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문학을 반영론적 관점으로 해석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를 최대한 알려주시고, 그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을 수 있게 해주는 방법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반영론은 작품은 현실의 요소를 반영한 것이라는 시각입니다.다시 말해서, 모든 작품은 현실의 왜곡된 복사물이란 것이죠.이런 반영론적인 시각에 너무 빠지게 되면작품감상이 작품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닌, 현실에 무슨 요소가 반영된 것인지 파악하는 퍼즐풀이 처럼 되고 맙니다.그렇기 때문에 작품 속에는작품 자체에 가치가 있다는 것을그리고 작가의 상상력또한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Q. 각 나라 한자 읽기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언어의 자의성과 역사성 때문입니다자의성이란글자의 모양과 뜻,발음 같은 것은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이 아니라누군가가 임의로 이어 붙인 것이란 뜻이고역사성이란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언어는 생성, 소멸, 변형될 수 있다는 뜻 입니다.그렇기 때문에 같은 한국어를 배운 사람 끼리도 사투리나 억양차이가 생기는 것이죠.인터넷이 있는 지금 세상에도 커뮤니티마다 서로 다른 은어를 쓰고 있으니옆마을로 편지 하나 보내려해도 하루동안 걸어야 하는 옛날에나라끼리 읽는법이 달라지는 정도는 당연한 일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