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제 무역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인 FOB, EXW, DDP 등의 용어는 무엇을 나타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인코텀즈(Incoterms, ICC rules for the us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e terms)는 국제상업회의소가 제정하여 국가 간의 무역거래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무역거래조건에 관한 해석 규칙을 말합니다.인코텀즈는 1936년에 처음 제정되었고, 그 후 몇 차례 개정을 거친 후 1980년 부터는 10년 주기로 개정이 되고 있습니다.인코텀즈는 11개의 정형거래조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건은 CIF와 FOB 조건입니다.먼저, FOB (Free On Board, 본선인도)란 매도인이 물품을 지정선적항에서 본선에 적재했을 때(on board)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한 때 매수인에게 위험 및 비용이 이전되는 조건으로, 실무에서 CIF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건입니다. 해상운송 및 내수로 운송에 적합한 조건입니다.반면,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보험료포함인도) 조건은 매도인이 물품이 목적항까지 운송하는데 필요한 운임 및 보험 비용을 지불하고, 선적 전까지의 리스크를 부담하는 인코텀즈 조건입니다. 물품을 지정선적항에서 본선에 적재했을 때 또는 그렇게 인도된 물품을 조달한 때 위험이 이전되는 점은 FOB 조건과 동일하지만, 매도인이 목적항까지 운임 및 보험료를 부담한다는 점이 FOB와 다른 점입니다.또한, EXW 조건 (Ex Works, 공장인도)은 매도인의 제조 공장과 같은 지정된 장소에서 매수인에게 물품을 인도했을 때 위험이 이전되는 조건으로 인도 후에 발생하는 위험과 비용을 매수인이 모두 부담하기 때문에 매수인의 부담이 가장 큰 조건입니다.마지막으로 DDP 조건은(Delivered Duty Paid, 관세지급인도) 약정된 일자 또는 기간 내에 매도인이 지정된 수입국 내의 목적지점에 물품을 반입해 매수인의 임의처분 하에 인도한 때 위험 및 비용이 이전되는 조건으로, 수입통관까지 매도인이 부담한다는 점에서 매도인의 부담이 가장 큰 인도 조건입니다.감사합니다.
Q. VAT와 Customs Duty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먼저, VAT는 Value Added Tax의 약자로 부가가치세를 말합니다. 부가가치세는 제품이나 용역이 생산·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 기업이 새로 만들어 내는 가치인 부가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국가가 소비자로부터 직접 징수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할 때 징수하여 일정 기간 내에 국가에 납부하는 세금으로, 최종소비자가 부가가치세를 최종적으로 부담하게 됩니다.반면, 관세란 관세 영역을 통과하는 물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으로써 수출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수출세, 수입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수입세, 국경을 통과하는 물품에 대하여 부과하는 통과세로 구분됩니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수출세나 통과세를 채택하고 있지 않아, 모든 나라가 수입세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관세는 '수입품에 대하여 부과되는 세금’이라 할 수 있습니다.관세는 관세의 과세표준 X 관세율로 계산하며, 관세율은 물품별(HS CODE별), 협정별로 상이합니다. 보통 대부분의 물품의 경우 기본관세율이 8%입니다.과세표준의 경우 물품의 가격을 과세표준으로 하는 종가세를 채택하고 있어, 일부 특정 물품을 제외(종량세)한 대부분의 물품은 물품가격을 기준으로 관세가 부과됩니다.수입물품에 대해서는 관세와 더불어 부가가치세 등 내국세가 함께 부과됩니다.감사합니다.
Q. 무역에서 바이어와 셀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바이어는 말 그대로 물품을 구매하는 사람이며, 셀러는 물품을 판매하는 사람을 말합니다.바이어는 소매업체나 유통업체 등과 같은 중개 업체일 수도 있으며, 셀러는 제조업체나 도매업체 등 다양한 형태의 기업일 수 있습니다.셀러 입장에서 수출을 하려면 바이어를 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바이어를 구하는 방법에는 국제 전시회 참가, 수출 상담회 참가, 코트라 무역협회 등 기관을 통해 바이어리스트 구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section=137&category=138&no=80346감사합니다.
Q. 국제상거래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폐로는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국제 상거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화폐는 달러입니다. 이는 달러가 전세계적으로 기축통화이고, 국제적으로 가장 신용이 높은 통화이기 때문에 환리스크 등을 대비하기 위해 달러 결제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수수료 등이 가장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다만, 모든 대금 결제가 달러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무역 결제 시에는 달러 뿐만 아니라 여러 통화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통화에는 미국 달러, 유로화, 위안화, 엔화가 있습니다.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은 편인데, '2021년 중 결제통화별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 결제 대금의 통화별 비중은 미국 달러 83.9%, 유로화 5.9%, 엔화 2.6%, 원화 2.4%, 위안화 2.0% 로, 달러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68048&sSiteid=1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