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과 코인 투자 시 고래와 개미의 게임에서 개미가 절대 승산 없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개미가 장기투자를 하지 않고 단기매매로 고래와 개미가 제로섬게임형태로 매매를 치열하게 한다면 불리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고래는 큰 자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한번에 사는게 아니라 크게 올렸다가 다시금 한번에 크게 던져버리면서 시장가격을 자체를 결정하는 시장메이커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미는 갖고있는 물량이 작다보니 시장가 매수나 시장가 매도로 가격을 변화시키는게 힘들며 그냥 시장 가격의 수용자인것입니다 즉 고래는 매물을 시가로 한번에 던져서 가격메이커이며 이를 활용하여 크게 올렸다가 한번에 크게 던져서 가격을 떨굴때 이때 수많은 개미들이 투매를 하게 되고 이를 다시 받아서 다시금 가격을 올리는 행동을 하는 자신이 스스로 타이밍을 정해서 가격을 메이커하므로 개미들이 이길수가 없다는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나스닥과 다우지수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나스닥지수는 나스닥시장거래소가 1971년 개장되면서 탄생된 별도의 지수입니다 당시 성장주나 기술주중심의 거래소로 만든것이며 이들 기업이 나스닥시장에서 거래가 되면서 나스닥지수가 탄생한것입니다. 다우지수는 100년이 넘는 역사이며 미국의 뉴욕증권거래소가 100년이넘는 역사에서 탄생되면서 1896년 미국의 증권거래소에서 상장되어있는 대표적인 종목 30개를 산출하여 이들의 주가평균지수로 산출한게 바로 다우지수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XRP 의 국제간 송금 슬리피지 특허는 어떤 원리로 가격변동을 없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리플뿐만 아니라 바이낸스코인이나 수이 솔라나 아비트럼 등 이더리움 이후에 나오는 코인은 전부 슬리피지가 낮습니다.우선 이는 리플이나 최근 코인들이 메인네트워크가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과 비교하여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혼잡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평소 활동하지 않은 노드들은 자체적으로 거르거나 대규모로 지분이 락업되어있는 검증된 노드로 트랜잭션이 검증을 하는 구조이며 거기다가 온체인주문장과 지속적으로 메인네트워크를 개선시키고 가격 조정 트랜잭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해결하면서 슬리피지가 거의 나오지 않는것입니다. 즉 이는 블록체인네트워크상의 특징이며 리플보다 솔라나나 아비트럼 최근에 나오는 3세대이상의 코인들이 아예수수료가 없는것도 수두룩할정도이며 이를 기반으로 토큰을 발행하는것이며 스테이블코인도 결국 토큰이고 이들체인을 활용해서 발행해서 송금하다보니 아예 슬리피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구조인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미국주식이 국내주식보다 더 선호되는이유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은 우리나라와 다르게 장기적으로 보게 되면 S&P지수의 연평균 수익률이 10%이상이지만 국내의 코스피지수의 연평균수익률은 그에절반도 안되는 5%에도 안되는 수치이며 거기다 문제는 10년 차트를 보게되면 항상 9년은 박스피에 머무르는 구조입니다. 즉 미국은 자사주의무소각이나 배당환원율이 국내보다 몇배나 높고 이러다 보니 ROE가 100%가 넘는 기형적인 구조에 거버넌스 환경이 매우 좋아서 우리나라와 같은 물적분할 말도 안되는 합병비율로 인한 합병과 같은 이슈 이런게 없는 국가입니다, 그러다보니 아무리 세금을 높게 매긴다고해도 국내에선 장기투자시 수익이 아니라 손해가 나므로 미국을 선호하는것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자사주를 소각하면 어떤원리로 주가가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자사주 소각은 두가지효과입니다 첫번째 자사주를 소각하게 되면 전체 유통주식수가 감소합니다 이는 공급물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당연히 주가는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두번째는 펀더멘탈효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사주를 소각하게 될경우 자본항목이 줄어듭니다 자본항목이 줄어들게 되면 ROE의 자본이 감소하므로 자본대비 이익률을 즉 주주수익률이 올라가는 효과를 갖게 되기 때문에 이는 밸류에이션의 가치를 올리는 요소로 작동합니다마찬가지로 유통주식수가 감소하므로 EPS와 BPS는 유통주식수대비 어닝, 그리고 유통주식수대비 순자산을 보는 해당 지표의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렇게 올라가게된 EPS와 BPS는 PER와 PBR을 낮추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는 효과로 작동합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