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친구와 자주 비교하며, 내가 더 못해 라고 말하는데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요?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친구와 자주 비교하며 스스로를 낮추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우선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하고아이가 자신의 존재를 좋게 여길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겠습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자주 짜증을 내며 툴툴대는 습관을 고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초등학교 5학년 아이가 툴툴대는 습관이 있으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먼저 아이가 왜 그렇게 반응하는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시기라면 사춘기에 접어들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친구와 자주 비교하고 내가 더 못해 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친구와 자주 비교하는 등 자존감이 낮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평소 아이가 자신의 존재를 존중하고 좋게 여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어린 시절의 애착 형성이 아이의 정서와 성격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어린 시절의 애착 형성은 아이의 정서적 발달과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정서적 안정, 대인관계, 정신건강, 자기조절 능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안정된 애착 형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안정적인 정서 반응을 보이며, 다른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자존감이 높으며,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친구와 사소한 다툼이 있을 때 어떻게 중재하고 해결해줘야 할까요?
친구와의 사소한 다툼이 있을 때 어떻게 중재하는게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먼저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게 좋습니다. 아이가 올바른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말과 함께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만약 행동하기 쉽지 않다면, 지금 할 수 없음을 말해주고 미안하거나 속상한 마음을 알려줍니다. 아이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긍정적인 대화 촉진, 사회적 기술 가르치기, 자신감 심어주기, 건강한 관계 예시 보여주기(부-모 관계, 지인과 관계 등), 문제 해결 지원(적절하게 조언해주고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격려) 등이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부모가 다른사람과 소통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짜증을 자주내고 말을 듣지 않는 행동 개선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아이가 짜증을 내고 말을 듣지 않는 일이 많아져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가능하면 먼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그리고 긍정적으로 감정 표현할 수 있도록 말해주면 되겠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짜증을 내지 말고 너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4년제 아동학 학사 졸업,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교사 되는 방법은?
아동학을 전공했다면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 보육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아동학을 전공했으므로 유사과목이 많아 해당 과정을 이수함에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겠습니다. 보육교사, 유치원 정교사 모두 특정 교과목을 이수하고 실습까지 마쳐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우선 원장 자격을 취득한 후라면 누구든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될 수 있는 자격이 됩니다. 다만 지자체와 위탁 계약을 맺어야 가능한 부분입니다. 국공립 원장을 준비하는 경우 다른 사람과의 차별화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스팩을 쌓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친구와 말다툼 했을 때 화해 방법 알려주세요.
아이가 친구와 말다툼을 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먼저 아이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긍정적인 대화 촉진, 사회적 기술 가르치기, 자신감 심어주기, 건강한 관계 예시 보여주기(부-모 관계, 지인과 관계 등), 문제 해결 지원(적절하게 조언해주고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격려) 등이 있습니다.일상생활에서 부모가 다른사람과 소통하는 기술을 보여주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쉬는 시간에 잘 어울리지 못합니다.
아이가 쉬는 시간에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마다 성향이 다르기 떄문에 환경에 적응하는 시간도 다를 수 밖에 없겠습니다.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2412422432442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