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갑자기꾸준한장인
갑자기꾸준한장인

'않'이 의문문에 들어갈때 어라고 말하면 둘다 긍정을 의미하는 뜻인이유

1. 예쁘지 않아? 예쁘지?에서 예쁘지않아?에는 중간에 부정을 뜻하는 않이 들어가있는데 왜 둘다 어라고 하면 예쁘다는 같은뜻인지

  1. 너무 예쁜거 아니야? 라는 표현은 아니야가 들어가는데 왜 긍정의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평소에 자주쓰는 표현인데 한번 꽂히니까 이상하게 느껴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둘다 같은 이유입니다.

    부정표현이 들어있지만 끝에 물음표도 붙어 있기 때문에

    상대에게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그게 맞는지?" 라고 확인하는 뜻이 됩니다

    이것을 확인의문문 이라고 합니다.

    한국어에선 부정의문문(평범하게 아닌거냐 묻는 것)과

    확인의문문(내 의견이 맞는지 확인 하는것)이 같은 글자를 써서

    문장 하나만 있으면 위화감이 느껴지지만

    글일때는 문맥으로, 말로 할때는 억양에 따라 구분이 가능 합니다

    1번 질문의 경우

    "어"라고만 답변했을떄 예쁘단 뜻인지 안예쁘단 뜻인지는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질문의 대상이 엄청 예쁘다는 사전정보가 있거나

    "어 예뻐"/"어 예쁘지 않아" 라고 답변자가 확실하게 의사표현을 해야 정해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언어는 '청자 배려 언어'의 특성도 가지기 때문입니다. 청자를 배려하여 청자의 질문에 '어'라고 대답했을 경우에도 말이되고, 본인 입장에서 '어'라고 대답해도 말이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물론 부정의 의미가 들어 간다고 생각 할수도 있지만 그러한 표현들은 중간에 단어가 생략이 되서 그런것 같습니다. 예쁘지 않아? 라는 말은 예쁘지. 그렇지 않아? 라고 생각 해 보면 부정이 아니라 긍정으로 생각 할수 있습니다. 너무 예쁜거 아니야? 라는 말도 너무 예쁘지. 그렇지 않아? 라고 보면 이것도 긍정의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