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린이집 아이가 오늘 수족구 진단 받았다는데 백퍼 걸리나요..?ㅠ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수족구병은 어린이들 사이에서 쉽게 전염될 수 있지만, 100% 전염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수족구병은 주로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된 아이와의 직접적인 접촉, 호흡기 분비물, 오염된 물건 등을 통해 전파됩니다. 아이와 손을 잡고 놀았다면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감염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Q. 혹시 볼거리증상인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침샘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침을 분비하는 부위에는 귀밑의 이하선, 턱 밑의 악하선, 혀 밑의 설하선이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작은 침샘이 입안에 있습니다. 침샘염은 이러한 침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침샘염의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타석 혹은 침샘의 배출량 감소 혹은 저류에 의한 물리적 폐쇄로 구분됩니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타액선의 감염을 흔히 유행성 이하선염 혹은 볼거리라 부르며, 세균에 의한 감염은 화농성 침샘염으로 불립니다. 주로 수술이나 만성 질환으로 인한 탈수가 원인입니다. 만성적으로 침샘의 배출 능력이 저하되면 만성 침샘염이 발생합니다. 이 외에도 동위원소 치료의 부작용이나 침샘 종양으로 인해 침샘관이 눌리거나, 자가면역 질환에 의해 침샘 염증이 반복되기도 합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스트레스로 인해 침샘이 부어오를 수 있습니다. 침샘염의 증상으로는 침샘 부위(귀밑이나 턱 밑)의 반복적인 부종과 통증, 발열이 있으며, 특히 식사 시에 격렬한 통증이 유발됩니다. 침샘염은 CT 혹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침샘 및 임파선의 상태를 확인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침의 흐름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구강 내 감염 병소가 침샘관을 통해 침샘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양치와 가글 등으로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원인에 따라 치료합니다. 감염 혹은 탈수가 원인이라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며, 타석이 원인일 경우 침샘의 분비가 늘어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으므로 수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 냉습포 등으로 환부를 마사지하고 소염제를 사용합니다. 세균성 감염에 대해서는 항생제를 사용하며, 타석의 크기가 작다면 자연 배출될 수 있지만, 크다면 수술이 필요합니다.
Q. 2달동안 목이 아픈데 어떤 병인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만성 인후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인후염은 바이러스, 세균, 환경적 요인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역류성 인후염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인후를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는데, 역류 증상이 없어도 목에만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코는 도대체 왜 막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비염은 그 중 하나입니다. 비염은 코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먼지, 애완동물의 털 등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며, 비알레르기성 비염은 냉방, 온도 변화, 강한 냄새,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가 막히는 이유는 점막이 부어서 공기 통로를 좁히거나, 점액 분비가 증가해서 공기가 지나가는 길을 막기 때문입니다. 또한, 만성 부비동염, 비중격만곡증, 폴립 등의 구조적인 문제도 코 막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