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모유수유중인데 아기가 잘 안먹어요 알려주세요
78일 된 아이가 모유를 잘 먹지 않으려고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수유 거부는 비교적 흔하며 원인을 파악하고 부드럽게 대응하면 좋겠습니다. 유축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직접 먹지 않더라도 유축을 통해 모유 분비 자극을 유지할 수 있고 젖몸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잘 아시다시피 아이가 잘 먹지 않으면 모유 양이 줄 수 있습니다. 유축기를 잘 활용하는게 좋겠습니다. 아이가 모유 수유를 거부할 때수유 전 유방 마사지, 수유 자세 바꿔주기, 수유 환경 조용하게 하기, 수유 중 아기 반응 관찰하기 등이 있습니다.
Q. 아이 간식으로 어떤걸 주면 좋을까요?
7세 아이의 치아 건강을 위한 간식으로 어떤 것이 괜찮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치즈, 아몬드, 호두 등의 견과류, 사과, 당근, 오이, 저당 요거트, 삶은 달걀, 찐고구마, 삶은 감자 등의 간식이 어떨까 생각이 듭니다.
Q. 아이가 계속 흠흠.. 이러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9세 아이가 수개월째 흠흠흠 거려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는 단순한 습관일 수도 있지만, 틱이나 불안, 스트레스의 반응, 주의 끌기를 위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부모는지적하거나 혼내지 않기, 관찰하기(언제 그런 행동이 나타나는지 기록), 긴장 완화 활동 도입, 감정 표현 도와주기,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소아정신과나 아동심리상담센터에 문의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Q. 23개월 여자 아이가 잠드는 순간 또는 잠든 이후 잠깐 깨는 경우 엄마를 계속 찾습니다.
23개월 된 여자 아이가 잠을 자기 전에 엄마를 찾고 잠에서 깨어나서 엄마를 찾으며 서럽게 우는 상황이 반복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들이 정서적 애착이 매우 강하게 형성되는 시기입니다.자기 조절 능력이 아직 미숙한 아이는 엄마의 존재가 곧 안전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애착 형성의 정점의 시기가 2세 전후라고 보면 됩니다. 이를 도와주기 위해서는 일관된 수면 루틴, 잠자리에서의 따뜻한 말, 자기 위안 연습(인형이나 담요와 같은 애착 물건 활용), 밤중 깸에 대한 반응 줄이기(바로 안아주기보다는 처음엔 조용히 토닥이거나 목소리로만 반응해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