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밤에 잘떄 자꾸 인형들을 모아서 옆에 모아둡니다
아이가 밤에 잘 때 인형을 옆에 늘어뜨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심리 상태나 습관과 관련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강하게 제지하기보다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 안정 루틴 만들기, 인형에게 역할 부여하기,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보기, '잠자리 친구' 지정하기, 긍정적 강화 활용하기 등으로 대처하면 좋겠습니다.
Q. 아이가 자꾸 티비를 볼때 손가락을 빨아댑니다
아이가 텔레비전을 볼 때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스트레스 완화, 자극을 통한 관심 끌기, 마음의 안정을 위해서라고 합니다.해당 행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아이와 스킨십을 많이 하고 아이가 손가락을 빨면 아이를 안아주거나 손을 잡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손가락을 빠는 아이에게 손가락을 움직여야 하는 놀이 신체 놀이 등을 통해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좋겠습니다.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밴드를 손가락에 붙여주고 손가락을 빨면 안되는 이유(치열 부정, 세균 감염 등)를 말해줍니다.아이가 무료하면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빨 수 있으니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게 필요합니다.
Q. 집에서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의 놀이를 확장시켜주기 위한 방법은?
집에서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의 놀이를 확장시켜주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와 함께 창의놀이(미술, 만들기 활동), 언어와 이야기 놀이(역할극, 그림책 읽기), 인지 놀이(퍼즐 맞추기, 간단한 보드게임), 신체놀이(실내 체육놀이, 음악에 맞춰 춤추기) 등입니다. 놀이 시간이 너무 길지 않도록 하고 아이가 스스로 선택하고 주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Q. 현행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평가방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제도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예전처럼 초등학교에서 시험을 치는 제도는 없어졌습니다. 초등학교 평가방법이 수행평가로 변경되었다고 보면 되겠습니다.수행평가는 교육부에서 초등학교에 권장하는 시험 방식입니다.학생들이 학습하는 모든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평가할 수도 있고, 그림을 그리는 태도와 그림 결과를 함께 평가하기도 합니다.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그 학년에서 꼭 배워야 할 것은 '성취 기준'으로 정하고 있습니다.그리고 단원평가, 교사평가를 병행합니다.수행평가의 종류는 서술형, 논술형, 구술시험, 실기시험, 실험·실습, 면접, 관찰,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작품집 평가) 등으로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