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서종현 전문가
풍강 생산기술 및 공무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기계공학
2개월 전 작성 됨
Q.
기계도ㅜ사람처럼 밥을 먹는데 사람은 자야하고ㅜ기계느누안자도 되죠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사람은 복잡한 생명체라 잠을 자며 몸과 마음을 회복하고 에너지를 재충전해야 합니다. 음식을 소화하고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기는 노폐물을배설을 통해 몸밖으로 내보내야 건강을 유지할수있고요 반면에 기계는 에너지(밥)은 필요하지만 생명 활동에 따른 회복이나 노폐물 배출 과정이 사람과는 다릅니다. 고장나는 것은 부품의 마모나 기능 저하 때문이지요 그래서 사람처럼 잠이나 배설이 필요하지 않은것입니다.
기계공학
2개월 전 작성 됨
Q.
오피스텔 타워주차 승강기식 주차장?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승강기식 주차장은 차량을 팔레트 위에 올리면 기계가 자동으로 지정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RV차량의 경우, 시스템은 차량 크기(높이,길이,폭)와 중량을 인식하여 RV전용으로 설계된 팔레트와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이동시킵니다. 즉, 팔레트 자체가 RV칸이 되는것이아니라 시스템이 RV차량에 맞는 팔레트와 주차공간을 찾아 자동으로 배정하고 이동시키는 원리입니다.
기계공학
2개월 전 작성 됨
Q.
챗gpt의 미래는 무엇이 될까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AI의 미래는 계속 발전하여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이며 멀티모달 모델처럼 여러 기능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AI가 모든 사람의 일자리를 완전히 대체할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있습니다. 특정 업무나 직업은 자동화될 가능성이있지만 AI가 인간의 능력을 보완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수도있습니다. 모든 직업이 사라지기보다는 역할 변화나 협력이 중요해질가능성이 높습니다.
기계공학
2개월 전 작성 됨
Q.
자동차 브레이크 과열과 제동거리는 관계없나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정상주행 VS 급발진 시 브레이킹 성능 :정상 주행중 브레이킹과 엔진이 동력을 전달하는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킹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가해지는 부하가 다릅니다. 브레이크 자체의 최대 제동력은 엔진의 최대 출력보다 일반적으로 강하게 설계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으면 엔진이 작동중이더라도 차량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킬수있습니다. 하지만 엔진이 계속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속도에서 정상 주행 때보다 제동 거리가 길어지거나 정지하는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릴수있습니다. 브레이크 과열과 급발진 시 제동 능력 :브레이크 제동시 마찰로 인해 고온이 발생하며 과열되면 제동 성능이 저하되고 제동 거리가 늘어나는 브레이크 페이드 현상이 발생할수있습니다. 대중적인 보급형 차량의 브레이크도 엔진 힘을 이길수 있도록 설계되지만 급발진처럼 엔진이 고출력으로 장시간 작동하고 브레이크를 계속 사용할 경우, 브레이크 과열로 인해 제동력이 약해져 차량을완전히 제어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브레이킹 시간과 와벽한 제어 :말씀하신것처럼 100km/h에서 2초 브레이킹과 급발진 상황에서 10초,20초 브레이킹은 분명히 다릅니다. 브레이크가 결국 차를 멈출수있다 하더라도 제동시간이 길어진다는것은 그 시간 동안 차량이 이동하고 운전자가 상황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브레이크가 엔진 힘을 이겨 차를 멈추게 할수는있지만 제동 시간이 길어지고 과열 위험이있다면 이를 완벽하게 제어한다고 보기는어려울수있습니다. 제동 거리가 길어지면 사고 발생 위험도 당연히 높아집니다.
기계공학
2개월 전 작성 됨
Q.
이 항공모함을 잘 살펴보면 난간이 대부분 없던데... 왜 이렇게 설계를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항공모함의 비행갑판은 항공기의 이착륙과 이동을 위한 핵심 공간입니다. 이곳에 난간이 설치되어있으면 항공기가 이동하거나 비상 상황 발생시 충돌 위험이 커져 안전과 효율적인 작전에 방해가 됩니다. 또한, 비행갑판은 고도로 훈련된 군인들이 작업하는 특수한 환경이므로 일반적인 안전 난간 대신 다른 안전 절차와 장비로 안전을 관리합니다. 다만, 발전 및 착륙 구역 주변 등 필요한 곳에는 안전을 위한 난간이나 손잡이가 설치되기도 합니다. 이는 기능성과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설계라고 할수있습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