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현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호 전문가입니다.

김현호 전문가
Q.  수면중 소변때문에 매일 5회 이상 잠을 깹니다. 몸에 어떤 이상이 있어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말씀하신 증상은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전립선은 요도를 감싸고 있는데 전립선이 비대해지면 요도를 누르고 방광을 압박하게 되어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잔뇨감이 있거나 자주 소변이 마렵거나, 소변 줄기가 끊어져 힘을 주어 소변을 보게 되거나, 참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소변줄기가 약하거나 가늘어지며 소변이 금방 나오지 않아 배에 힘을 줘야하고, 소변을 보기 위해 밤에 깨는 등 어려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전립선비대증이 전립선암으로 변화하지는 않지만 50대 이상 남성이라면 1년에 한번씩 검진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전립선비대증과 발기부전이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노년기에 많이 발생하며, 심리적인 이유가 영향을 미쳐 함께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전립선비대증은 증상을 객관화하기 위한 설문지를 통해 일정 점수 이상이면 진단해 볼 수 있으며, 배뇨일지와 신체진찰, 검사 (소변검사, 혈액검사, 요속검사, 잔뇨량 검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검사하며 증상 호전을 기다려 볼 수 있지만 생활에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약물 치료를 시작해 볼 수 있습니다. 약을 드시면 증상이 먼저 호전되며 장기적으로는 전립선 크기가 감소합니다. 전립선비대증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진행하므로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호전될 경우 정기검진하며 약을 끊고 지켜보기도 합니다. 치료를 안하고 진행될 경우 방광이나 신장기능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습니다. 치료를 가능한 일직 시작할수록 치료효과도 좋으며 합병증의 위험성도 낮아집니다. 약물 치료에도 효과가 없다면 수술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기저질환을 잘 관리하며 비만이나 흡연은 전립선비대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체중관리와 금연이 필요합니다. 육류섭취를 줄이고, 섬유질이나 채소, 과일, 생선섭취를 늘리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브로콜리, 콩, 포도, 수박, 사과, 자몽, 토마토, 양파, 귤, 부추, 배, 복숭아, 아스파라거스 완두콩, 아마씨 등이 전립선에 좋은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외에도 과음이나 자전거 타기나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처럼 회음부를 압박하는 경우, 자극적인 음식이나 피로는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앞서 말씀드렸듯이 치료를 늦게 시작하시면 치료가 더욱 어렵고, 관련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관련증상이 있으시다면 적극적으로 치료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운동할때 심박수가 높게 올라가는데 괜찮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체중 조절을 위한 유산소 운동은 바람직하지만 적절한 강도로 운동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체중조절을 위한 심폐지구력 운동은 심장과 폐에 부담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1일 300kcal를 소비하는 데 충분한 강도가 권장됩니다.본인의 최대 심박수 60~70% 범위 (최대심박수는 220-나이 로 산출)의 강도로 30-60분간 실시하며 20-30분씩 2회로 나누어 시행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120~140회를 넘지 않도록 운동 강도를 조절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운동시간은 주당 150분 이상을 권장합니다.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여 부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운동 40분을 기준으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각각 10분씩 권장합니다. 감사합니다.
Q.  저녁에 깊은 수면을 잘 못하는데 수면에 도움 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잠이 들기 어려운 것 뿐만 아니라 잠에서 자주 깨는 것 또한 수면장애로 볼 수 있습니다.주무시는 환경을 확인해 보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침실이 너무 시끄럽지는 않은지 온도나 습도는 적당한지 확인해 보시고, 잠이 오지 않을 때 계속 잠을 청하시는 것 보다는 잠시 침실을 벗어나 독서나 차분한 음악을 듣는 등의 활동이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적당량의 운동은 도움이 되지만 수면 몇 시간 전 무리한 활동은 숙면을 방해하며 TV나 휴대폰과 같은 시각적 자극도 잠을 깊이 들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됩니다. 이와 같은 수면위생을 개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단기간 수면제 사용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내원하시어 상담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귀에서 소리가 나요 언젠가부터 계속 ㅠㅠ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이명은 외부로부터 청각자극이 없는 상황에서도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상태를 발합니다.임상 연구에 따르면 원인을 알수 없는 경우가 약 70% 이며, 귀 안쪽 내이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20%, 소음이 15%, 그 이외에 두경부 외상이나 중이염, 약물, 스트레스, 피로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최근 대상포진이 발생했던 부위에서 이명이 일어났다면 이와 관련된 이상 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시어 진찰을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Q.  녹내장과 백내장 차이점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병명이 비슷하여 유사한 증상으로 오해하실 수 있으나 두 질환은 발생기전이나 원인 기관에 차이가 있습니다.녹내장은 보통 안압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일어납니다. 또한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생겨 시신경 손상으로 녹내장이 발생하기도 합니다.보통 흔하게 일어나는 만성 녹내장인 경우 안압을 낮추는 안약을 사용하며 , 급성 녹내장의 경우 안약을 낮추는 점안액을 사용한 후 홍체 레이저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한편, 백내장은 빛을 굴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어 뿌옇게 보이게 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약물 치료만으로는 수정체가 맑아지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심하면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