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노트북 모니터와 텔레비전 모니터는 서로 어떻게 다른 소재를 써서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2024년 기준 보급형 제품들을 놓고 보시면 사용되는 핵심 소재 자체는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급형 제품들은 주로 LCD(액정표시장치)패널을 사용하며 이경우 액체 결정, 유리 기판, 편광필름, LED백라이트 등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노트북 모니텅돠 TV모니터가 유사합니다. 주요 차이점은 소재 자체보다는 최적화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모니터는 가까이서 문서 작업이나 웹서핑을 할때 눈의 피로를 줄이고 글자 가독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둡니다. 반면 TV는 멀리서 영상 시청을 위해 색감이나 밝기, 동영상 처리 등에 더 비중을 둡니다. 결론적으로 보급형에서는 소재의 근본적인 차이보다는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된 패널의 특성이나 후처리 방식의 차이가 더 크다고 할수있습니다.
Q. 파이썬이랑 C언어는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파이썬과 C언어는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지고 다양한 곳에 활용됩니다. 파이썬은 배우기 쉽고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갖추고 있어 활용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웹개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AI),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게임 개발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시스템 관리나 로그 분석 같은 직업에도 유용합니다. C언어는 파이썬보다 오래되었고 하드웨어와 더 가깝게 동작합니다. 운영체제나 임베디드 시스템(가전제품,의료장비등) 게임 엔진처럼 성능이 중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할때 주로 사용됩니다.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는데 강점이있습니다. 요약하면, 파이썬은 빠르고 다양하게 활용되는 반면, C언어는 시스템 제어나 고성능이 필요한 분야에 특화되어있습니다.
Q. 다이캐스팅 금형 코어소재와 경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다이캐스팅 금형 코어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거은 SKD61입니다. 이 소재는 고온에서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하여 다이캐스팅에 적합합니다. SKD61은 열처리 과정을 거쳐 필요한 경도를 얻게 되는데 다이캐스팅 금형용으로 사용될 경우 일반적으로 HRC48~55정도의 경도로 설정됩니다. 다른 자료에서는 53~56HRC 범위도 언급되나, 보통 최대 53HRC정도로 보기도 합니다. 열처리 방법으로는 진공 열처리가 많이 사용되며, 이는 치수 변화를 최소화하고 경도 편차를 낮추는 장점이있습니다. 따라서 SKD61을 다이캐스팅 금형 코어로 사용할때는 말씀하신 50~55HRC범위 , 구체적으로는 48~55HRC사이에서 열처리 경도를 맞추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