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역류성식도염 약 복용(위장약) 후 프로락틴수치가 올라갔어요,,먹을수있는약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메토클로프라미드와 같은 일부 위장약은 프로락틴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장약이 프로락틴 수치에 영향을 미친다면 대체 약물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위장약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과 부작용 프로파일이 다르기 때문에, 내과 의사와 상의하여 다른 종류의 위장약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나 히스타민-2 수용체 길항제(H2RA)와 같은 약물은 프로락틴 수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수 있습니다.
Q. 운전하면서 발가락에 쥐가나요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흔한 원인은 근육 피로와 혈액순환 문제입니다.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 있거나 발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야 하는 운전 상황에서는 발과 다리 근육이 긴장되고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거나 쥐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근육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부족해져 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운전 중에도 정기적으로 휴식을 취하고, 차를 세워 다리와 발을 스트레칭하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운전하기 전에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여 체내 수분 균형을 유지하고, 전해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여 근육 기능을 지원하세요. 신발이 너무 꽉 끼지 않도록 편안한 신발을 착용하고, 발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