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부모의 말을 한귀로 듣고 다른 귀로 흘립니다
요즘 들어서 아이가 부모의 말을 제대로 듣지 않으려고 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단순한 까먹음이 아니라 아이의 주의력, 책임감, 부모의 말에 대한 인식 등 여러 요소가 얽혀 있는 행동입니다. 까먹었다는 말의 진짜 의미, 지시할 때는 눈을 마주치고 말하기, 한번에 하나씩만 지시하기, 구체적으로 말하기, 지시 후 확인하기행동을 습관화시키는 훈련법, 지시를 안 따를 때의 대응, 지시를 잘 따랐을 때는 즉시 칭찬 등의 반응이 중요합니다.
Q. 아이가 잠잘때 불을 안끄는데 괜찮나요ㅠ?
26개워 된 아이가 불을 안끄고 자려고 하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이 시기의 아이들은 어둠에 대한 불안감과 통제 욕구가 동시에 커지기 때문에 단순히 '불을 꺼야 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단순한 조명 문제가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 부족에서 오는 반응일 수 있습니다. 불 끄는 걸 놀이처럼 접근하기, 점진적 조명 조절법, 잠자리 루틴 만들기, 불 끄기 '안심 신호' 주기, 불을 끄는 이유를 아이 눈높이에서 설명하기 등이 있습니다.
Q. 아파트관리비가 평균 다른세대보다 더 나와요
관리비를 절약하기 위한 실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족 구성원이 이 점을 염두하면 좋겠습니다. 아이의 목욕 시간은 10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물 틀어놓기 습관 개선, 여름이 아닌 이상 목욕 횟수 줄이기(주2~3회 목욕이 적당), 절수형 샤워기 설치, 가족 회의로 규칙 만들기, 엄마와의 협력도 중요아이들이 물을 좋아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 습관을 놀이처럼 바꾸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물 절약 챌린치처럼 재미있게 접근하면 아이도 스스로 행동을 바꾸게 됩니다.
Q. 아이가 바른 인격 형성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할 일은?
7세 아이가 바른 인격 형성을 할 수 있도록 부모가 도울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 만들기, 자기 관리 능력 키우기, 학습 습관은 짧고 즐겁게, 사회적 기술과 감정 표현 연습,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기, 과정 중심의 칭찬으로 자존감 키우기 등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