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계공학이라는 학문도 AI와 접목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기계공학과 인공지능(AI)는 매우 긴밀하게 접목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 및 적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로봇 공학 : 로봇의 설계, 제어, 자율 주행 등에 AI기술이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 AI를 활용하여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설비의 이상을 미리 감지하여 유지보수 시점을 예측하는데 기계공학 지식이 활용됩니다. 자율 주행 차량 : 기계 시스템 설계와 AI의 인지, 판단, 제어 기술이 융합된 대표적인 분야입니다. 이외에도 에너지 시스템, 의료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계공학과 AI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혁신적인 기술발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Q. 전 세계 곳곳에서 분쟁이 벌어지고 있는 무기로 드론이 주목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드론 기술은 현재 어떠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드론 기술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군사분야에서도 드론 활용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5년 까지 드론 7대 강국으로 도약하는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드론 기술은 국내 기업들이 자동,자율 비행, 군집 비행, 초정밀 제어 등 다양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여 보유하고 있습니다. 군에서는 정찰, 감시뿐만 아니라 자폭형, 투하형 등 공격형 드론 체계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육군 위주로 활용되던 드론은 드론사령부 창설 계획과 함께 전군의 합동작전 능력 향상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선도 국가들에 비해 기술 수준이 약 70% 정도라는 평가도 있지만 정부 지원 사업과 R&D를 통해 지속적으로 기술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Q. 자판기는 동전과 다른 물체를 어떻게 구분할까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자판기는 한가지 방법이 아닌 여러기술을 조합하여 동전을 판별합니다.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리적 검사 : 동전 투입구에서 동전의 크기,두께, 휘어짐 등을 1차적으로 확인합니다. 자력 감지 및 속도 측정 : 동전이 자석이있는 통로를 지나갈때, 동전의 금속 함유량에 따라자력의 영향을받는정도가 달라집니다. 오백원,백원 등 동전별로 금속 성분이 다르게 때문에 떨어지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며 자판기는 이 속도 차이를측정하여 동전을 구별합니다. 광학 센서 및 전류 측정 : 동전의 지름, 모양, 움직임 등을 광학 센서로 인식하고 동전에 전류를 흘려보내 금속 성분을 분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방법을 통해 자판기는 진자 동전과 크기나 무게가 비슷한 위조 동전 또는 다른 금속 물체를 정교하게 구별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