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현대시로 평가받는 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학자마다 의견이 있긴 하지보통 육당 최남선이 신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한 1908년을 한국 최초의 신체시(고전과 현대시사이의 과도기) 로 보고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시를 쓰는 시인들은 시를 쓰는 원고료나 저작권료만으로 생활이 가능한가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극히 일부의 유명작가들을 제외하면 먹고 살 수 없습니다시던 소설이던 동화던 다 마찬가지인 상황이에요그래서 부업을 하는 작가들이 정말 많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나만의 블랙 스완 당신을 보고 첫눈에 반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해당밈은 문학이랑은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아이돌 그룹 키스오브 라이프의 나띠라는 멤버가 라이브중에연습생 시절 올블랙 의상 입었다가 쪽지로 이런 고백맨트를 받았단 썰을 푼적있습니다그후 아이돌판 주접시리즈에 들어가게 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속담에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라는 말을 들었던거 같은데요.
성경 마태복음6장에 나오는 문구입니다원문을 읽으면 무슨 뜻인지 바로 알 수 있는데사람에게 보이려고 너희 의를 행치 않도록 하라(마 6:1)라는 문구 바로 다음에 나오기 때문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백작 공작 후작 등 5계급이 있는데 정확한 뜻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오등작(五等爵)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사용된 작위(爵位)체계 입니다이름처럼 공(公)-후(侯)-백(伯)-자(子)-남(男) 5등급으로 이루어져 있고작위 자체를 부를때 뒤에 작을 붙여서 공작, 남작 하고 부르는 식입니다각 한자의 뜻은공=남을 높여 부를 때 쓰는 호칭후=고대의 도시 지도자를 뜻하던 칭호백=중(仲)·숙(叔)과 함께 천자의 가족 관계를 뜻하던 칭호 (고모, 삼촌 과 같은 것)자=다른 집안의 웃어른을 높여 부르는 극존칭남=불명, 일단 이것을 우두머리의 칭호로 사용한 세력이 있었던 듯오등작의 이름과 순서는 맹자를 비롯한 유교경전들을 통해 주나라시기의 작위체계라고 알려졌습니다만현대의 연구결과 실제로 주나라에서 사용된 것은 아니었으며원래 각각 따로 있던 작위의 이름들을 정리하는 과정에 작위도 아니었다가 왜곡된 백이나 사용 사례가 둘밖에 없는 남같은 잘못된 정보가 섞인 것이라고 합니다현실에서도 오등작을 다른 체계와 섞거나 하는 식으로 "응용"한 경우가 더 많았지 오등작만 사용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하죠그러나 경전에 적혀있는 만큼 유교 문화권 전체에 오등작에 관한 지식이 퍼져있었기 때문에서양의 작위를 번역할 때도 오등작이 활용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오금이 절인다 라는 말은 무엇을 말하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오금이 "저리다" 의 오금은 팔이나 다리의 움픅한 부분들을 뜻합니보통은 무릎뒤쪽을 말할 때가 많죠도가니탕의 도가니가 바로 동물의 오금을 뜻합니다이부분이 찌릿찌릿 떨린다는 것을 뜻합니다무릎이 덜덜 떨릴 만큼 무섭거나 소름이 끼친단 거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이브자리 이부자리 둘중에 어느것이 맞는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이불을 깔아서 만든 잠자리는 이"부" 자리 입니다.이브 자리는 성경에 나오는 이브와 이부가 발음이 비슷한 것을 활용해서 만든 "브랜드 이름" 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특이하다. 특기하다. 비슷하지만 다른 말?
특이特異하다= 특별하게 다르다특기特記하다= 특별한거 같아서 기록했다발음만 비슷할뿐 전혀 다른 단어 입니다.이런거 궁금하실땐 한자어를 검색하시는게 좋아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신데렐라의 원작이 상당히 잔인하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신데렐라는 다른 모든 고전동화와 마찬가지로구전으로 전해져온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여러가지 버전이 많이 존재하고무슨 버전이 언제 적혔는지 정확한 자료가 없기 때문에무엇이 원작인지 자체가 애매합니다보통 그런종류의 잔혹동화가 원본이다 썰은1810년대에그림 형제가 만든《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집》에 나오는 것입니다현대식 기승전결이 깔끔하고 제목과 전혀 다른 잔인한 내용이 많으니까요 하지만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인 1600년대 이탈리아나 프랑스 버전엔마지막에 언니들이 장님이 되는 딱 한장면을 빼면 잔혹한 묘사가 없어요
문학
문학 이미지
Q.  나누기를 나타내는 순우리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질문 제목은 순우리말을 물어보시면서본문에선 합合 차差 같은 한자를 물어보셔서 좀 헷갈리네일단 한자로는나누기는 분分입니분해, 분할, 분배 할때의 분이죠초등수학에서 합차곱다음에 나오는 것은 몫 나눗셈 식에서 결과를 뜻합니다10/2=5 에서 5가 몫이죠
91929394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