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오존과 미세먼지 등 2차 생성 오염물질 원이 되는데 농도는 무엇이 가장 높습니까?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약자로 VOC 라고 불리는데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자입니다.끓는점이 낮은 물질들이라 열을 가하지 않아도 대기의 평균온도에서 쉽게 증발되는 물질들로 기체나 액체상을 포함하여 전부 voc 라고 부릅니다. 화학물질을 다르는 공정에서 쉽게 증발하다보니 발생량과 그 종류가 아주 많습니다. 대표적인 물질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포름알데히드, 클로로포름등 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국가적으로 관리는 하는 물질은 다양한데 환경표지 대상제품 및 인증기준인 환경부의 EL 기준에서는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 을 기준을 정하여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관리를 하는대상이다 보니 위험도도 높고 많은 제품에서 방출이 되다보니 국가에서 지정을 하여 그 농도를 관리하고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도로에 까는 아스팔트는 어떤 재료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아스팔트는 석유나 석탄의 원료에서 석유를 채취하고 난뒤에 남아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아스팔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진득한 액체상태라 다른 재료와 섞어야 됩니다. 아스팔트를 보면 작은 돌맹이 같은것이 보일텐데 골재 라 불리는 작은 돌맹이와 아스팔트를 섞는데 95%가 이 석재로 구성됩니다. 아스팔트는 접착력이 좋고 석재 와 섞이게 되면 단단하게 뭉치게 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는데 자동차가 자주 지나가는도로에 깔아도 5년이상 버틸 수 있습니다. 아스팔트도 종류가 다양한데 골재외에 다른 재질을 섞게되면 용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시멘트 30 %+ 골재 70 %를 아스팔트와 섞게되면 콘크리트 재질처럼 단단해져서 이를 도로에 깔기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인류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는 어떤 단계에 있으며, 재생 에너지의 보급에 어떤 도전과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의 에너지원별 전력발생량은 화석연료(석탄/천연가스) 60% 원자력 30% 재생에너지 10% 순서 입니다.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화석연료 발전소의 가동을 줄이는 것이 국내기준으로 가장 시급합니다. 사실 재생에너지의 생산은 현재로써는 투자대비 효율성은 화석연료보다 높습니다. 탄소배출량을 따져보지 않더라도 현재 세계적인 추세가 화석발전소를 가동해서 얻을 이득이 하나도 없을 정도입니다. 예전에는 값싸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었지만 기술이 발달한 지금 풍력 태양광 수력 등을 통해 동일한 비용을 투자해도 오히려 더 많은 전력을 생산 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노르웨이의 경우 친환경에너지 발전량이 세계 최고 인데 에너지원별 발전량의 98%를 수력발전으로 담당합니다. 여기에서만 봐도 친환경에너지를 활요한 발전에 한계는 없음을 아셨을거라 생각됩니다.우리나라도 정책적으로 충분히 친환경발전소를 지어 전력을 생산 할 수 있으나 여러가지 이권과 정치권의 민심과 엮여있어 풀어야할 문제가 많고 실제로 기존 화력발전이 담당하는 전력의 양이 워낙 많아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친환경발전소를 짓는데 수십조의 예산이 필요합니다. 그에 따른 전기료의 상승은 국민이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 쉽게 전환을 하는 것도 많은 저항에 부딪히게 될 것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지구 온도가 현재보다 1도가 더 올라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1도가 별로 높아보이지 않지만 지구의 연평균기온이 전세계적으로 현재보다 1도가 더올라간다면 가뭄이 극심해지고 극지방의 빙하는 녹아 해수면 상승이 발생합니다. 가뭄을 통한 사망자수는 30만명에 이르고 가파른 온도의 변화로 10% 의 동식물들은 멸종할 것이고 북극빙하가 녹아 북극곰 역시도 멸종에 이르게 됩니다.이와 관련된 예측을 마크 라이너스라는 학자가 "6도의 멸종" 이란 책에서 언급한 내용입니다. 그는 환경관련 연구자이며 관련 글을 쓰는 작가로써 영국에서 로열소사이어티 과학 도서상을 수상할 정도 영국최고의 과학 저술가 입니다. 그가 예측한 내용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한 글이기에 정확할 것이지만 섬뜩할 정도라 믿고 싶지 않을 정도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장작이 탈때도 일산화 탄소가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장작이 탈때도 일산화탄소가 나옵니다. 나무가 불완전연소를 할때 생성이 되는 것이 일산화 탄소 입니다. 넓은 공간에서 불멍을 할때에는 사실 거의 나오진 않습니다. 보통 불꽃의 색상이 온도별로 틀린데 빨간색 600~800도 / 노란색 800~1200 / 흰색 1300~1500 / 푸른색 1500~1700 도 입니다.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때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게 되는데 불꽃색깔이 붉을때나 아니면 푸른색일때가 불완전연소인데 붉은색일땐 산소가 부족한경우 발생하고 푸른색일땐 산소가 너무 많을때 입니다. 하지만 보통 불멍을 할때는 노란색이 보통이라 이때는 불완전연소는 아니므로 일산화탄소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연필심에 있는 흑연은 천연자원중 하나로 봐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물론입니다. 흑연은 과거에 연필에 주로 사용되서 천대받던 광물이었으나 지금은 배터리의 필수소재로 등극하여서 아주 몸값이 높아졌습니다.배터리의 음극제로 사용되는데 흑연의 품질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이 결정되므로 흑연의 품질은 아주 중요합니다. 흑연은 자연에서 채굴하는 천연흑연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인조흑연으로 나뉩니다. 연필에 사용되는 흑연은 천연흑연인데 한국에선 거의 생산하지 않고 90% 이상 중국에서 수입하여 만듭니다.한국에서도 높은 수준의 배터리 제조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흑연의 수급은 중요합니다. 인조흑연도 포스코에서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한국에 미세먼지는 어디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는 사실 중국으로부터 넘어오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대기가 안정된 날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데 갑자기 중국으로 부터 동풍이 불어오는 날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외부의 미세먼지 뿐 아니라 국내에서 생산되는 미세먼의 양도 상당합니다. 가장 많은 미세먼지를 만들어내는 곳은 공장입니다. 특히나 화력 발전소 인데 석탄을 태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양이 엄청 납니다. 맑은 날에도 화력발전소가 속한 지역의 발전소는 가동을 하는 날에는 그지역 미세먼지 농도가 나쁩니다.또한 수도권읠 경우는 자동차가 만들어내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이 미세먼지 농도를 높힙니다. 특히나 디젤연료를 사용한 자동차에서 배출하는 오염물질이 상당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스마트폰 액정 안깨지는 소재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스마트폰 액정이 개인은 성향에 따라 자주 깨먹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안깨질정도로 경도가 아주 높은 스마트폰 액정은 있습니다. 기존 액정에 우리가 보호 필름을 붙이듯이 강화유리를 붙여서 만들 수 있습니다. 골리라 글라스 라는 회사에서 강화유리 스마트폰 액정을 주로 만드는데 갤러시 시리즈에는 자주 탑재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 갤럭시 s23 에 탑재된 강화유리는 1미터의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에 떨어져도 깨어지지 않는 강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실제로 아이폰보다 갤럭시 시리즈의 액정이 훨씬 강합니다. 강도를 높히는 것은 문제가 아니지만 실제로 액정의 경우는 단순한 유리가 아니라 터치도 되야 하며 화면이 나올 수 있게 액정 뒷면에 다양한 반도체가 들어가는 일체형으로써 강도외에도 고려해야 할 점이 많습니다.액정 강도만을 높히기 위해 강화유리를 채택할 순 있지만 휴대폰의 비용이 너무 올라갈 수있으니 어느정도 지점에서 타협을 통해 액정을 선택하게 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매번 액정을 사게 되면 보호 필름이 아니라 강화유리를 따로 부착을 하여 액정을 보호하시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집에 바퀴벌레가 너무 많아요 퇴치방법 아시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알고계신데로 세스코와 같은 전문 방역업체를 활용하는 것이 사실 가장 효과가 좋긴 합니다. 하지만 식당이 아니고서는 비용적인 문제가 부담이 됩니다. 일단 바퀴벌레를 없애기 위해선 환경을 위생적으로 스스로 관리를 하셔야 합니다. 바퀴벌레 약을 쓰기전에 내가 살고 있는 집의 청소와 청결은 무조건 필요합니다. 최소한 바퀴벌레가 자라기 좋은 습한 곳이나 지저분한 곳은 한번정리를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하나의 종류만 사용하지 마시고 여러종류의 살충제 최소한 두개 이상의 살충제를 바퀴벌레가 지나가는 길목에 자주 규칙적으로 바르는 것 입니다. 은근 헷갈리다보니 보통 한달에 한번 이나 일주일에 한번씩 규칙적으로 알람을 맞춰서 살충제를 비치하거나 바르셔야 합니다.그래도 계속 바퀴벌레가 나온다면 다른 장소에도 살충제를 바르고 그렇게 되면 그때 살충제의 종류를 추가하시거나 변경하시는 것 이 좋습니다. 보통 살충제는 바퀴벌레가 먹고 그자리에서 죽는것이 아니라 살충제를 먹고 집으로 돌아가 거기서 죽게되는데 그 때 다른 바퀴벌레들도 죽은 바퀴벌레의 시체를 먹기 때문에 한번에 전부 제거를 할 수가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산 위로 올라가면 압력이 줄어드나요??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산 위로 올라가면 압력은 낮아집니다. 공기도 무게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의 중심으로 가까워질수록 중력은 강해지고 멀어질 수록 중력은 약해 집니다. 산위로 올라간다는건 지구의 중심에서 멀어진다는 의미이므로 중력은 약해집니다. 그래서 산위의 공기의 무게는 가벼워지고 공기에 의한 압력은 낮아집니다.뒷산 정도에 올라가서는 압력이 낮아져서 산소가 희박해진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산의 높이가 1000 미터가 넘어가면 체감을 할 수가 있습니다. 실제로 지상의 기압이 1 이라면 1000미터가 되면 기압은 90% 정도로 떨어져 호흡하는데 어색함을 느낄 수 있으며 예민한 사람의 경우 호흡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만약 1500미터에서는 기압이 85% 정도 떨어져 지상보다 산소의 양이 15% 정도로 적다는 말인데 여기에서부터는 체감할 수 있을 정도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추가로 문의 주십시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2862872882892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