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문지현 전문가
경상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멍게는 어느 생물에 속하는건가요?궁금합니다
멍게는 척삭동물로 분류됩니다.구체적으로는 동물계, 척삭동물문, 해초강, 측성해초목, 멍게과에 속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레나 곤충들의 몸은 전도체인가요? 아니면 부도체인가요?
전기파리채에 벌레가 닿으면 스파크가 튀며 파리가 죽는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는것은 벌레에게 전류가 흘러갔다는것이고 따라서 벌레의 몸은 전도체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 보호를 위한 질문
동식물의 멸종은 대부분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동식물의 종 보전을위해서 자연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막기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는 등의 노력을 해야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레 알을 먹은것 같다는 느낌이 들때..
초파리 알을 드셨다고 해도 위산에 의해 다 녹아 소화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ㅎ많이 찝찝하시면 약국에서 구충제를 구입하셔서 복용하시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미는 현재 어디 있을까요?????
아직은 매미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 5월 말입니다.매미는 현재 애벌레 상태로 땅속에서 나무뿌리의 즙등을 먹으며 살고있습니다. 날이 조금더 더워지는 6월 말쯤이되면 나무위로 올라가 우화를 시작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뇌는 해부하면 쭉 펼칠 수 있나요?
뇌는 겉으로 보기에는 소장이나 대장이구불구불 뭉쳐잇는것 처럼보이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뇌에 있는 주름은 표면적을 늘리기위한 전략에 의한 것이며 펴도 소장이나 대장처럼 길게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냉동인간은 실제로 가능한 실험인가요?
현재 기술로는 냉동인간을 소생시킬수 없습니다.하지만 부분적으로 냉동상태의 신장을 순간적으로 급속해동하는 기술인 나노워밍 기술이 개발된상태입니다. 나노워밍기술은 실험으로 냉동상태의 신장을 급속해동시킨 이후에도 신장이 기능하는것을 증명하였습니다. 이처럼 냉동인간을 소생시키는 추가 연구들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실제로 냉동인간 소생이 가능해질지도 모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호랑이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몸이 굳는 이유가 뭔가요?
호랑이는 울음소리에 우리귀에 들리는 소리외에도 18Hz의 우리귀에 들리지 않는 초저주파의 음파가 섞여서 나오게 되고 이 초저주파가 사람이나 다른동물들로 하여금 공포를 느끼거나 몸을 얼어붙게 만든다고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이 바뀐 사람의 혈액을 다른 사람에게 다량 투입하면 부작용은 없나요?
골수이식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혈액형이 완전히 변한 다음이라면 같은 혈액형을 가진 사람에게 수혈한 경우라면 부작용은 없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은 왜 혈흔을 무서워 할까요???
혈액공포증이라고, 영어로는 hemophobia라고 하는데요, 서양에서는 꽤나 흔한 공포증입니다.보통 피는 본인이나 다른사람이 외상을 입었을때 목격하게 되는것이 흔하기 때문에 피를 보는 장면이 곧 대체로 위험하고 위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피에 자연스럽게 거부감이나 불쾌감, 공포감을 느끼게 됩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