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반도로에 포트 홀은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도로에 발생되는 포트홀의 원인은 시공불량, 지반침하, 충격 등이 있습니다.시공불량은 기층과 보조기층 등의 압밀로 발생됩니다. 도로를 보수할 때, 아스콘 보수나 재포장을 하기 때문에 부득이 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지반침하는 성토층의 시공불량에 기인하는데, 압밀이 진행된 후에는 주로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아스콘이 수축 및 팽창하여 균열이나 국부적인 파손이 발생됩니다.하절기 등에 발생되는 것은 주로 중차량의 통행으로 충격이 누적되어 포장면에 균열이 발생되고 우수의 침입과 차량의 통행으로 파손이 가중됩니다.
Q. 지하철 공사시 그 지하철이 지나는 통로는 어떻게 뚫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지하철 터널은 도심지에 건설되고 다른 지하철노선을 통과하기도 하므로 그 환경에 따라서 여러 터널 공법이 적용됩니다.터널 공법은 개착식, NATM, TBM, 쉴드 공법 등이 있습니다.개착식 공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시공하는 공법입니다. 도로를 지나다보면 도로에 복공판이라는 철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런 곳들이 개착식 공법을 적용한 곳입니다. 철근콘크리트박스 구조물을 설치할 때는 특별히 박스공법이라고도 부릅니다.NATM은 발파하여 굴진하는 공법으로서 지반이 강한 암반지반에 적용합니다.TBM과 쉴드는 굴진기를 사용하여 굴진하는 공법인데, 전자는 암반지반에 적용하고 후자는 연약지반에 적용합니다.그밖에 지장물이 있는 지점 아래에 강관 등을 타입한 후 하부를 굴착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파이프루프 공법 등이 있습니다.
Q. 토사 유출을 막기 위한 배수 시설은 어떻게 설계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토목공사시 지하수의 유출, 토사의 유출에 대비하여 안전관리계획서를 작성하고 시공 계획을 철저히 수립해야 합니다.실시설계에서는 토질조사보고서 또는 지반조사보고서 등을 참고하여 배수 설계와 대책을 수립합니다.실제 공사를 하면서 육안 조사로 얻은 자료와 현장 상태를 적용하여 대책을 강구합니다. 현지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 및 적용합니다.토사나 지하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널말뚝이라는 쉬트파일 등을 타입하는 차수 공법을 실행하고 물유리, 시멘트 등 적정한 재료를 사용하여 공사 지역 또는 구조물 배면에 그라우팅을 하는 약액주입공법 또는 약액고결공법 등을 실시합니다.100%의 차수는 어렵기 때문에 강제 배수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펌프 등을 이용한 강제 배수는 도심지 공사의 경우 지하수의 유출로 인해 주변도로의 침하나 주택, 건물 등에 피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Q. SRC조는 어떤 구조를 말하는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SRC조는 Steel Reinforced Concrete조의 약어로서 철골철근콘크리트조를 말합니다.SRC조는 기성품인 철골 구조물의 주위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결합한 합성 구조입니다. 건물에 많이 사용되는 구조 형태입니다.장점은 지진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부재 설계 및 보강에 대해 여유롭습니다.인테리어 용어사전(동방디자인, 2006)을 참고하자면 단점에 대해 공사비의 고가, 공사 기간의 장기화, 균일한 시공의 불리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상황마다 차이가 있어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오히려 다른 구조보다 공사 기간이 짧고 균일한 시공에 유리하며, 공사비가 항상 고가라고도 볼 수 없습니다.
Q. 강이 홍수에 대비해 구조물 건설할 때?
안녕하세요. 김효진 전문가입니다.수공 구조물은 배수, 침수, 홍수를 대비하기 위하여 계획홍수량 및 설계강우량을 산정하여 설계에 반영합니다.서울시의 배수 구조물은 30년 빈도를 반영한 설계 강우량은 95mm/hr이며, 2022년 실제 최대 강우량은 141.5mm/hr, 435mm/day입니다. 일간 강우량 435mm는 1920년 8월 2일 기록된 354.7mm를 넘어선 계측치입니다.이 자료는 서울시 연구원의 보고서에서 인용한 일부입니다.지금 어떤 연구와 대안을 제시해도 의미가 없습니다. 출발부터 잘못되어 있으며, 수공 구조물 물에 대한 설계의 성립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수공 구조물은 30년 빈도에 근거하여 설계합니다. 전술했듯이 1920년의 강우량에 전혀 미치지 못하는 비에 대해 설계합니다. 그 이유는 수공 구조물 설계의 성립 근거에 있습니다.수공 구조물은 큰 홍수가 발생되도 그만큼의 강우량에 대비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30년 빈도로 적은 비에 대비하여 설계합니다. 이 30년의 수치는 그 어떤 과학적인 근거나 측정자료를 고려하지 않고 그냥 임의로 정한 수치인데, 매년 홍수가 발생되어도 여전히 작은 강우량인 30년 빈도로 설계합니다.그 이유는 10년에 1번, 아니 5년에 1번 홍수가 발생되어 비극적으로 매우 큰 인명 피해, 재산 피해가 발생되어도 국가의 입장에서는 그 피해금액이 구조물을 확장하는 비용, 강과 수공 구조물의 건설 비용보다 싸기 때문에 여전히 호우에 대비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한국만이 갖는 현실이 아니고 세계적으로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