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관련 질문 입니다. 전근대적이며 정체된 인간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다 비슷한 뜻입니다전근대적=근대 이전 같은= 현대적인 요소가 없거나 적은정체된=발전하지 않은=옛날 것 같은흥부전은 계속 착하기만한 흥부가 성공하고계속 나쁘기만한 놀부가 실패하는 전형적인 권선징악의 옛날이야기죠그래서 그런 표현을 한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니트족의 어원과 다른 용도가 있는지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 요청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99년 영국 블레어 정권에서 사회 캠페인 용으로 만들어진 단어로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를 줄여 NEET 라고 한 것으로학교 졸업 하고도 아무일도 안하는 십대들을 뜻하기 위해teen(십대)를 거꾸로해서 만든 말장난적인 어원도 겸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하지만당시 정권이 처참하게 말아먹어서 완전히 묻혔었다가일본쪽에서 유행하면서 한국까지 알려진 단어인데이 과정에서 그냥 무직자 전체를 뜻하는 용어로 변질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잘 되면 내탓 잘 안되면 조상 탓은 어떨때 쓰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잘한건 내덕 잘못은 남탓' 이랑 같은 뜻입니다사람에겐 자기합리화의 본능이 있기 때문에기본적으로 잘못한건 내탓이 아니라 남의 탓이라고 하는 습관이 있습니다그런데 옛날엔 영혼의 존재를 진지하게 믿었으니까이 "남탓"이 조상한테 까지 갔던거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황조가를 서사시로 볼수 없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서사시에는 한 영웅의 성장과 역경이 담겨 있어야 합니다황조가를 부족싸움의 비유라고 분석해서 "역경이 담겨있다" 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없진 않지만삼국사기라는 정식 역사서에 "부인들 싸움에 시달린 왕이 적은 시다"라고 정확하게 적혀있기 때문에누가봐도 개인적인 이야기라서 서정시라는 설이 정설인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을 반영론적 관점으로 해석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최대한 알려주시고, 그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을 수 있게 해주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반영론은 작품은 현실의 요소를 반영한 것이라는 시각입니다.다시 말해서, 모든 작품은 현실의 왜곡된 복사물이란 것이죠.이런 반영론적인 시각에 너무 빠지게 되면작품감상이 작품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닌, 현실에 무슨 요소가 반영된 것인지 파악하는 퍼즐풀이 처럼 되고 맙니다.그렇기 때문에 작품 속에는작품 자체에 가치가 있다는 것을그리고 작가의 상상력또한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서정시가 먼저인가요, 서사시가 먼저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현존하는 제일 오래된 기록물이길가메시 "서사시' 이기 때문에"현재로써는" 서사시가 먼저 생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물론 다른 자료가 발굴된다면 연구도 달라질 수 있겠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각 나라 한자 읽기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언어의 자의성과 역사성 때문입니다자의성이란글자의 모양과 뜻,발음 같은 것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이 아니라누군가가 임의로 이어 붙인 것이란 뜻이고역사성이란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언어는 생성, 소멸, 변형될 수 있다는 뜻 입니다.그렇기 때문에 같은 한국어를 배운 사람 끼리도 사투리나 억양차이가 생기는 것이죠.인터넷이 있는 지금 세상에도 커뮤니티마다 서로 다른 은어를 쓰고 있으니옆마을로 편지 하나 보내려해도 하루동안 걸어야 하는 옛날에나라끼리 읽는법이 달라지는 정도는 당연한 일인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전후 문학이란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매우 간단 합니다전쟁 후의 문학 이라서 전 후 문학 이라고 합니다.주로 두 세계대전이후 작품들이 많고한국에선 6.25직후의 작품들도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소설에서 의식의 흐름이란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의식의 흐름 기법이란단어 그대로 의식=내 생각의 흘러가는 그대로 소설을 쓰는 것을 뜻합니다예를 들어 차가운 물 먹는 것을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적는 다면어우 목말라 물먹어야지, 아, 시원하다. 요새 날씨 너무 더운데 이게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던대지구 온난화를 막으려면 분리수거를 해야 하는데 그러고 보니 오늘 분리수거 하는 일요일이일요일에는 내가 짜파게티 요리사이런 것입니다물론 정식 출판을 한다면 내용을 더 다듬어서 그럴듯하게 만들어야 겠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것도 표절이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질문속 내용만 가지곤 판단할 수 없습니다a가 둘다 꿈이나 VR로 통일되었던b에서 인물 직업이 둘다 같았던 문제가 되기 힘들어요꿈에서 위인을 만나는 것은 구약 성경시절에도 나오는 이야기고VR은 현실에 존재하는 기술이며카페는 매우 일상적인 장소이기 때문에그런 설정들은 애초에 표절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표절 여부를 가릴때 그런 일부 설정보다 중요한건 묘사입니다진짜 단어만 바꾼 수준으로 똑같은 묘사가 나와야 해요"나비가 날아다닌다" "새가 날아다닌다"이수준으로 똑같아야 한단 거죠만약 설정으로 표절시비를 가리고자 한다면 어느정도여야 하는가?예를들어, 커피점 알바가 주인공인 두 소설이 있다고 해봅시다실제 현실에 알바생은 넘치기 때문에두 작품 모두 스타벅스 알바생이 주인공이라고 해서 표절이라고 할 순 없겠지만한쪽에 "스타벅스에 몰래 술타서 손님에게 먹인다"같은 독특한 묘사가 있는데그게 다른 작품에서도 나온다면그제서야 표절인지 [의심] 정도는 할 수있게 되는 거에요그리고 다른 설정들과 묘사들을 하나하나 따져서감상자 대부분이 "비슷하다" 라고 느껴야 그때 표절이 되는 겁니다표절은 "감성"의 문제 입니다.감상자가 봤을때 이거 너무 똑같은거 같다고 느껴야 하는 거에요이성적으로"설정 중 몇%가 같기 때문에 이것은 표절" 하는식으로 정해지는게 아닙니다그런식의 표절여부 판단은 논문이나 악보같은 엄격한 형식이 있는 장르에서만 가능합니다
91929394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