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5세반부터 유치원과 쭉 7세까지 다니는 어린이집 차이?
교육과정이 유치원, 어린이집 공통 사항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차이는 없습니다.문제는 교육과정이나 방과후과정에서의 프로그램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유치원, 어린이집은 규모나 시설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예전에는 두 기관이 주무부처가 달라졌으나 유보통합이 시행되면서 부처가 일원화되었습니다.유치원은 유치원정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가, 어린이집은 보육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가 담당을 합니다.유치원의 교육 연령은 만3세~만5세, 어린이집의 보육 연령은 만0세~만5세입니다.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으나 큰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Q. 아이가 유독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가 유독 특정 음식을 거부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어린 시절에 다양한 음식을 접하는 경험은 향후 식습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Q. 책을 읽고 이해를 하지 못하는 아이 어떻게 독해력을 키울 수 있을까요?
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아이의 독해력 어떻게 키울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독해력, 이해력은 꾸준한 독서와 양육자와의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서 가능한 부분입니다. 아이와 책을 읽고 나서 뒷이야기를 꾸며보거나 주인공과 같은 상황에 처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주인공에게 하고 싶은 말은 무엇인지 등의 대화를 나누면 좀 더 생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답니다.이런 활동들을 통해서 아이의 사고력 확장, 어휘력, 집중력 등이 향상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