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아기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부모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유아기 언어발달 촉진을 위해서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평소 언어 환경에 꾸준히 노출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의 발달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꾸준히 언어적 자극(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을 주고 격려하며 기다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질문은 크게 개방형 질문, 폐쇄형 질문으로 나뉩니다.개방형 질문은 '어떻게 생각하니? 왜 그런걸까?' 등의 질문으로 대답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반대로 폐쇄형 질문은 '네&아니요,했어요&안했어요, 좋아요&안좋아요' 처럼 답이 뻔히 정해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아이의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는폐쇄형 질문보다는 개방형 질문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폐쇄형 질문은 대화를 이어가기가 힘들지만, 개방형 질문은 아이와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반면에 개방형 질문은 시간이 많이 요구될 수도 있습니다.
Q. 아이가 너무 자주 TV나 게임에 빠지는데 어떻게 균형을 맞출 수 있을까요?
아이가 텔레비전이나 게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전자기기의 활용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전자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아이가 휴대폰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Q. 식사를 거르거나 편식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건강한 식습관을 길러줄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1학년 아이가 편식이 심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방법이 궁금한가봅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교육을 해주는게 좋겠습니다.따라서 먼저 아이와 영양교육 관련 그림책이나 동영상을 이용해서 교육을 실시한 다음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식습관 개선을 위한 그림책은 식습관 시리즈(천개의 바람), 사계절은 맛있어, 백설공주는 먹는 것도 달라, 남길까? 먹을까?, 푸메, 꾸메와 함께 식당에 가요(상상스쿨) 등이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이전보다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그리고 야채나 과일, 다양한 재료 등을 이용해서 요리활동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요즘은 시중에 파는 새싹채소, 버섯, 콩나물기르기 키트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아이와 함께 채소를 재배하는 것으로도 식습관 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