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는 어의의 신분이 최초에는 평민이었던 걸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반도 있었습니다만양민이 더 많았습니다향리의 자손이나 서얼, 혹은 이들의 자손 같은 중인들은과거시험중 문과를 히는게 금지되어 있었는데의원이 되기위해서 치뤄야 하는 과거시험인 의과는잡과 라고 해서 금지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무과도 중인이 시험을 칠 수 있었지만 잡과계열은 일종의 부분점수도 있어서 시험 치르기 더 편하기도 했구요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능소화는 양반집에서만 키울 수 있었다던데, 왜 그런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산지는 별 상관 없구요능소화는 꽃이 질때도 한덩이다 툭 하고 깔끔하게 떨어지는데이게 선비의 절개를 상징한단 이유로 양반가들이 좋아했으며특히 장원급제자 한테는 능소화 모양 종이꽃을 왕이 직접 내려줬기 때문에천민들은 감히 임금님의 손이 닿은 꽃을 기를 수 없었습니다현대인 입장에선 별거 아닌이유 같지만이런식으로 계급간에 차이를 두는건 매우 기초적인 통치 방식이라서옷모양부터 말투까지 다양한 문화들이동서양 가릴꺼 없이 전세계에서 계급별로 달랐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아프리카의 국경은 왜 삐쭉거리지않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지배 때문입니다보통 국경은 산맥이나 강같은 자연지형을 기준으로 만들어져서 삐뚫어지는데아프리카는 유럽 제국주의 열강들이 침략하면서쓸데없는 다툼을 피하잔 이유로 지도만 보고 대충 자로 선그어서자기들 영역을 정했고그게 독립한 이후에도 이어져버린 것입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벚꽃은 일제강점기때 일본이 심었다는데 맞는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래 토종 벚나무가 존재 했지만일본인들이 벚꽃을 엄청 좋아하기도 했고한국 토종 벚꽃과 일본 벚꽃사이의 차이도 있었기 때문에일제시대때 일본산 벚꽃 약 10만 그루가 "추가"되었고관리도 수십년 동안 일본산 나무만 받았어서한때는 일본산 나무가 대다수 였습니다만현재에는 차근차근 국산 벚꽃으로 교체하는 중입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관노비와 사노비중에 무엇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더 좋은 노비는 주인이 좋은 노비입니다. 관인지 사인지는 별 상관 없습니다.관료제와 서비스업이 발달한 현대에도공무원마다 태도가 다른게 당연한 일인데중세 조선에서 모든 관에서 다 똑같이 노비를 대우할 리는 없겠죠?그러니 관노비 끼리도 상황차이가 심각했고아예 개인의 노비는 당연히 사람마다 대우가 달랐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2차 대전 당시 독일은 영국이나 소련 침공 대신 식민지 확장하는게 나은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민지 어디요?전세계 99%가 이미 제국주의 제국이거나 식민지 점령당한 상태였습니다그래서 새 식민지를 만드는건 불가능 했으니전쟁을 일으켜서 말씀하신 나라들의 식민지를 빼았은 거자나요?그리고 빼았긴 나라들은 당연히 반발 했구요점령한 땅이라고 안정되게 물자를 뽑는게 불가능 했단 거죠그리고 당시 독일은 전쟁경제로 돌아가고 있었습니다전 국토의 경제력을 "따갚되"정신으로 뜯어낸 다음실제로 영토를 얻어낸 것을 보여주며 "이제 부터 갚겠습니다"하고 있었던 거에요독일을 상대하는 나라 입장에서도라이벌의 대두를 싫어하는 당연한 심리부터나치의 너무 과격한 사상까지 전쟁을 멈출 이유가 없기도 했지만독일 입장에서도 이제와서 전쟁 멈추면전쟁중이란 이유로 가릴 수 있었던 박살나버린 경제가 드러나서나라 뒤집어질게 뻔했습니다.물론 하나씩 상대하는게 아니라 영국(+미국)과 소련을 동시에 상대한건자만심과 마약에 찌든 히틀러의 정신이 저지른 큰 실수가 맞습니다만전쟁 멈추고 천천히 내정발전 시킨단 선택지는 애초에 불가능했습니다
문학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노벨상은 어떤 분야의 상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과 유산을 이용해 1901년에 처음 시상되었으며당시에는 물리, 화학, 문화, 의학(생리학), 그리고 평화 상만 있었지만1961년벨경제학상이 나중에 추가되었습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팔만대장경은 누가 어떻게 만든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시대 고종 23년(1236)부터 고종 38년(1251)까지 15년에 걸쳐 간행되었으며외세의 침략으로 흔들리는 민심을 종교의 힘으로 안정시키고당시 강력한 힘을 가졌던 불교계를 회유하기 위해 만들어 졌다고 전해집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베트남쌀국수가 현지하고 한국에서 파는맛이 다른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치도 국내산과 해외산은 다르고스시는 일본에서 먹는게 최고란 사람이 많죠식문화는 다른 모든 문화와 마찬가지로그 땅의 여러 요소에 따라서 발전한 것입니다식재료, 여러 다른 문화들, 환경적 요소 등등 그러니 모든 음식은 원산지에서 먹기에 최적화된 음식이고현대의 보존기술이 아무리 발전 했어도방금 막 채취했을 때의 신선도를 완전히 유지하는건 물리적으로 불가능 하기 때문에원산지에서 먹는게 제일 맛있는 겁니다
역사
2024년 3월 29일 작성 됨
Q.
옛날 왕들의 무덤에 유물을 넣어두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옛날엔 저승이 사람마다 다른 신념이 아니라그냥 자연법칙 같은 것이었습니다누구나 사후세계가 있다고 믿으니까사후세계에 쓸 물건도 필요하단 생각이 자연스럽게 생겼고그래서 동서양 가릴꺼 없이 무덤에 돈이나 부장품을 남기는 문화가 생긴 것입니다그리고 왕은 생전에 엄청난 권력자/부자 니까부장품도 많이 가져갈 수 있는거구요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