스틱보다 훨씬 비싼데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카본이 비싼이유는 무게대비 높은 강도 등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재료를 가공하는데 플라스틱보다 많은 비용이 들게 됩니다. 주요 재료는 탄소를 포함한 PAN 폴리아크릴로니트릴로 만들어지는데 이를 탄소섬유로 만드는 공정이 많고 비용이 발생합니다.또한 PAN 자체가 일반 플라스틱의 재료보다 비쌉니다.또한 제조공정 자체가 자동화가 되어 있으나 재료의 강성이 높다보니 고온 고압 환경에서 제조를 해야 되기 때문에 제조환경을 유지하는데 플라스틱 제조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요가 항공과 같은 수송산업에서 주로 사용되다보니 일반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아직 대량생산을 하지 않기에 비용이 비싼 점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024년 12월 2일 작성 됨
Q.
예전에는 오존층파괴를 줄이기 위해... 에어컨을 줄여야 하고.. 석유를 줄여야 하고.. 등의 환경보전을 위한 표어나 캠패인이 많았는데..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실제로 오존층의 경우 세계적인 운동으로 인해 오존층에 뚫렸던 구멍이 많이 회복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오존파괴 물질인 프레온 가스의 사용을 전세계적으로 금지시켰기에 오존층의 구멍이 회복된 상황입니다. 하지만 회복되는 오존층이 다시금 파괴되 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영향인데 프레온가스같은 인류가 만들어낸 화학물질은 줄어들었지만 2022년 남태평양 통가에서 발생한 화산폭발로 인해 발생한 엄청난 수증기가 성층권에 도달하게 되어 오존층이 파괴가 된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지구 온난화 역시도 오존층 파괴를 막은것 처럼 세계가 힘을 합치면 막아낼 수 있다는 생각으로 진행을 하고있는 것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76
177
178
179
1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