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 우리나라 조선업이 핫한데요 미국의 마스가 프로젝트는 어떤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약 1500억 달러의 투자를 통해 미국 내 노후한 조선소를 현대화하고, 한국의 조선 기술을 이전합니다. 조선업 숙련 인력이 부족한 미국 현지에서 인력을 양성하고, 기자재 공급망까지 구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미국의 해군력 증강을 위한 함정 건조, 노후 함정의 유지 및 보수, 그리고 LNG선 등 상선 건조 능력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미국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중국의 해양 군사력 및 상선 건조 능력을 견제하고, 한국은 미국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며 안보와 산업적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Q. 러-우 전쟁이 끝나면 증시나 코인에도 훈풍이 불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증시와 코인 시장에 훈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감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시장의 반응이 무뎌진 부분도 있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종전 소식이 전해지면 단기적으로는 불확실성 해소라는 심리적 효과로 인해 증시와 코인 시장에 긍정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전쟁으로 피해를 입었던 유럽 증시와 관련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하지만 전쟁 장기화로 인해 생긴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과 같은 거시경제 환경의 변화는 종전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과거 1,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증시가 바로 급등하기보다는 인플레이션이 안정되고 경제가 회복되는데 시간이 걸렸습니다. 따라서 전쟁 종식 자체보다는 전후 재건과 경제 회복 과정이 이 증시와 코인 시장의 장기적인 방향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러-우 전쟁 종전은 분명한 호재지만, 단순히 전쟁이 끝났다는 사실만으로 폭발적인 상승이 이어지기보다는 시장의 선반영과 복합적인 경제 상황을 고려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