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미국의 밤거리가 왜 위험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한국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치안 강국입니다곳곳에 있는 CCTV, 거의 전국민이 등록되는 주민등록증 등등다른 나라에는 없는 특징들 덕분이죠다시말해서다른 나라에는 저런게 거의 없습니다. 미국에도요더군다나 미국은 총기를 매우 쉽게 얻을 수 있는 나라기도 해서치안이 나쁜곳은 엄청 나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역사적 사건이 문학 작품에 미친 영향은?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매우 다양한 예시가 있지만제일 많고 쉬운건 전후 문학이겠죠전쟁이라는 참혹한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은 정신적 상처와 우울에 시달리기 마련이고그렇기 떄문에 문학 또한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폐허가 된 현실에 맞춰그것을 슬퍼하거나그런 상황을 만든 기성세대를 비판하는 내용이 많아집니다한국의 [광장]독일의 [유리알 유희]일본의 [포로기]등이 각나라의 대표적인 전후문학 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에서 비유와 상징의 역할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자동차 앞을 보고 얼굴을 떠올리고나무 그림자에서 사람의 모습을 보듯인간에게는 무작위 사이에서 연관성을 찾는 유추, 상상의 본능이 있습니드.그렇기 때문에 그냥 대놓고 말하는 것 보단비유나 상징 같은 돌려서 말하는 것이 오히려 더 체감되곤 합니다비유는 사물을 이용해 상상력을 쉽게 자극하며, 가시적이기 때문에 독자가 작가의 의도를 더욱 체감하기 해줍니다상징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상을 구체적인 형상을 통해 암시함으로쏘 같은 효과를 노리구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인디안 사람들과 인도사람들을 영어로 구분하는법?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단어가 똑같아서 햇갈리기도 하고미대륙 원주민을 인디안이라 부르는 것 자체가 인종차별 단어가 되었기 때문에그 표현 자체를 현재엔 쓰지 않습니다네이티브 아메리칸 (Native American)'애보리지널 피플즈(Aboriginal Peoples)'같은 단어를 인디언 대신 씁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일본에 "링"이나 "주온"같은 무소운 소재물이 많은이유?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일본 뿐만 아니라 다른 섬나라에도 그런 이야기가 많습니다이에 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하나만 소개해 드리자면공포란건 원래 미지에서 오는 법인데기술이 덜 발달한 옛날엔 외부 교류가 힘든 섬에는 그런 미지가 많기 마련이고같은 이유로, 침략 받을 일이 적다 보니까 민간 설화나 신화, 옛날 이야기들 이런게 오래남아자기들 만의 방식으로 발전되기 때문이라고 하는 설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클리셰란 말은 어디에서 나온 건가요?
클리셰(cliché)는 본래 인쇄 연판(鉛版)을 뜻하는 프랑스어 단어입니다.판화로 찍으면 똑같은 그림만 계속 나오 듯지겹고 예측 가능한 진부한 표현을 뜻합니다영어론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이죠 stereo(굳은, 고정된) + type(활자)
문학
문학 이미지
Q.  셰익스피어의 여러 작품은 모두 희곡으로 제작됐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셰익스피어는 생전에 극본과 시만 썼습니다500년전 사람이기 때문에그 동안 여러 사람들이 작품을 활용, 개작 했으며소설형식이 발달 한 후에는 당연히 소설로도 리메이크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그럼에도” vs ”그렇지만“ 문장에서 사용 시 차이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다 비슷한 역할이지만그럼에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란 점이 중요합니다.다시 말해서, 그럼에도도 뒤에 나오는 문장이앞의 문장을 극복,반박 하는 뜻이어야 하는데해당 문장은 순응 하는 것이기 때문에그렇지만 이 맞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세계관의 정의는 무엇인지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세계관(世界觀 / Worldview)세계를 보는 관점이란 뜻 입니다.예를 들어,한국에선 주민등록증은 매우 당연한 것이지만외국에선 나라에서 강제로 번호를 부여하는건 나쁜 짓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죠세계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한국에선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가상의 세계, 또는 그 세계의 이모저모에 대한 일련의 배경 설정을 두루 일컫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노벨문학상 책이 많이 있을텐데 그런 책들은 모두 다 읽어 보고 평가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일단, 노벨상은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작품에게 주는 상이 아닙니다그래서 노벨상 수상 작품 같은건 없습니다노벨상의 자세한 평가 과정은 기밀처리 되어있어 아무도 모르지만해당 분야 권위자의 추천등을 통해 약 20명의 후보를 뽑아그 들중 5명의 최종 후보들을 스웨덴 한림원 회원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한다는 것 정도는 알려져 있습니다
767778798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