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않'이 의문문에 들어갈때 어라고 말하면 둘다 긍정을 의미하는 뜻인이유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다 같은 이유입니다.부정표현이 들어있지만 끝에 물음표도 붙어 있기 때문에상대에게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그게 맞는지?" 라고 확인하는 뜻이 됩니다이것을 확인의문문 이라고 합니다.한국어에선 부정의문문(평범하게 아닌거냐 묻는 것)과확인의문문(내 의견이 맞는지 확인 하는것)이 같은 글자를 써서문장 하나만 있으면 위화감이 느껴지지만글일때는 문맥으로, 말로 할때는 억양에 따라 구분이 가능 합니다1번 질문의 경우"어"라고만 답변했을떄 예쁘단 뜻인지 안예쁘단 뜻인지는 정해지지 않았습니다.질문의 대상이 엄청 예쁘다는 사전정보가 있거나"어 예뻐"/"어 예쁘지 않아" 라고 답변자가 확실하게 의사표현을 해야 정해집니다
문학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민요시를 대표하는 시인이나 작품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민요시’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이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의 부제였기 때문에자연스럽게 [진달래꽃]이 민요시의 대표로 간주됩니다김소월 이외의 시인으론 김억 홍사용, 주요한 등이 있습니다
문학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소설이 영화로 되는것을 소설가님들은 좋아 할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당연한 말이지만 사람마다 다릅니다영화란게 소설보다 훨씬더 돈이 많이 드는 작품이다 보니많은 작가들은 영화화 한다는 것 자체를 그만큼 대중성, 상품성이 있다는 평가로 받아들여 좋아하지만예술성이나 작품을 중요시하는, 질문자분이 말한 것과 같은 작가들도 없진 않습니다.아예 배우선정과정 전체에 간섭한 해리포터의 조앤K 롤링이나영화에 불만이 너무 많아서 아예 직접 감독한 드라마를 따로 만든 샤이닝의 스티븐 킹 등이 대표적이죠
문학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시의 연을 나누는 것은 어떤 효과를 더하기 위해서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간단히 말해서한줄을 행이라고 하고그 행이 모여있는 것을 연이라고 합니다.위쪽 글을 같은 방식으로 분류하면간단히 말해서=1 행간단히~합니다=3행짜리 1연인 것입니다산문쪽에서도 줄바꿈이나 단락구분의 요령은 중요하지만운문은 비교적 짦은 글 안에서 주제, 이미지, 운율을 살려야 하기 때문에행연을같은 형식을 중요시 합니다.행의 길이나 단락의 크기 조차도 시적 운율의 일부인 것이죠그래서 고전적인 시형식 중에는시조의 초장(初章) · 중장(中章) · 종장(終章)의 형식처럼 엄격한 것이 많습니다영국의 소네트나 일본의 하이쿠는 음절단위까지 형식이 정해져 있어서소네트는 10음절로 이루어진 14줄약강의 5음보 율격하이쿠는 5.7.5음절에 마지막 행에 계어 (계절을 상징하는 단어)를 넣아어 한다는형식이 있습니다하지만 현대시에는 산문시 처럼 행연이 아예 없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문학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최초의 고전시가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무엇이 최초인지는 너무 오래전이야기라 알 수 없습니다만일단 현재 기록이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시가는 고조선 시대에 창작 되었다 전해지는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입니다중국 후한의 채옹(蔡邕, 133~192)이 엮은 《금조(琴操)》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문학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문학비평은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할까요 아니면 주관적인 해석일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작품구조의 해석이나 작가의 의도 추측 같은 것은 객관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좋다/싫다 훌륭하다/나쁘다 같은 호불호,가치평가는그것 자체가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절대 될 수 없습니다
문학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문학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 중 하나인 내재적 비평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작가의 삶, 독자의 반응, 창작할때 현실 등등작품 밖의 모든것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작품만 가지고 비판하는 것이 내재적 비판 입니다
문학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소설에서 피카레스크식 구성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피카레스크는 15세기 스페인에서 유행한 장르의 이이름이고 장르에서 유래한 소설의 구성 방식이 피카레스크식 구성입니다.같은 주인공 같은 배경에서 비슷한 주제의 짦은 이야기를 여러번 하는 것입니다
문학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개인적으로 산문이나 수필을 작성하고 이를 책으로 출판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책을 만드는 것 자체는 그냥 아무 인쇄소나 가면되고,타인의 개인정보나 불법약 제조법 같은내용자체가 불법인 책이 아닌이상 몇권을 만들어서 팔던 법적인 문제는 전혀 없습니다.서점에서 정식판매를 하고 싶은 거라면 ISBN이라고 도서관 번호를 등록해야 하는데요즘은 자비출판 사이트에 돈을 내면 다 알아서 해줍니다
문학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페르소나란 언어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페르소나(Persona)란 고대 그리스 가면극에서 배우들이 썼다가 벗었다가 하는 가면을 뜻하는 단어였으나근대의 저명한 심리분석가 칼 융이 "인간은 상황에 따라 다른 인격을 가면처럼 바꿔쓴다" 라는 뜻에서 페르소나란 단어를 써서 다시 퍼지게 되었습니다 부모님이 나를 혼내다가 전화받으면 목소리 싹 바뀌는걸 보신적 있으시면 쉽게 이해 되실겁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