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수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전문가입니다.
강수성 전문가
경기도교육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아기 수면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아이는 패턴을 갑자기 스스로 만들지않습니다. 수면의식을 통해 패턴을 만들어보세요. 밤잠을 자기전에 먹고 씻고 조명의 조도를 변경하고 책을 읽고 나면 자는거다 라는 패턴이 일반적입니다. 금방되지않더라도 꾸준히 하시다보면 패턴이 일상이 될거에요.
양육·훈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평소에 화가 진정이 잘 안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화를 내고 하는 어떤표현은 진정하기전까지는 인정해주지마시고 기다렸다가 얘기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감정표현은 잘못된것이고 그렇게 하면 안된다는것을 계속 알려줘야합니다. 공간을 분리한다는등의 방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자존감이 탄탄한 아이로 키우려면 부모의 어떤 노력들이 필요할까요?
잘못된 방식이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면 아이의 사소한 선택이라도 응원하고 지지해주고 과정과 노력에 대해 칭찬을 많이 해주세요. 무한한 지지와 응원을 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자신감과 독립심, 자존감이 높아질거에요.
유아교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아이가 말이 트는게 느릴경우 어떡해야되나요?
정도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아이들과 편차가 많은 정도라면 언어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병원에서 영유아검진을 통해 의사선생님과 상담을 해보시고 판단하시면 될것 같고 저희 아이의 경우에도 또래에비해 늦어서 걱정은 했는데 늦었지만 금방 같은 수준으로 말을 했었네요.
유아교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점심약 먹는 경우 초등학생(초1)은 스스로 챙겨가서 먹나요?
약까지 챙겨주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저도 아이에게 얘기해놓으면 점심약은 거의 안먹고 왔었던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점심에 스스로 약을 먹도록 연습을 계속 시켜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육아에 맞벌이 외벌이 뭐가더나을까요?
아이를 언제까지 집에서 가르칠 수 있을것인지 부터 고민을 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초등 3,4학년만 지나도 집에서 직접 가르치는것은 학습내용이 어려워서라기보다 아이와의 관계때문에 그만하게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꾸준히 아이와 호흡을 맞춰 학습을 할 수 있는데 쪼들리지않으면 외벌이, 둘중하나라도 힘들다면 맞벌이 인듯하네요
양육·훈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아이들 기저귀없이 용변보는 연습어떻게하나요?
집안에서 아기용 변기를 두고 꾸준히 앉게해보고 힘주게 해보고 하면서 익숙하게 해주는것 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다보면 소변도 보고 대변도 시도해보게합니다. 절대 강요나 압박을 주면 안되고 격려와 응원을 많이 해주셔야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수학은 어떻게 시켜야 할까요
1학년은 이제 학습습관을 잡아가야할때이므로 꾸준하게 할 수 있는 학습량을 정해서 꾸준히 학습할 수있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저학년은 수 개념이 책만으로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구체물을 사용하는것이 좋은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보드게임도 활용할 만한게 많이 나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내 딸자식이 배우나 가수가되어서 수위가 높은작품이나 의상을 입는거를 이해해주실 수 있나요?
자식이 내의지대로 직업을 선택한다면 반대할 것 같긴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선택이고 그길을 위해 진심으로 노력하고 준비했다면 속이 쓰려도 응원하는것 밖에 해줄게 없다고 생각되네요. 저또한 부모님이 하란대로 하고 살진않았어서 자식도 불법적이고 남에게 피해만 끼치지않는다면 지지해주려 노력하려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6일 작성 됨
Q.
9개월 아기 이앓이에 도움되는게 뭐가 있을까요?
치발기를 냉동실에 몇개 넣어두고 차갑게 주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는 타이레놀을 아이에 맞는 양만큼 복용하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아이가 이가 날때 특히 어금니가 날땐 그냥 잠을 못자는구나 하고 어느정도 마음의 준비를 하는것도 아이에게 짜증내지않고 다독여주는데 도움이 되더군요.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