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분리불안은, 심리적으로 불안감만 잠재워주면 괜찮을까요?
아이들의 분리불안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다음과 같습니다. 안정적인 애착 형성, 예측 가능한 일상 만들기, 점진적인 분리 연습, 놀이치료 활용, 인지행동치료, 부모 교육 및 상담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Q.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가 공감능력이 부족한 것 같은데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가 공감능력이 부족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아이의 공감능력을 키워주면 좋겠습니다. 아이가 올바른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말과 함께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만약 행동하기 쉽지 않다면, 지금 할 수 없음을 말해주고 미안하거나 속상한 마음을 알려줍니다. 아이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역할놀이를 통해서 공감능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다른 누군가가 되어 그 입장에서 생각하는 역할 놀이는 훌륭한 공감 능력 키우기 방법입니다. 보통 만 3, 4세가 되면 시작할 수 있는 역할 놀이는 엄마, 아빠 혹은 동물 등이 돼보면서 역지사지의 감정을 알게 됩니다.부모가 먼저 실망을 표하는 아이의 등을 토닥여주는 등 직접 시범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는 엄마 아빠의 공감 능력도 중요합니다. 공감 능력이 풍부한 부모일수록 아이 또한 쉽게 그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비언어적 공감능력 표현하기 시범)
Q. 자녀가 끊임없이 부모의 한계를 시험할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아이가 계속해서 부모의 한계를 시험할 때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단순한 반항이 아니라 자기 감정 조절 능력, 경계 탐색, 애착 확인을 위한 행동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은 인정하되 행동은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관된 규칙과 반응 유지, 부모의 감정 조절이 핵심, 시험 행동의 원인 파악하기, 긍정적 행동 강화하기, 지속적이고 극단적인 시험 행동일 경우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